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빈곤아동의 개요
1) 빈곤아동이란?
2) 아동빈곤의 유형
3) 빈곤아동의 사회 심리적 특성
Ⅱ. 빈곤아동 지원 정책 내용과 현황
1) 드림스타트 사업
2) 디딤씨앗 통장(CDA)사업
3) 아동 급식 지원
4) 방과후 돌봄 및 활동지원
5) 청소년공부방
< 참고자료 >
1) 빈곤아동이란?
2) 아동빈곤의 유형
3) 빈곤아동의 사회 심리적 특성
Ⅱ. 빈곤아동 지원 정책 내용과 현황
1) 드림스타트 사업
2) 디딤씨앗 통장(CDA)사업
3) 아동 급식 지원
4) 방과후 돌봄 및 활동지원
5) 청소년공부방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아동센터의 프로그램 내용
구분
상세 내용
생활지원(보호)프로그램
지역사회 내 방임 아동보호, 일상생활 지원, 건강생활 지도, 위생 지도, 안전 지도, 급식제공
이용자 사례관리
상담, 부모교육, 가족상담, 결연후원, 아동사례 관리, 가족지원하기 등
지역자원 연계 프로그램
지역 내 인적 자원 확보 및 관리, 물적 자원 확보 및 관리, 관련기관 연계프로그램, 홍보 등
학습지원 프로그램
학교생활 준비 지원, 학년별 학습지도하기, 학습 부진아 지도, 학습지원 성과 평가하기, 숙제지도, 예체능 교육 등
놀이 및 특별활동지원
문화체험, 견학, 캠프, 공동체 활동, 놀이 활동 지원, 특기 적성 프로그램 지원 등
(자료 : 보건복지가족부(2009). 아동청소년사업 안내)
(2)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는 저소득·맞벌이·한부모 등 취약계층 가정의 방과후 홀로 시간을 보내는 청소년들에 대하여 학습능력 배양·체험활동·급식·건강관리·상담 등 종합 학습 지원 및 복지·보호를 통해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을 지원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및 학교와 가정·지역사회가 연계하여 공교육을 보완하는 방과 후 활동을 통해 공적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고, 2005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된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따른 다양한 복지적 서비스를 제공하여 계층 간 격차 완화 및 사회통합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가에서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 연도별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지원 개소 >
구분
2005
2006
2007
2008
지원 개소
46
100
150
190
(자료: 보건복지부)
(3) 아동복지교사
① 아동복지교사 사업배경
아동복지교사 사업은 빈곤아동 문제에 종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본 인프라 구축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다양한 욕구와 필요에 맞는 서비스 제공이 주요 목적이다. 2007년부터 아동복지교사를 선발하고 파견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의 역할 및 기능강화와 사회적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② 아동복지교사 사업현황
아동지도, 학습, 영어, 독서지도, 예능체육교사 등 총 10개 분야에 2,905명의 아동복지교사를 고용하여, 각 영역별로 기초, 심화, 보수 교육을 통해 전문 인력으로 양성하였고 전국 2,297개소 지역아동센터에 파견하고 있다.
5) 청소년공부방
(1) 청소년 공부방 유형
청소년 공부방 유형은 학습할 수 있는 공간만 제공하는‘가’형과 학습공간 제공 외에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나’형의 공부방이 있다.
① ‘가’형의 공부방
열람실(도서정보실 등 포함) 좌석 수 30석 이상 확보하여야 하며 사무실(상담실 겸함), 도서정보실, 화장실, 기타 이용시설을 갖추되 모두 합한 면적이 전용면적 66㎡(20평)이상이어야 한다. 종사자로 는 관장 1인, 관리인(행정원) 1인 이상을 두며, 자원봉사자를 두어 업무를 보조하게 할 수 있다.
② ‘나’형 공부방
열람실(도서정보실, 프로그램실 등 포함) 좌석 수 50석 이상 확보하여야 하며 사무실(상담실 겸함), 도서정보실, 학습지도실 또는 다목적 프로그램실, 화장실, 기타 이용시설을 갖추되 모두 합한 면적이 전용면적 132㎡(40평)이상이어야 한다. 종사자는 관장 1인, 지도교사 1인, 관리인(행정원) 1인 이상을 두며 자원봉사자를 두어 업무를 보조하게 할 수 있다.
(2) 청소년 공부방 운영 현황
청소년 공부방 운영은 국가와 지방지치단체가 연계(50%:50%)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2008년도 기준 344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 시·도별 청소년 공부방 운영 현황> (2008.12.31 기준, 단위 : 개소)
구분
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06
327
0
37
22
12
16
14
4
26
29
34
0
16
16
28
49
25
2007
343
0
37
19
27
16
13
4
25
27
34
0
17
20
28
50
26
2008
344
0
37
19
26
13
14
4
25
27
31
0
16
23
28
53
28
(자료: 보건복지부)
< 참고자료 >
「빈곤한 아동의 현황 및 고찰」장혜자, 한국생활과학회(2000)
「빈곤과 불평등의 동향 및 요인분해」여유진·김미곤·김태완·양시현·최현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5)
「빈곤아동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조직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곽은정,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논문(2003)
「2009 아동청소년백서」보건복지부(2009)
「2008 보건복지가족백서」보건복지부(2009)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드림스타트 홈페이지
구분
상세 내용
생활지원(보호)프로그램
지역사회 내 방임 아동보호, 일상생활 지원, 건강생활 지도, 위생 지도, 안전 지도, 급식제공
이용자 사례관리
상담, 부모교육, 가족상담, 결연후원, 아동사례 관리, 가족지원하기 등
지역자원 연계 프로그램
지역 내 인적 자원 확보 및 관리, 물적 자원 확보 및 관리, 관련기관 연계프로그램, 홍보 등
학습지원 프로그램
학교생활 준비 지원, 학년별 학습지도하기, 학습 부진아 지도, 학습지원 성과 평가하기, 숙제지도, 예체능 교육 등
놀이 및 특별활동지원
문화체험, 견학, 캠프, 공동체 활동, 놀이 활동 지원, 특기 적성 프로그램 지원 등
(자료 : 보건복지가족부(2009). 아동청소년사업 안내)
(2)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는 저소득·맞벌이·한부모 등 취약계층 가정의 방과후 홀로 시간을 보내는 청소년들에 대하여 학습능력 배양·체험활동·급식·건강관리·상담 등 종합 학습 지원 및 복지·보호를 통해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을 지원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및 학교와 가정·지역사회가 연계하여 공교육을 보완하는 방과 후 활동을 통해 공적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고, 2005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된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따른 다양한 복지적 서비스를 제공하여 계층 간 격차 완화 및 사회통합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가에서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 연도별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지원 개소 >
구분
2005
2006
2007
2008
지원 개소
46
100
150
190
(자료: 보건복지부)
(3) 아동복지교사
① 아동복지교사 사업배경
아동복지교사 사업은 빈곤아동 문제에 종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본 인프라 구축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다양한 욕구와 필요에 맞는 서비스 제공이 주요 목적이다. 2007년부터 아동복지교사를 선발하고 파견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의 역할 및 기능강화와 사회적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② 아동복지교사 사업현황
아동지도, 학습, 영어, 독서지도, 예능체육교사 등 총 10개 분야에 2,905명의 아동복지교사를 고용하여, 각 영역별로 기초, 심화, 보수 교육을 통해 전문 인력으로 양성하였고 전국 2,297개소 지역아동센터에 파견하고 있다.
5) 청소년공부방
(1) 청소년 공부방 유형
청소년 공부방 유형은 학습할 수 있는 공간만 제공하는‘가’형과 학습공간 제공 외에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나’형의 공부방이 있다.
① ‘가’형의 공부방
열람실(도서정보실 등 포함) 좌석 수 30석 이상 확보하여야 하며 사무실(상담실 겸함), 도서정보실, 화장실, 기타 이용시설을 갖추되 모두 합한 면적이 전용면적 66㎡(20평)이상이어야 한다. 종사자로 는 관장 1인, 관리인(행정원) 1인 이상을 두며, 자원봉사자를 두어 업무를 보조하게 할 수 있다.
② ‘나’형 공부방
열람실(도서정보실, 프로그램실 등 포함) 좌석 수 50석 이상 확보하여야 하며 사무실(상담실 겸함), 도서정보실, 학습지도실 또는 다목적 프로그램실, 화장실, 기타 이용시설을 갖추되 모두 합한 면적이 전용면적 132㎡(40평)이상이어야 한다. 종사자는 관장 1인, 지도교사 1인, 관리인(행정원) 1인 이상을 두며 자원봉사자를 두어 업무를 보조하게 할 수 있다.
(2) 청소년 공부방 운영 현황
청소년 공부방 운영은 국가와 지방지치단체가 연계(50%:50%)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2008년도 기준 344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 시·도별 청소년 공부방 운영 현황> (2008.12.31 기준, 단위 : 개소)
구분
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06
327
0
37
22
12
16
14
4
26
29
34
0
16
16
28
49
25
2007
343
0
37
19
27
16
13
4
25
27
34
0
17
20
28
50
26
2008
344
0
37
19
26
13
14
4
25
27
31
0
16
23
28
53
28
(자료: 보건복지부)
< 참고자료 >
「빈곤한 아동의 현황 및 고찰」장혜자, 한국생활과학회(2000)
「빈곤과 불평등의 동향 및 요인분해」여유진·김미곤·김태완·양시현·최현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5)
「빈곤아동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조직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곽은정,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논문(2003)
「2009 아동청소년백서」보건복지부(2009)
「2008 보건복지가족백서」보건복지부(2009)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드림스타트 홈페이지
추천자료
빈곤아동의 실태와 방안
아동학대, 빈곤아동, 성학대 정의 및 사례와 개입
빈곤아동
빈곤가족 내 빈곤아동을 위한 복지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향
빈곤아동의 사회적지지 그리고 부적응행동
빈곤아동의 문제점 및 복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빈곤아동의 개념, 특성, 문제점, 개선방안
사회복지사로서 지역사회의 아동빈곤 문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전달체계...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로서 지역사회의 아동빈곤문제에 대한 ...
빈곤아동에 대한 정의 및 서비스 프로그램과 이에 대한 문제점 및 복지대책을 정리해 보시오.
빈곤아동에 대하여
[아동복지] 아동복지의 대상 중 장애아동이나 빈곤아동의 사례를 들어 개별아동복지실천과정...
[아동복지론] 위스타트 프로그램과 드림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해서 조사하고 두 프로그램을 비...
빈곤아동복지 서비스의 문제점과 복지 대책에 대하여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