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일어나면, 돌연변이된 세포는 aminopterine이 들어 있는 배지에서 thymidine이나 hypoxantine을 넣어주어도 nucleotide 생합성이 막혀서 성장을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항체를 생산하지 못하게 만든 myeloma 세포에 또 다시 TK나 HGPRT 효소 중 하나의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유도하여, 돌연변이된 myeloma 세포를 만들어 hybridoma 제조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돌연변이체 myeloma 세포는 aminopterine과 thymidine, hypoxantine이 함유된 배지 (HAT medium)에서 성장할 수 없지만, myeloma 세포와 B 림프구와 융합되어 얻어진 hybridoma 세포에는 B 림프구가 제공한 정상적인 TK나 HGPRT 효소가 있기 때문에, 이 배지에서 hybridoma 세포만이 성장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myeloma 세포와 융합되지 않은 B 림프구들은 시험관에서 계속하여 자랄 수 없는 세포들이기 때문에, 배양하다 보면 자연히 죽어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HAT이 들어있는 배지에서는 자연히 myeloma와 B 림프구가 융합된 hybridoma만이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단클론항체의 생산
HAT selection을 거쳐서 일단 hybridoma가 얻어지면, 이들 중에서 원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hybridoma세포를 선별해내야 하며, 이들 세포를 정제하여 원하는 단클론항체를 생산하는 hybridoma세포를 분리해내면, 그 세포로부터 원하는 단클론항체를 얻을 수 있다 (그림 2). 먼저, hybridoma 세포를 각각의 세포를 서로 나누어 서로 다른 배양접시에 배양한다. 배양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 배지를 이용하여 항원과 반응시켜보아 원하는 항체가 만들어진 hybridoma 클론을 선별해낸다. 이 과정을 몇 번 되풀이하면, 원하는 단클론항체만을 생산하는 하나의 hybridoma 클론을 얻을 수 있다. 원하는 hybridoma 클론이 분리되면, 이 클론을 배양하여 배양액에 존재하는 단클론항체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생쥐의 복강에 hybridoma 클론을 주사하여 얻은 복수액 (ascite fluid)으로부터 단클론항체를 얻을 수도 있다. 이렇게 얻어진 단클론항체는 면역진단, 면역치료, 그리고 항원 및 항체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 더 나아가 촉매 항체와 같은 유용한 항체를 얻는데 널리 쓰이고 있다. .
이러한 돌연변이체 myeloma 세포는 aminopterine과 thymidine, hypoxantine이 함유된 배지 (HAT medium)에서 성장할 수 없지만, myeloma 세포와 B 림프구와 융합되어 얻어진 hybridoma 세포에는 B 림프구가 제공한 정상적인 TK나 HGPRT 효소가 있기 때문에, 이 배지에서 hybridoma 세포만이 성장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myeloma 세포와 융합되지 않은 B 림프구들은 시험관에서 계속하여 자랄 수 없는 세포들이기 때문에, 배양하다 보면 자연히 죽어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HAT이 들어있는 배지에서는 자연히 myeloma와 B 림프구가 융합된 hybridoma만이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단클론항체의 생산
HAT selection을 거쳐서 일단 hybridoma가 얻어지면, 이들 중에서 원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hybridoma세포를 선별해내야 하며, 이들 세포를 정제하여 원하는 단클론항체를 생산하는 hybridoma세포를 분리해내면, 그 세포로부터 원하는 단클론항체를 얻을 수 있다 (그림 2). 먼저, hybridoma 세포를 각각의 세포를 서로 나누어 서로 다른 배양접시에 배양한다. 배양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 배지를 이용하여 항원과 반응시켜보아 원하는 항체가 만들어진 hybridoma 클론을 선별해낸다. 이 과정을 몇 번 되풀이하면, 원하는 단클론항체만을 생산하는 하나의 hybridoma 클론을 얻을 수 있다. 원하는 hybridoma 클론이 분리되면, 이 클론을 배양하여 배양액에 존재하는 단클론항체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생쥐의 복강에 hybridoma 클론을 주사하여 얻은 복수액 (ascite fluid)으로부터 단클론항체를 얻을 수도 있다. 이렇게 얻어진 단클론항체는 면역진단, 면역치료, 그리고 항원 및 항체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 더 나아가 촉매 항체와 같은 유용한 항체를 얻는데 널리 쓰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