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상보행
1) 보행주기
2) 입각기와 유각기
3) 정상보행의 특징
4) 체간과 상지의 움직임은 보행동안 균형을 유지하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데 기여
5) 보행시 작용하는 근 활동
2. 이상보행
1) 구조상의 이상으로 인한 이상보행
2) 동통성 보행
3) 중추신경계 질환에 의한 이상 보행
4) 말초신경에 의한 이상보행
3. abnormal gait
- Antalgic(painful) gait
- Ataxic gait
- Equinus gait (첨족 보행)
- Gluteus maximus gait
- Gluteus medius(trendelenburg`s) gait (waddling gait)
- Hemiplegic gait
- Parkinsonian gait
- Plantar flexor gait
- Psoatic limp( 요근성 절뚝거림 )
- Quadriceps gait
- Scissors gait(가위보행)
- Steppage or Drop foot gait
1) 보행주기
2) 입각기와 유각기
3) 정상보행의 특징
4) 체간과 상지의 움직임은 보행동안 균형을 유지하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데 기여
5) 보행시 작용하는 근 활동
2. 이상보행
1) 구조상의 이상으로 인한 이상보행
2) 동통성 보행
3) 중추신경계 질환에 의한 이상 보행
4) 말초신경에 의한 이상보행
3. abnormal gait
- Antalgic(painful) gait
- Ataxic gait
- Equinus gait (첨족 보행)
- Gluteus maximus gait
- Gluteus medius(trendelenburg`s) gait (waddling gait)
- Hemiplegic gait
- Parkinsonian gait
- Plantar flexor gait
- Psoatic limp( 요근성 절뚝거림 )
- Quadriceps gait
- Scissors gait(가위보행)
- Steppage or Drop foot gait
본문내용
근(발목의 외반) : 유각기시 길항근의 작용으로 내반.
abnormal gait
- Antalgic(painful) gait
환측다리의 입각기 감소 건측다리의 유각기 감소 정상측 보폭이 짧아지고 보행속고고 감소하면 도보수가 감소한다. 만약 환측이 환자의 손이 닿는 부위라면 아픈 부위를 지지하여 다른 팔로 좌우 균형을 맞춘다.
- Ataxic gait
소뇌성 운동실조를 가진 사람 보행은 비틀거리면서 걷고 모든 움직임이 과도하게 일어난다. 감각성 운동실조를 가진 환자는 발은 땅을 때리듯 내려 놓는다 그들은 감각을 느끼지 때문 또한 발을 처다 보면 걷는다. 보행은 불규칙적이고 갑자기 움직이며 뒤엉키게 된다.
- Equinus gait (첨족 보행)
쩔뚝거리는 보행 , 골반과 대퇴의 외회전은 경골과 발의 내전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행
- Gluteus maximus gait
입각기에 다리의 신전을 유지하기 위해 초기 접촉에 흉곽을 뒤로 민다. 결국 보행은 체간을 뒤로 젖히고 걷는 특징을 보인다 .
- Gluteus medius(trendelenburg`s) gait (waddling gait)
고관전 외전근의 약화 한자는 중력중심을 서있는 다리 위로 옮기기 위해 흉곽을 외측으로 과도 하게 밀며 외측으로 기울인다. 양측이 모두 약하다면 보행이 좌우로 흔들린다.
- Hemiplegic gait
팔을 체간을 가로질러 끌어당기고 견갑골은 내전 된다 전완은 회전되고 팔은 주관절과 손목에서 굴곡되고, 손은 중수 지절관절에서 굴곡된다. 다리는 고관절과 슬관절에서 신전된다 한자는 보행시 손상된 다리를 외측으로 원을 그리듯 걷는다.
- Parkinsonian gait
머리와 체간 슬관절은 굴곡 되어 있고 두 팔은 부적절한 연합반응으로 다소 굳은 채 있다. 보행은 질질 끌면서 나아가거나 짧게 여러 번 빠른 걸음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환자를 앞으로 기울이면 점점 더 빨리 걸어서 멈출 수 없게 된다. (가속보행)
- Plantar flexor gait
입각기가 짧아지고 침범되지 않은 쪽의 보폭이 더 짧아진다.( Flat foot gait , calcanecus gait)
- Psoatic limp( 요근성 절뚝거림 )
레그-칼베-페르테스병 에 의해서 고관절이 손상된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고관절의 외회전 굴곡 내전
- Quadriceps gait
체간의 전방굴곡과 강한 족관절 저측 굴곡은 슬관절을 신전시킨다 (back knee gait)
- Scissors gait(가위보행)
고관절 내전근의 경련성마비로 인해서 나타난다. 짧은 다리보행 (short leg gait) 환자는 손상된 쪽에서 외측으로 이동되고, 손상 쪽의 골반이 아래로 내려가 절뚝거린다 . 환자는 또한 하지를 늘이기 손상된 쪽의 발을 회외 시킨다.
- Steppage or Drop foot gait
Tibialis Anterior손상 슬관절을 정상보다 더 높이 들어올린다. 초기 접촉시에는 땅에 탁 내려 놓는다. 슬관절 고정 Circumduction gait
abnormal gait
- Antalgic(painful) gait
환측다리의 입각기 감소 건측다리의 유각기 감소 정상측 보폭이 짧아지고 보행속고고 감소하면 도보수가 감소한다. 만약 환측이 환자의 손이 닿는 부위라면 아픈 부위를 지지하여 다른 팔로 좌우 균형을 맞춘다.
- Ataxic gait
소뇌성 운동실조를 가진 사람 보행은 비틀거리면서 걷고 모든 움직임이 과도하게 일어난다. 감각성 운동실조를 가진 환자는 발은 땅을 때리듯 내려 놓는다 그들은 감각을 느끼지 때문 또한 발을 처다 보면 걷는다. 보행은 불규칙적이고 갑자기 움직이며 뒤엉키게 된다.
- Equinus gait (첨족 보행)
쩔뚝거리는 보행 , 골반과 대퇴의 외회전은 경골과 발의 내전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행
- Gluteus maximus gait
입각기에 다리의 신전을 유지하기 위해 초기 접촉에 흉곽을 뒤로 민다. 결국 보행은 체간을 뒤로 젖히고 걷는 특징을 보인다 .
- Gluteus medius(trendelenburg`s) gait (waddling gait)
고관전 외전근의 약화 한자는 중력중심을 서있는 다리 위로 옮기기 위해 흉곽을 외측으로 과도 하게 밀며 외측으로 기울인다. 양측이 모두 약하다면 보행이 좌우로 흔들린다.
- Hemiplegic gait
팔을 체간을 가로질러 끌어당기고 견갑골은 내전 된다 전완은 회전되고 팔은 주관절과 손목에서 굴곡되고, 손은 중수 지절관절에서 굴곡된다. 다리는 고관절과 슬관절에서 신전된다 한자는 보행시 손상된 다리를 외측으로 원을 그리듯 걷는다.
- Parkinsonian gait
머리와 체간 슬관절은 굴곡 되어 있고 두 팔은 부적절한 연합반응으로 다소 굳은 채 있다. 보행은 질질 끌면서 나아가거나 짧게 여러 번 빠른 걸음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환자를 앞으로 기울이면 점점 더 빨리 걸어서 멈출 수 없게 된다. (가속보행)
- Plantar flexor gait
입각기가 짧아지고 침범되지 않은 쪽의 보폭이 더 짧아진다.( Flat foot gait , calcanecus gait)
- Psoatic limp( 요근성 절뚝거림 )
레그-칼베-페르테스병 에 의해서 고관절이 손상된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고관절의 외회전 굴곡 내전
- Quadriceps gait
체간의 전방굴곡과 강한 족관절 저측 굴곡은 슬관절을 신전시킨다 (back knee gait)
- Scissors gait(가위보행)
고관절 내전근의 경련성마비로 인해서 나타난다. 짧은 다리보행 (short leg gait) 환자는 손상된 쪽에서 외측으로 이동되고, 손상 쪽의 골반이 아래로 내려가 절뚝거린다 . 환자는 또한 하지를 늘이기 손상된 쪽의 발을 회외 시킨다.
- Steppage or Drop foot gait
Tibialis Anterior손상 슬관절을 정상보다 더 높이 들어올린다. 초기 접촉시에는 땅에 탁 내려 놓는다. 슬관절 고정 Circumduction g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