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생물학-Isolation of plasmid DN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세포생물학 실험Ⅱ
Exp.2 Isolation of plasmia DNA

1.Introduction
(1). Plasmid의 유전자
(2). Plasmid의 분리방법
(3). Plasmid DNA 추출(분리)

*Reference


세포생물학 실험Ⅱ
Exp.2 Isolation of plasmia DNA

2. Material
3.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Reference

본문내용

의 EtOH 1ml를 벽면을 따라 분주한다. 이는 세척을 하는 작용으로 원심분 후 벽에 붙어있는 DNA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벽면에 있는 DNA를 씻겨 내려오도록 하는 것이다. 얼음속에 잠시 넣은 뒤 원심분리를 한 후 상층액을 다시 제거한다. 그러고 나면 pellet이 tube의 한쪽 끝에 모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후에는 genomic DNA추출과 같이 air dry를 잠깐 시킨후 D.W 50ul((RNase 1mg/l 첨가)를 첨가한다. 이때 DNA pellet을 현탁하고 37℃에서 10분간 방치를 하는데 이는 마지막으로 남은 RNase를 처리하기 위함이다.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알칼리 변성법은 여러 가지로 또 내부에서 나뉘는데 그 중 DNA 수득률이 가장 높은 실험방법을 선택하였다. 시약으로 넣었던 SDS는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단백질 변형제:세포막의 지질 성분을 용해시켜 세포막 파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NaOH(alkali)로 처리하는 것은 세균 세포를 부수는 동시에 DNA염기쌍의 수소결합을 파괴하여 이중나선 구조를 분리시킨다. 이어서 넣었던 3M sodium acetate을 가하여 중화시키면,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plasmid는 다시 이중나선 구조로 결합되어 상등액에 남는 반면 직선형의 세균 염색체 DNA와 단백질은 3M sodium과 SDS간에 형성되는 complex 속에 갇혀 침전된다. 이 방법은 plasmid DNA와 염색체 DNA간에 구조적 차이에 기인하여 plasmid DNA만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Agrobacterium은 토양미생물로서 자신의 특정부위 유전자를 식물세포로 이동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Agrobacterium은 Ti플라스미드라고 하는 환형의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 플라스미드내의 T-DNA(Transferred DNA)는 숙주식물의 염색체 안으로 끼어 들어가 발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유용유전자를 T-DNA 대신에 식물 세포안으로 집어넣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많은 영역에서 사용하고 있다. 다시말하면 Agrobacterium은 일종의 유전자 운반자이다.
*Reference
식물분자생물학연구법/남홍길,안진홍/아카데미서적/2004/P22~P26
유전자진단의이론과실체/김영설, 이홍규/도서출판한의학/1999/P29~P33
분자생물학노트/한국과학기술연구원생명공학연구소/한림원/1998/P33~P40, P69~P77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7.27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5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