목차
Ⅰ 물류 표준화
1 도입 배경
2. 정의 및 적용 분야
3 추진 정책
4 효과
5 사례
6 문제점 및 단점
Ⅱ 물류 경영 시스템 인증제도
1 도입 배경
2 정의
3 인증대상 기업 및 경과
4 문제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1 도입 배경
2. 정의 및 적용 분야
3 추진 정책
4 효과
5 사례
6 문제점 및 단점
Ⅱ 물류 경영 시스템 인증제도
1 도입 배경
2 정의
3 인증대상 기업 및 경과
4 문제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려고 했으나 2008년에는 물류경영시스템인증표준규격의 제정 이외에는 전진이 없었다. 또한 물류보안 및 물류환경 등의 물류관련 인증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4 문제점
아직까지 물류경영시스템 인증제도는 제대로 정착되지 않았으므로 인증을 받았을 경우 지원책이 미흡하다. 대부분의 업체들은 인증을 받지 않았을 경우 기업의 이미지 실추를 우려해 취득하고 있고, 많은 기업이 인증을 취득함에 따라 한국 대표기업의 국제화라는 기본 의도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표준화 설비 경우도 구체적 지원이 없고 인증 기업의 설비를 사용하게 해서 사업에 있어 필수조건으로 바뀌는 중이다. 또한 현실적으로 인증을 받더라도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다.
Ⅲ 결론
물류 경영 시스템 인증제도 외에도 물류 관련 인증제도로 물류표준설비인증과 종합물류업자인증이 있다. 하지만 밑의 표에서 보듯 겹치는 부분이 있고 효율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심사 기준을 현장서 물류흐름에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표> 물류인증제도 비교
항목
물류표준설비인증
종합물류업자인증
물류경영시스템인증
실시년도
2004
2006
2007
주관부처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인증기관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한국교통연구원 인증센터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인증업체수
생산자 59, 사용자 24,
임대자 3, 수입업자 2
8개 단독기업, 20개 기업군
(총 61개 업체)
6개 업체
심사기준
물류포준화관리능력(30%), 물류표준화설비확보상태(30%), 공정관리(20%), 제품관리(30%)
다양성(25%), 기업규모(35%), 발전가능성(40%)
물류표준화 정도(40%), 물류경영능력(30%),
물류경영성과(30%)
지원사항
-예산 범위 내서 필요한 자금 지원
-우선구매 등 각종 지원제도에 반영하도록 요청
-인증받은 자에 대해 지식경제부장관 등 관계기관 장에게 포상 요청
1) 시설의 우선입지 및 자금 지원
2) 기업연구소를 연구기관으로 인정 병역특례 전문 연구원 확보
3) 통관업무 수행
4) 전기요금 할인
5) 지식서비스산업인증
6) 3%의 세액공제
(위탁물류비 50% 이상)
미정
인증대상
물류표준화 설비(단품위주), 사용자 및 생산자
개별 및 전략적 제휴기업 집단
표준화 설비들의 ULS 구축
또한 물류보안과 환경 등 물류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심사기준에 포함해 필요한 경우 물류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해 물류의 새로운 과제를 포용하는 인증제도로 발전해야 한다. 그리고 정부도 유닛로드시스템을 활용해 경영성과를 높이고 있는 업체에 대한 포상과 홍보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물류시스템이 민간의 물류표준화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유닛로드시스템인증이나 우수물류현장인증과 같은 현장 중심의 인증 제도로 변화도 필요하다. 더불어 물류산업 발전을 위한 인증기업에 대한 지원책과 심사기준에 대한 심층연구가 필요하다.
Ⅳ 참고 문헌
- 물류표준설비인증요령;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2007)
- 물류경영시스템의 표준규격화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18권 2호; 한국물류학회
- 국내 물류표준화와 유닛로드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경배, 서경대학교(2007)
- 효율적인 물류표준화 정책의 제언; 옥선종, 김정환; 물류학회지 10권 1호
- 물류경영시스템 인증제도의 활성화방안 연구; 박정섭, 김국; 해운물류연구 59호(2008)
- 물류표준화 로드맵으로 물류선진국 도약; 고칠진; 나라경제 2007년 6월호
- 한국의 물류정보 표준화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이창섭; 동아대학교
- 물류 표준화 현황 및 향후 과제; 물류교통표준과(2004)
- 삼성경제연구소, 한국물류협회, 해피캠퍼스, 국토해양부 등 다수 사이트
4 문제점
아직까지 물류경영시스템 인증제도는 제대로 정착되지 않았으므로 인증을 받았을 경우 지원책이 미흡하다. 대부분의 업체들은 인증을 받지 않았을 경우 기업의 이미지 실추를 우려해 취득하고 있고, 많은 기업이 인증을 취득함에 따라 한국 대표기업의 국제화라는 기본 의도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표준화 설비 경우도 구체적 지원이 없고 인증 기업의 설비를 사용하게 해서 사업에 있어 필수조건으로 바뀌는 중이다. 또한 현실적으로 인증을 받더라도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다.
Ⅲ 결론
물류 경영 시스템 인증제도 외에도 물류 관련 인증제도로 물류표준설비인증과 종합물류업자인증이 있다. 하지만 밑의 표에서 보듯 겹치는 부분이 있고 효율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심사 기준을 현장서 물류흐름에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표> 물류인증제도 비교
항목
물류표준설비인증
종합물류업자인증
물류경영시스템인증
실시년도
2004
2006
2007
주관부처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인증기관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한국교통연구원 인증센터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인증업체수
생산자 59, 사용자 24,
임대자 3, 수입업자 2
8개 단독기업, 20개 기업군
(총 61개 업체)
6개 업체
심사기준
물류포준화관리능력(30%), 물류표준화설비확보상태(30%), 공정관리(20%), 제품관리(30%)
다양성(25%), 기업규모(35%), 발전가능성(40%)
물류표준화 정도(40%), 물류경영능력(30%),
물류경영성과(30%)
지원사항
-예산 범위 내서 필요한 자금 지원
-우선구매 등 각종 지원제도에 반영하도록 요청
-인증받은 자에 대해 지식경제부장관 등 관계기관 장에게 포상 요청
1) 시설의 우선입지 및 자금 지원
2) 기업연구소를 연구기관으로 인정 병역특례 전문 연구원 확보
3) 통관업무 수행
4) 전기요금 할인
5) 지식서비스산업인증
6) 3%의 세액공제
(위탁물류비 50% 이상)
미정
인증대상
물류표준화 설비(단품위주), 사용자 및 생산자
개별 및 전략적 제휴기업 집단
표준화 설비들의 ULS 구축
또한 물류보안과 환경 등 물류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심사기준에 포함해 필요한 경우 물류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해 물류의 새로운 과제를 포용하는 인증제도로 발전해야 한다. 그리고 정부도 유닛로드시스템을 활용해 경영성과를 높이고 있는 업체에 대한 포상과 홍보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물류시스템이 민간의 물류표준화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유닛로드시스템인증이나 우수물류현장인증과 같은 현장 중심의 인증 제도로 변화도 필요하다. 더불어 물류산업 발전을 위한 인증기업에 대한 지원책과 심사기준에 대한 심층연구가 필요하다.
Ⅳ 참고 문헌
- 물류표준설비인증요령;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2007)
- 물류경영시스템의 표준규격화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18권 2호; 한국물류학회
- 국내 물류표준화와 유닛로드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경배, 서경대학교(2007)
- 효율적인 물류표준화 정책의 제언; 옥선종, 김정환; 물류학회지 10권 1호
- 물류경영시스템 인증제도의 활성화방안 연구; 박정섭, 김국; 해운물류연구 59호(2008)
- 물류표준화 로드맵으로 물류선진국 도약; 고칠진; 나라경제 2007년 6월호
- 한국의 물류정보 표준화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이창섭; 동아대학교
- 물류 표준화 현황 및 향후 과제; 물류교통표준과(2004)
- 삼성경제연구소, 한국물류협회, 해피캠퍼스, 국토해양부 등 다수 사이트
추천자료
기업의 경영정보시스템의 시대별 변천사
기업의 경영정보시스템의 시대별 변천사에 관해 요약하시오.
기업의 경영정보시스템의 시대별 변천사에 관한 연구
[MIS] MIS(경영정보시스템)의 필요성과 성공전략
[안전보건, 안전보건준수]안전보건과 안전보건준수, 안전보건정책, 안전보건과 안전보건제도,...
[경영학][현대경영학][호텔경영학][스포츠경영학][시스템경영학][호텔][스포츠]현대경영학, ...
[경영정보기술]경영정보기술의 특징, 경영정보기술의 혁신, 경영정보기술의 인적자원관리정보...
(경영정보시스템)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 과정을 설명하고, (Process Innovation의 결과물인...
[기업 모형][경쟁우위모형][신용평가모형][계층적 효과모형][부실예측모형]기업 경쟁우위모형...
[IT와경영정보시스템 공통] (1) DDL(Data Definition Language)과 DML(Data Manipulation Lan...
방통대 경제학과 : [IT와경영정보시스템 공통] (1) DDL(Data Definition Language)과 DML(Dat...
기업의 경영정보시스템구축 사례를 하나 선정하여 전략수립방안을 살펴보고, 구축사례가 성공...
[경영정보시스템] - 1. 경영정보시스템 중 최근(2010년 이후) 성공적인 경영성과 사례 2. 혁...
경영정보시스템)기업에서 도입하여 활용되고 있는 경영정보시스템 중 최근(10년 이후) 성공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