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변증(liver cirrhosis)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지 : high fowler's 자세를 취하게 하고 무기폐나 폐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호흡 상태를 관찰하고 기침과 심호흡을 하게 한다.
☞ 피부간호 : 복수로 인한 피부 손상 위험이 있는 환자는 복부 팽만에 대한 적절한 지지를 하면서 자주 체위변경을 시켜주고 공기 침요와 같은 특별한 매트리스 사용으로 욕창을 예방한다.
☞ 환자교육 : 금주와 식이요법, 수분제한, 가정 간호의 중요성을 충분히 설명한다.
- 간성 뇌병증 :
☞ 단백질 식이 제한 : 하루에 20-40g으로 하며, 만성적인 간성 뇌병증 환자는 장기간 저단백식이가 필요하고 육류보다는 야채, 유제품의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더 좋다.
☞ 출혈 징후 관찰 : 출혈은 위장관에 단백질을 축적시켜 간성 뇌병증을 야기시키므로 혈변이나 흑색변이 있는지 관찰한다.
☞ 변비 예방
☞ 적절한 체액유지 : V/S과 중심정맥압을 자주 측정하고 전해질 불균형이 있는지 사정한다
☞ 저산소증 예방
☞ 감염 예방 : 교차감염 예방을 위해 손을 철저히 씻는다.
☞ 약물 투여시 주의점 : 이뇨제 사용은 저칼륨증을 발생ㅅ킬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약제는 사용을 피한다. 만약 뇌병증 초기에 정신장애가 발생한다면 간대신 신장으로 배설되는 phenobarbital과 같은 약물을 투여해야한다.
☞ 부동 환자 간호 : 폐의 환기를 증진시키고 자주 체위를 변경시켜 준다.
☞ 신체손상 예방 : 침대를 낮추고 침대 난간에 패드를 대어 환자의 손상을 예방한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I(보문사), 병리학(고려의학). Power Internal Medicine(군자출판사), 간경변증(대한소화기학회)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7.17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42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