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ay
③ 금기 :
1. 자궁 출혈-분만전 출혈
2. 자간,자간전증
3. 전기파수예 중 자궁내 감염을 합병하는 증례
4. 자궁내 태아사망
5. 기타 임신의 계속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자 등
④ 1. 폐부종
2. 부정맥
3. 저혈압
Hartmanns Sol.
① 효능 및 효과
② 용량
③ 금기
①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에 의한 세포외액의 보급,
보정, 대사성 산증의 보정, 에너지 보급
② 성인 1회 500-1000mL를 점적정주, 투여속도는 포도당으로서
0.5 g/kg/hr 이하
③ 금기 :
1. 젖산혈증
2. 수분과다상태
3. 저장성 탈수증
4. 고나트륨혈증
Tractocile
(Atosiban)
① 효능 및 효과
② 용량
③ 금기
④ 부작용
① 조산방지 :
1. 최소 30초간 유지되는 주기적인 자궁수축이 30분당 4회 이상 의 빈도로 발생한 경우
2. 1-3Cm가량 경부가 확장되어 있고(초산인 경우에는 0-3cm)/50% 이상의 소실을 보이는 경우
② 정맥 점적주입액은 희석하여 0.75mg/mL로 조제
③ 금기 :
1. 임신 24주 미만 또는 33주를 초과하는 임산부
2. 임신 30주 이상에서 조기양막파열이 발생
3. 자궁내 발육지연이면서 태아심박동률이 비정상
4. 즉각적인 분만이 필요한 산전 자궁 출혈
5. 기타 모체 또는 태아에게 임신의 유지가 해로운 경우
④ 두통, 현기증, 안면홍조, 발열, 구역, 구토, 빈맥, 저혈압 등
◆ 간호 과정
# 1. 태아손상 위험과 관련된 불안
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 자료>
남편 :
“아이는 괜찮은 거죠?”
“ 34주에 태어나도 아기는 위험하지 않나요? 아내가 걱정해요”
<객관적 자료>
- 자궁 수축이 시마다 불안하고 초조한 표정과 말투가 관찰됨.
-불안감과 불안 증상이 감소한다.
- 불안을 말로 표현할 수 있다.
-조용하고 안락한 환경을 제공하고 가족들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교육한다.
-환자 및 가족에게 처치 시 절차 및 태아상태와 관련된 설명을 한다.
-두려움의 정도를 사정한다.
- 두려움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 점진적인 근육이완, 상상요법 혹은 사고 중지법의 탈감작 전략을 사용하도록 한다.
-안락한 환경은 두려움에 대한 대처기전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처치의 절차 및 태아의 현재상태를 알게 됨으로써 불안이 감소한다.
-두려움의 정도를 사정함으로써 그에 알맞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 두려움을 말로 포현함으로써 정서적 반응의 강도를 낮출 수 있다.
- 여러 가지 비약물 요법으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족들에게 환자에게 제공해 주어야 할 알맞은 환경에 대해 설명해 주었다.
-태동검사 시 남편을 참여하게 하였고, 현재 태아가 건강하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 환자에게 불안의 정도를 말로표현하도록 격려하였다.
- 아기가 건강하게 태어나는 모습을 상상하도록 하여 교육하였다.
-불안이 감소되었음을 말로 표현하였다.
-산모가 불안을 느낄 때 가족들이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 자료>
산모 :
“아파요! 아파요”
<객관적 자료>
- 자궁 수축시마다 찡그리거나 우는 모습이 관찰됨
- 자궁 수축 검사시 7회/30분, 50~60mmHg의 강도로 자궁 수축이 일어나는 것이 관찰됨.
-통증이 감소하였음을 말로 표현한다.
-통증의 수치가 감소한다.
- 통증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지속적으로 통증의 강도 및 사정한다.
-통증과 관련된 약물을 사용한다.
-전환요법 및 이완요법을 시행한다.
-편안한 체위를 교육한다.
-통증을 말로 표현함으로써 적절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통증을 사정함으로써 앞으로의 간호를 계획한다.
-알맞은 약물은 통증을 감소시킨다.
-전환요법과 이완요법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킨다.
-편안한 체위는 통증을 감소시킨다.
-병실 내 Cell Bell의 위치를 교육하고 통증이 있을 때 표현하도록 교육하였다.
-Dr order에 따라 4시간 간격으로 Monitor를 달아 환자의 자궁수축시간 및 강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Dr order에 의한 Ritodrine을 투여하였다.
-Lateral position을 격려하였다.
-통증이 감소 되었음을 말로 표현하였다.
- Monitor상 3회/30분, 30~40mmHg로 자궁수축의 강도 및 빈도가 줄어든 것이 관찰되었다.
# 2. 자궁수축과 관련된 통증
#3. 침상안정과 관련된 무력감
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 자료>
남편 :
“ 아내가 병실 생활에 대해 따분해 합니다”
“ 언제까지 안정을 취해야 해요? ”
<객관적 자료>
- 침상에서 특별한 여가활동 없이 시간을 보내고 있는 모습이 관찰.
- 침상안정을 잘 이행하지 않고 돌아다니는 모습 관찰.
-지루한 감정이 사라지는 것을 말로 표현한다.
-침대에서 수행 할 수 있는 개인에게 의미있는 활동을 알아내도록 돕는다.
-선택한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때 가족들이 지지해준다.
-병실 내에서 함께 침상안정중인 다른 임부들과 대화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개인에게 의미있는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무력감이 감소한다.
-정서적 지지는 환자가 선택한 활동의 지속성을 높이고 환자에게 긍정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함께 침상안정 중인 임부들과의 대화를 통해 지지를 얻고 서로 감정을 나눌 수 있다.
-환자가 평소 흥미를 느꼈던 취미활동을 사정하고 독서를 권장하였다.
-가족들에게 산모에게 정서적 지지가 될 것을 교육하였다.
- 병실 사람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지지하였다.
-취침시간 외에 독서 및 태교를 위한 음악 감상 하는 모습이 관찰됨.
-무력감을 느끼지 않고 침상안정을 잘 수행하는 모습이 관찰됨.
-가족들의 정서적 지지가 부족하여 추후 지속적인 관찰 및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 참고문헌
- 모성간호학 아동간호학 2 (이웅현 퍼시픽 출판사,2005 175~176p)
- 고위험 모성간호학 (조미영, 이경혜 공저 수문사,1992 225~230p)
- 모성, 여성건강간호학 2 (유은광 외 공저 현문사, 2005 444~460p)
- 한국병원약사회(http://www.kshp.or.kr)
③ 금기 :
1. 자궁 출혈-분만전 출혈
2. 자간,자간전증
3. 전기파수예 중 자궁내 감염을 합병하는 증례
4. 자궁내 태아사망
5. 기타 임신의 계속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자 등
④ 1. 폐부종
2. 부정맥
3. 저혈압
Hartmanns Sol.
① 효능 및 효과
② 용량
③ 금기
①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에 의한 세포외액의 보급,
보정, 대사성 산증의 보정, 에너지 보급
② 성인 1회 500-1000mL를 점적정주, 투여속도는 포도당으로서
0.5 g/kg/hr 이하
③ 금기 :
1. 젖산혈증
2. 수분과다상태
3. 저장성 탈수증
4. 고나트륨혈증
Tractocile
(Atosiban)
① 효능 및 효과
② 용량
③ 금기
④ 부작용
① 조산방지 :
1. 최소 30초간 유지되는 주기적인 자궁수축이 30분당 4회 이상 의 빈도로 발생한 경우
2. 1-3Cm가량 경부가 확장되어 있고(초산인 경우에는 0-3cm)/50% 이상의 소실을 보이는 경우
② 정맥 점적주입액은 희석하여 0.75mg/mL로 조제
③ 금기 :
1. 임신 24주 미만 또는 33주를 초과하는 임산부
2. 임신 30주 이상에서 조기양막파열이 발생
3. 자궁내 발육지연이면서 태아심박동률이 비정상
4. 즉각적인 분만이 필요한 산전 자궁 출혈
5. 기타 모체 또는 태아에게 임신의 유지가 해로운 경우
④ 두통, 현기증, 안면홍조, 발열, 구역, 구토, 빈맥, 저혈압 등
◆ 간호 과정
# 1. 태아손상 위험과 관련된 불안
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 자료>
남편 :
“아이는 괜찮은 거죠?”
“ 34주에 태어나도 아기는 위험하지 않나요? 아내가 걱정해요”
<객관적 자료>
- 자궁 수축이 시마다 불안하고 초조한 표정과 말투가 관찰됨.
-불안감과 불안 증상이 감소한다.
- 불안을 말로 표현할 수 있다.
-조용하고 안락한 환경을 제공하고 가족들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교육한다.
-환자 및 가족에게 처치 시 절차 및 태아상태와 관련된 설명을 한다.
-두려움의 정도를 사정한다.
- 두려움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 점진적인 근육이완, 상상요법 혹은 사고 중지법의 탈감작 전략을 사용하도록 한다.
-안락한 환경은 두려움에 대한 대처기전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처치의 절차 및 태아의 현재상태를 알게 됨으로써 불안이 감소한다.
-두려움의 정도를 사정함으로써 그에 알맞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 두려움을 말로 포현함으로써 정서적 반응의 강도를 낮출 수 있다.
- 여러 가지 비약물 요법으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족들에게 환자에게 제공해 주어야 할 알맞은 환경에 대해 설명해 주었다.
-태동검사 시 남편을 참여하게 하였고, 현재 태아가 건강하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 환자에게 불안의 정도를 말로표현하도록 격려하였다.
- 아기가 건강하게 태어나는 모습을 상상하도록 하여 교육하였다.
-불안이 감소되었음을 말로 표현하였다.
-산모가 불안을 느낄 때 가족들이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 자료>
산모 :
“아파요! 아파요”
<객관적 자료>
- 자궁 수축시마다 찡그리거나 우는 모습이 관찰됨
- 자궁 수축 검사시 7회/30분, 50~60mmHg의 강도로 자궁 수축이 일어나는 것이 관찰됨.
-통증이 감소하였음을 말로 표현한다.
-통증의 수치가 감소한다.
- 통증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지속적으로 통증의 강도 및 사정한다.
-통증과 관련된 약물을 사용한다.
-전환요법 및 이완요법을 시행한다.
-편안한 체위를 교육한다.
-통증을 말로 표현함으로써 적절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통증을 사정함으로써 앞으로의 간호를 계획한다.
-알맞은 약물은 통증을 감소시킨다.
-전환요법과 이완요법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킨다.
-편안한 체위는 통증을 감소시킨다.
-병실 내 Cell Bell의 위치를 교육하고 통증이 있을 때 표현하도록 교육하였다.
-Dr order에 따라 4시간 간격으로 Monitor를 달아 환자의 자궁수축시간 및 강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Dr order에 의한 Ritodrine을 투여하였다.
-Lateral position을 격려하였다.
-통증이 감소 되었음을 말로 표현하였다.
- Monitor상 3회/30분, 30~40mmHg로 자궁수축의 강도 및 빈도가 줄어든 것이 관찰되었다.
# 2. 자궁수축과 관련된 통증
#3. 침상안정과 관련된 무력감
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 자료>
남편 :
“ 아내가 병실 생활에 대해 따분해 합니다”
“ 언제까지 안정을 취해야 해요? ”
<객관적 자료>
- 침상에서 특별한 여가활동 없이 시간을 보내고 있는 모습이 관찰.
- 침상안정을 잘 이행하지 않고 돌아다니는 모습 관찰.
-지루한 감정이 사라지는 것을 말로 표현한다.
-침대에서 수행 할 수 있는 개인에게 의미있는 활동을 알아내도록 돕는다.
-선택한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때 가족들이 지지해준다.
-병실 내에서 함께 침상안정중인 다른 임부들과 대화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개인에게 의미있는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무력감이 감소한다.
-정서적 지지는 환자가 선택한 활동의 지속성을 높이고 환자에게 긍정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함께 침상안정 중인 임부들과의 대화를 통해 지지를 얻고 서로 감정을 나눌 수 있다.
-환자가 평소 흥미를 느꼈던 취미활동을 사정하고 독서를 권장하였다.
-가족들에게 산모에게 정서적 지지가 될 것을 교육하였다.
- 병실 사람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지지하였다.
-취침시간 외에 독서 및 태교를 위한 음악 감상 하는 모습이 관찰됨.
-무력감을 느끼지 않고 침상안정을 잘 수행하는 모습이 관찰됨.
-가족들의 정서적 지지가 부족하여 추후 지속적인 관찰 및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 참고문헌
- 모성간호학 아동간호학 2 (이웅현 퍼시픽 출판사,2005 175~176p)
- 고위험 모성간호학 (조미영, 이경혜 공저 수문사,1992 225~230p)
- 모성, 여성건강간호학 2 (유은광 외 공저 현문사, 2005 444~460p)
- 한국병원약사회(http://www.kshp.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