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의 현실과 변화,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의 기대효과, 미국, 영국, 일본의 디지털TV(디지털방송) 사례,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 문제점과 과제 및 최적화 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의 현실과 변화,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의 기대효과, 미국, 영국, 일본의 디지털TV(디지털방송) 사례,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 문제점과 과제 및 최적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의 현실

Ⅲ.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으로 인한 변화

Ⅳ.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의 기대효과
1. 이용자 측면
2. 방송사 측면
3. 정부 측면
4. 전자․정보통신 산업계 측면

Ⅴ. 미국과 영국의 디지털TV(디지털방송) 사례

Ⅵ. 일본의 디지털TV(디지털방송) 사례

Ⅶ.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의 문제점과 과제

Ⅷ.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의 최적화 방안
1. SDTV
2. HDTV
3. WIDE TV
1) WIDE Screen TV
2) 기존 4:3 방송 장비의 활용
3) 16:9 겸용 방송장비의 활용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필요성 등에 대한 정보가 최소한 소비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소비자단체들이라도 나서 정부의 조치가 있기 전이라도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운동을 벌여야 한다.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가장 효과적인 소비자 피해 예방법이다.
방송 방식 결정 과정에 대한 여러 가지 의문점과 문제가 드러난 만큼, 지금까지의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에 상응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정책의 논의와 결정과정, 국회 관련 상임위 논의 내용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전체 국민의 편익 즉 소비자 이익의 관점에서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소비자 이익에 반하거나 위법한 내용은 없었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공유해야 하며, 이를 통해 올바른 사회적 판단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Ⅷ. 디지털방송(디지털TV, 디지털티비)의 최적화 방안
지상파 디지털화방안은 화질면에서는 SDTV급의 방송을 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HDTV 방송을 할 것이므로 이에 따른 방송시설의 전환을 각 방식에 따라 최적화방안을 살펴보기로 한다.
1. SDTV
Grand Alliance가 채택한 미국의 디지털 SDTV방식의 기본 사양은 다음과 같다.
항 목
내 용
유효화소수
704(H) × 480(V)
640(H) × 480(V)
프레임율
60Hz Progressive, Interlace
화면의 가로: 세로 비율
16:9 또는 4:3
4:3
디지털 압축방식
MPEG-2
디지털 변조방식
지상파는 8VSB, CATV는 16VSB
음성 방식
Dolby AC-3(CD급)
최소의 비용으로 SDTV 디지털 방송을 하기위해 기존장비의 최대활용한다. 방송시설로 연주소(주조정실, 부조정실, 종합편집실, 중계차, 편집실, 취재용카메라 등)과 송신소 시설이 있다.
극단적인 경영악화로 최소의 설비투자만 가능할 경우 모든 제작 시스템은 현재를 유지하고 송출만 디지털화하여 아날로그 송신시 생기는 신호열화를 방지하여 보다나은 화면으로 시청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송출시설을 디지털화한다. 즉, 주조정실을 디지털화하고 디지털 송신기로 방송한다.
소요품명: 디지털송신기, 디지털 M/W셋, 디지털 송출 스위처, 디지털루틴 스위쳐,
2. HDTV
ITU(국제통신연합)는 HDTV를 ‘현행 TV보다 2배 이상의 수직, 수평 해상도를 가지며 Cross Color 등과 같은 현행 TV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현행 TV보다 넓은 16:9 화면과 CD음질 수준의 디지털 오디오 성능을 갖는다.’ 고 정의한다.
Grand Alliance가 채택한 미국의 디지털 HDTV방식의 기본 사양은 다음과 같다.
항 목
내 용
유효화소수
1920(H) × 1080(V)
1280(H) × 720(V)
프레임율
60Hz Progressive, Interlace
화면의 가로: 세로 비율
16 : 9
디지털 압축방식
MPEG-2
디지털 변조방식
지상파는 8VSB, CATV는 16VSB
음성 방식
Dolby AC-3(CD급)
초기 디지털방송시에 방송3사도 HDTV 방송을 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재원을 필요로 한다. 부조정실(카메라, VCR, 스위쳐, DVE, 모니터, 문자발생기, MATRIX등), 종합편집실, 중계차, 주조정실 등 거의 모든 장비들이 교체되어야한다. 이의 비용은 초기 방송 투자비용이상으로 들 것이다. 방송3사의 투자비용을 얻어내는데도 방송사에 따라 5년 ~ 40년(SDTV방송시)이 걸린다고 보고 되었다. 대구방송의 경우는 이보다 힘들 것으로 보이므로 향후 10년간은 HDTV방송은 생각하기 어렵다.
3. WIDE TV
1) WIDE Screen TV
기존 텔레비전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이 4:3인 것을 16:9로 늘린 것이다.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이 16:9인 것은 EDTV-Ⅱ, HDTV와 동일하지만 해상도 및 수신품질은 기존 NTSC급에 불과하다. 따라서 4:3화면 수상기에 비해 현장감은 개선되어 영화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으나 실제 화질의 향상은 없으며, 시청방법에 따라 오히려 화면 열화나 화면 왜곡이 발생한다.
2) 기존 4:3 방송 장비의 활용
현행 4:3 카메라를 사용해 4:3형태의 프로그램을 미리 제작하고, DVE 등 효과장비를 활용하여 화면의 상·하 부분을 마스킹함으로써 16:9 화면 형태를 만든다. 촬영할 때는 편집단계에서 마스킹 할 부분을 충분히 고려하여 촬영해야 한다. 이 방법은 16:9용 카메라에 비해 촬상소자 및 주사선의 활용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해상도가 낮다. 와이드 방송장비의 개발이전 단막 드라마 등에서 실험적으로 이런 방식의 와이드 화면 프로그램을 제작하기도 했다. 그러나 와이드 겸용 방송장비들이 시판되기 시작한 현재로서는 4:3 카메라를 사용한 이런 방식의 제작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더 이상 활용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3) 16:9 겸용 방송장비의 활용
최근 16:9 겸용 카메라 등 여러 방송장비가 와이드 프로그램 제작 겸용으로 생산,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와이드 화면 프로그램 제작에 활용할 수 있다.
Ⅸ. 결론
디지털 방송의 도입은 방송 시스템 전반의 변화를 의미한다. 그리고 시스템 전반의 변화는 기술체제로서의 방송체제의 변화뿐 아니라 수용자와 연관된 문화적 변화까지도 포괄하고 있다. 문화적 전환에 대한 문제가 함께 고려될 때 디지털 전환에 대한 문제인식이 한 단계 높아질 수 있으며 디지털 전환 역시 보다 진화된 형태로 귀결될 수 있다. 정책, 기술, 비용, 경영전략 등의 문제는 디지털 전환에 연관되어 있는 절반의 문제이며 여기에 디지털 전환 문제에 대한 문화적 인식과 접근의 중요성이 있다.
참고문헌
강상현·김국진·정용준·최양수 - 디지털 방송론, 한울아카데미, 방송문화진흥총서39호
디지털 다매체 시대의 공영방송 - 커뮤니케이션 북스
김평호(2001) - 지상파 디지털 기술표준을 바꾸자, 미디어오늘
심상용(2002) -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정책 일정 변경 요구안, 국민대토론회 자료집, 방송과 기술
윤윤중(2001) - 시장창출 지연되는 세계 디지털TV 산업, LG주간경제
정용준(2000) - 디지털 위성방송과 영상소프트웨어, 나남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8.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70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