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형제의 생애와 동화 문학의 세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림형제의 생애와 동화 문학의 세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그림형제( Brüder Grimm)의 생애
(1)그림형제
①초기 하나우 및 카셀 시기
②괴팅엔 시기
③베를린 시기
(2)그림형제가 동화를 수집한 의도
2. 동화문학의 세계
(1) 동화란 무엇인가?
①동화의 다양한 정의
② 동화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정의
(2)동화문학의 세계
① 시 간
② 공 간
③ 등장인물

본문내용

장인물
1) 무특성
현실세계와는 다른 시간과 공간을 가진 동화세계를 형성하고 움직이는 것은 그 속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이다. 동화세계에서 활동하는 인간과 생물체들이 현실세계에서도 발견되므로, 동화의 독자나 청취자는 그 등장인물들이 현실세계 속에서 갖는 성질과 특성을 가지기를 기대하지만, 동화세계에서는 이런 기대가 충족되지 않는다. 현실세계의 인간이나 생물체를 동화세계로 끌어들여 오면서 동화는 동화세계에 적합하도록 기능과 역할을 부여한다. 그런데 현실세계의 인간이나 생물체에 새로운 성질과 형상을 부여하기 위해 동화는 아주 체계화된 규칙성을 따르고 있다. 새로운 형상화의 길을 열어주기 위해 동화세계의 등장인물을 언급할 때에 그 등장인물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 말하자면 등장인물에 대해 그 특성과 본질을 알 수 있도록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어떤 수식어도 사용하지 않는다. 동화에서 등장인물이나 사물을 언급할 때 고유명사를 사용하지 않고, 수식어나 설명을 붙이지 않고 단순한 일반명사를 사용하는 것은 현실세계에서 동화세계로 유입된 인물과 사물을 무특성적 상태로 만들어 동화세계에 적합한 새로운 존재로 만들어내기 위함이다.
2) 무감각성
동화세계의 등장인물은 현실세계에서처럼 감정이나 감각을 소유하고 있지 않아야 한다. 어떤 기상천외한 현상이나 사건을 대하더라도 인간은 느끼지 못하고 어떤 감정의 표현도 하지 않는다. 즉 등장인물은 무감각성 법칙에 적용을 받는다. 그래서 등장인물에게는 감정 결핍현상이 발견되어, 등장인물은 감정을 체험하지 못한다.
3) 기능성
‘과제부여’-‘과제해결’이라는 모티브사슬로 연결되어 있는 사건들 속에서 활동하는 동화세계의 등장인물들은 이 모티브사슬과 관련하여 역할과 기능을 부여받는다. 말하자면 등장인물은 현실세계에서 통용되는 어떤 명칭을 갖고 있을지라도 과제 해결자, 과제 부여자, 조력자, 적수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현실세계의 인물들이 동화세계에서도 똑같은 역할과 기능을 할 것이라고 예상한다면 동화세계는 말 그대로 현실과는 유리된 환상적인 것일 수밖에 없다.
※동화는 “현실세계의 본질적 상”을 전달해 주기 위해 특유의 동화세계를 만들어 냈다. 이 동화세계는 현실세계의 요소들로 구성되어있지만, 현실의 외적 세계와는 완전히 다른 대비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동화세계를 만들어내기 위해 다양한 문학적 형상화의 테크닉이 사용되는데, 여기에는 규칙성과 통일성이 지배한다. 문학적으로 형상화된 동화세계는 불확정성의 특징을 갖게 되는데, 이 불확정성을 통해 동화세계에 유입된 현실세계의 구성요소들은 한편으로 현실세계의 기능과 역할을 잃어버리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동화세계에서 수행해야할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부여받게 된다. 이 새로운 기능과 역할은 동화의 주제를 구체화시키는 사건들에 의해 새로이 규정된다. 말하자면 동화세계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현실세계의 요소는 재료이며 동화세계에서 이 재료는 새로운 문학적 형성화를 경험하게 됨으로써, 동화세계는 그 자체로 완전하고 독립적이며 현실세계와 대비를 이룬다. 이같은 동화세계의 형성은 사건들의 진행과정에 의해 구체화의 과정을 거치게 되고, 또 이 동화세계의 구체화는 역사적 시기와 장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동화세계의 형성 테크닉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서 출발하여 동화문학의 세계를 구체화시키는 사건들을 분석하면 동화문학연구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동화해석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L. Denecke 의 글
[논문] 독일민족에게 있어서 그림형제 동화의 가치 - 김 정 철(한동대)
[논문] 동화세계의 형성 테크닉 - 김 정 철 (경북대)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8.06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6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