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문헌 고찰 - 골관절염(Osteoarthritis)
1. 정의
2. 증상
3. 진단
4. 치료
1) 치료 목표
2) 약물요법
3) 운동과 물리치료의 병합
4) 체중조절
5) 수술
Ⅱ. 본론
Ⅰ.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1) Patient Profile
2) Nursing History
2) 객관적 사정
(1) 신체검진
(2) 검사소견 (Laboratory & Special test)
(3) 투여약물
2) Problem list : 통증, 신체기동성장애, 감염위험성,
3) 간호과정
Ⅲ. 결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문헌 고찰 - 골관절염(Osteoarthritis)
1. 정의
2. 증상
3. 진단
4. 치료
1) 치료 목표
2) 약물요법
3) 운동과 물리치료의 병합
4) 체중조절
5) 수술
Ⅱ. 본론
Ⅰ.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1) Patient Profile
2) Nursing History
2) 객관적 사정
(1) 신체검진
(2) 검사소견 (Laboratory & Special test)
(3) 투여약물
2) Problem list : 통증, 신체기동성장애, 감염위험성,
3) 간호과정
Ⅲ. 결론
본문내용
20 회
37.1℃
- 3일 늦은 저녁부터 수혈하는 도중에 체온이 약간 상승하였으나 2월 4일 오후 4시 이후 37.2도로 정상 체온을 되찾았다.
- v/s은 환자가 PCA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통증은 호소했으나 짧은 시간이였고 V/S측정시에는 환자가 안정적인 상태였기 때문에 V/S은 흔들리지 않고 정상적이였다.
②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와 양상이 어떤지 사정했다.
- 대상자는 오른쪽 무릎이 욱씬거리는 듯한 통증이 있다고 하였다.
(2월 3일 PM 7:20)
③ 대상자에게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드렸다.
- 대상자가 슬관절의 탈구가 발생하지 않도록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머리는 30도로 높이고 고개를 똑바로 한 뒤 환측 종아리와 발목 부위 밑에는 베개를 대어 주었다.
(2월 3일 PM 7:20)
④ 대상자에게 PCA의 사용법을 정확하게 설명하였다.
- 대상자가 너무 아파 참지 못하겠으면 PCA의 스위치를 1~2초정도 누르라고 교육하였다. PCA를 누르는 이유는 스위치를 누르지 않아도 진통제를 천천히 주입되고 있으나 PCA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한번에 많은 양의 진통제가 주입되므로 환자가 통증을 덜 느끼게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2월 3일 AM 10:25)
⑤ 진통제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사정하였다.
- 대상자는 진통제 투여로 인해 오심과 가려움증을 호소하여 제산제 Metoclopramide 10mg와 항히스타민제 Azelastine 1mg을 투여하였다.
평 가
①대상자는 2월 4일 PCA의 정확한 사용방법을 설명하였다.
②대상자는 2월 4일부터 2월 5일까지 PCA의 정확한 사용방법으로 PCA를 사용하였다.
③2월 8일 오른쪽 무릎 수술 부위에 욱씬거리는 듯한 양상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통증사정 점수로 2점 으로 참을 수 있는 정도라며 추가적인 진통제는 원하지 않으셨다.
일시 - 2010년 2월 3일 (우선순위 2)
간호진단
수술 후 통증으로 인한 부동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사정자료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
“움직이면 다리가 이렇게 아픈데 운동을 어떻게 허나..”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
① 수술 후 환측 다리의 통증으로 다리 운동을 겁내시는 모습을 보였다.
② 대상자는 수술 후 둘째 날 오전까지 침상안정을 하고 계셨다.
목 표
단기목표 :
① 대상자는 2월 5일 이내에 혼자서 체위변경을 할 수 있다.
② 대상자는 2월 6일 이내에 단거리 보행(방안 화장실)을 할 수 있다.
장기목표 :
① 대상자는 2월 10일 이내에 장거리 보행(병동 복도 한바퀴)을 할 수 있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 post OP #2부터 knee CPM 운동을 시행한다.
② 보호자와 동행하여 walker ambulation을 수행해 조기 이상을 하도록 격려한다.
③ 다리 곧게 올리기 운동과 사두근 힘주기 운동을 한다.
④ 이동시 무릎고정장치를 착용한다.
⑤ 낙상 재교육을 한다.
⑥ 걸을 때는 발에 잘 맞는 굽이 낮고 부드러우며 발가락이 노출되지 않는 신발을 신도록 한다.
⑦ 목표에 따라 이동거리를 점차 늘리도록 한다.
⑧ 관절운동과 관련된 통증을 모니터하고 통증을 조절한다.
- 무릎관절 수술 후 관절의 운동범위를 개선시키고 관절의 굳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CPM(Continuous Passive Motion) 운동을 시행한다.
- 조기 이상은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돕는다.
- 다리 곧게 올리기 운동과 사두근 힘주기 운동으로 근육의 강도와 기능을 증가시킨다.
- 기동을 위하여 대상자에게 무릎 고정장치를 할 때 너무 조이거나 느슨하지 않은지 점검한다.
- 가벼운 활동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활동을 증가시키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① post OP #2부터 하루 3회 30분씩 최대 120도까지 knee CPM 운동을 시행하였다.
(2월 5일 아침,점심,저녁 식후 시행)
② 보호자와 동행하여 walker ambulation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 대상자는 수술 2일째인 2월 5일 방안의 화장실을 보호자의 부축하에 걸어서 다녀왔다.
(2월 5일 PM 5:20)
③ 다리 곧게 올리기 운동과 사두근 힘주기 운동을 수행하였다.
- 환자의 다리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 시켜주기 위해 운동 방법을 재교육하였으며 보호자가 옆에서 격려해주도록 하였다.
(2월 5일 PM 2:30)
④ 이동 시 무릎 고정장치를 착용하였다.
(2월 5일 PM 5:20)
⑤ 낙상 재교육을 하였다.
(2월 5일 PM 5:20)
⑥ 대상자는 굽이 낮고 부드러우며 발가락이 노출되지 않는 실내화를 신고 보행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2월 5일 PM 5:20)
⑦ 목표에 따라 이동거리를 점차 늘리도록 한다.
- 수술 2일째는 walker을 이용하여 화장실을 갔고, 수술 3일째에는 간병인의 부축을 받아 병동 복도를 걸었다.
(2월 6일 PM 7:00)
⑧ 관절운동과 관련된 통증을 모니터하고 통증을 조절한다.
- 대상자는 통증이 많이 완화되어 운동 전 추가적인 진통제를 투여하지 않았다.
평 가
① 대상자는 수술 후 첫 날 침대에서 자세조차 변경하기 힘들어 하였으나 이튿날인 2월 5일에는 혼자서 누웠다 일어나며 자세를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② 대상자는 2월 5일 오전에 부목을 제거한 후 보호자의 부축 하에 단거리 보행을 하였다.
③ 대상자는 2월 8일 점심식사 후 병동 복도를 따라 휴게실까지 50m정도 보행을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Ⅲ. 결론
이번에 케이스 스터디를 하면서 만나보았던 대상자는 골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으로 2010년 2월 2일 전슬관절 대치술을 위해 입원하였다. 2월 3일 첫 수술로 오른쪽 슬관절 대치술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 수술은 1주일 뒤인 2월 10에 시행될 예정이다. 수술 후 마취가 풀리면서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둘째날 부터는 통증이 많이 완화된 모습을 보였고 현재는 운동도 꾸준히 하시며 특이 호소 없이 빠른 속도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계신다.
≪ 참고문헌 ≫
- 전시자외, 「성인간호학 상」,현문사, (394~401p)
- 오송자, 민순 편저 「의학약어와 해설」, 현문사, 2005
- 킴스온라인
37.1℃
- 3일 늦은 저녁부터 수혈하는 도중에 체온이 약간 상승하였으나 2월 4일 오후 4시 이후 37.2도로 정상 체온을 되찾았다.
- v/s은 환자가 PCA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통증은 호소했으나 짧은 시간이였고 V/S측정시에는 환자가 안정적인 상태였기 때문에 V/S은 흔들리지 않고 정상적이였다.
②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와 양상이 어떤지 사정했다.
- 대상자는 오른쪽 무릎이 욱씬거리는 듯한 통증이 있다고 하였다.
(2월 3일 PM 7:20)
③ 대상자에게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드렸다.
- 대상자가 슬관절의 탈구가 발생하지 않도록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머리는 30도로 높이고 고개를 똑바로 한 뒤 환측 종아리와 발목 부위 밑에는 베개를 대어 주었다.
(2월 3일 PM 7:20)
④ 대상자에게 PCA의 사용법을 정확하게 설명하였다.
- 대상자가 너무 아파 참지 못하겠으면 PCA의 스위치를 1~2초정도 누르라고 교육하였다. PCA를 누르는 이유는 스위치를 누르지 않아도 진통제를 천천히 주입되고 있으나 PCA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한번에 많은 양의 진통제가 주입되므로 환자가 통증을 덜 느끼게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2월 3일 AM 10:25)
⑤ 진통제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사정하였다.
- 대상자는 진통제 투여로 인해 오심과 가려움증을 호소하여 제산제 Metoclopramide 10mg와 항히스타민제 Azelastine 1mg을 투여하였다.
평 가
①대상자는 2월 4일 PCA의 정확한 사용방법을 설명하였다.
②대상자는 2월 4일부터 2월 5일까지 PCA의 정확한 사용방법으로 PCA를 사용하였다.
③2월 8일 오른쪽 무릎 수술 부위에 욱씬거리는 듯한 양상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통증사정 점수로 2점 으로 참을 수 있는 정도라며 추가적인 진통제는 원하지 않으셨다.
일시 - 2010년 2월 3일 (우선순위 2)
간호진단
수술 후 통증으로 인한 부동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사정자료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
“움직이면 다리가 이렇게 아픈데 운동을 어떻게 허나..”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
① 수술 후 환측 다리의 통증으로 다리 운동을 겁내시는 모습을 보였다.
② 대상자는 수술 후 둘째 날 오전까지 침상안정을 하고 계셨다.
목 표
단기목표 :
① 대상자는 2월 5일 이내에 혼자서 체위변경을 할 수 있다.
② 대상자는 2월 6일 이내에 단거리 보행(방안 화장실)을 할 수 있다.
장기목표 :
① 대상자는 2월 10일 이내에 장거리 보행(병동 복도 한바퀴)을 할 수 있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 post OP #2부터 knee CPM 운동을 시행한다.
② 보호자와 동행하여 walker ambulation을 수행해 조기 이상을 하도록 격려한다.
③ 다리 곧게 올리기 운동과 사두근 힘주기 운동을 한다.
④ 이동시 무릎고정장치를 착용한다.
⑤ 낙상 재교육을 한다.
⑥ 걸을 때는 발에 잘 맞는 굽이 낮고 부드러우며 발가락이 노출되지 않는 신발을 신도록 한다.
⑦ 목표에 따라 이동거리를 점차 늘리도록 한다.
⑧ 관절운동과 관련된 통증을 모니터하고 통증을 조절한다.
- 무릎관절 수술 후 관절의 운동범위를 개선시키고 관절의 굳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CPM(Continuous Passive Motion) 운동을 시행한다.
- 조기 이상은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돕는다.
- 다리 곧게 올리기 운동과 사두근 힘주기 운동으로 근육의 강도와 기능을 증가시킨다.
- 기동을 위하여 대상자에게 무릎 고정장치를 할 때 너무 조이거나 느슨하지 않은지 점검한다.
- 가벼운 활동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활동을 증가시키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① post OP #2부터 하루 3회 30분씩 최대 120도까지 knee CPM 운동을 시행하였다.
(2월 5일 아침,점심,저녁 식후 시행)
② 보호자와 동행하여 walker ambulation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 대상자는 수술 2일째인 2월 5일 방안의 화장실을 보호자의 부축하에 걸어서 다녀왔다.
(2월 5일 PM 5:20)
③ 다리 곧게 올리기 운동과 사두근 힘주기 운동을 수행하였다.
- 환자의 다리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 시켜주기 위해 운동 방법을 재교육하였으며 보호자가 옆에서 격려해주도록 하였다.
(2월 5일 PM 2:30)
④ 이동 시 무릎 고정장치를 착용하였다.
(2월 5일 PM 5:20)
⑤ 낙상 재교육을 하였다.
(2월 5일 PM 5:20)
⑥ 대상자는 굽이 낮고 부드러우며 발가락이 노출되지 않는 실내화를 신고 보행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2월 5일 PM 5:20)
⑦ 목표에 따라 이동거리를 점차 늘리도록 한다.
- 수술 2일째는 walker을 이용하여 화장실을 갔고, 수술 3일째에는 간병인의 부축을 받아 병동 복도를 걸었다.
(2월 6일 PM 7:00)
⑧ 관절운동과 관련된 통증을 모니터하고 통증을 조절한다.
- 대상자는 통증이 많이 완화되어 운동 전 추가적인 진통제를 투여하지 않았다.
평 가
① 대상자는 수술 후 첫 날 침대에서 자세조차 변경하기 힘들어 하였으나 이튿날인 2월 5일에는 혼자서 누웠다 일어나며 자세를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② 대상자는 2월 5일 오전에 부목을 제거한 후 보호자의 부축 하에 단거리 보행을 하였다.
③ 대상자는 2월 8일 점심식사 후 병동 복도를 따라 휴게실까지 50m정도 보행을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Ⅲ. 결론
이번에 케이스 스터디를 하면서 만나보았던 대상자는 골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으로 2010년 2월 2일 전슬관절 대치술을 위해 입원하였다. 2월 3일 첫 수술로 오른쪽 슬관절 대치술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 수술은 1주일 뒤인 2월 10에 시행될 예정이다. 수술 후 마취가 풀리면서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둘째날 부터는 통증이 많이 완화된 모습을 보였고 현재는 운동도 꾸준히 하시며 특이 호소 없이 빠른 속도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계신다.
≪ 참고문헌 ≫
- 전시자외, 「성인간호학 상」,현문사, (394~401p)
- 오송자, 민순 편저 「의학약어와 해설」, 현문사, 2005
- 킴스온라인
추천자료
제왕절개 케이스, 제왕절개, OBGY케이스, 산부인과, C/S case. OBGY case, 간호학과 실습 산과
ICU case study, Acute Myocardiac Infarction, AMI 케이스 스터디,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
COPD 케이스 스터디 A+ ( COPD CASE STUDY, 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 만성폐쇄성 폐...
c/s case A+ ( cesarean section 케이스 제왕절개술 케이스 스터디, cesarean section case, ...
급성 췌장염 케이스 스터디(Acute pancreatits 케이스, Acute pancreatits CASE STUDY, Acute...
불안정형 협심증 케이스(Unstable angina 케이스,Unstable angina 간호과정, Unstable angina...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자궁근종 케이스,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간호과정, 자궁...
요골골절 케이스(radius fracture 케이스, radius fracture 간호과정, radius fracture 간호...
갑상선암 (갑상선 암 케이스, 갑상선 케이스, 갑상선, 갑상선 암 간호과정, Thyroid cancer ...
급성 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 (Myocardial infarction) - 심근경색증 케이스, 심근경색증 ...
폐렴 케이스 스터디 (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진단, 폐렴 사례연구, ...
A+_ 임신성 당뇨병 케이스, 임신성 당뇨 케이스,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임신...
A+) Stomach cancer, 위암 케이스 스터디, 위암 case, 위암 사례연구, 위암 간호과정, 위암 c...
양극성 장애 케이스(조울증 장애)A+ Bipolar Disorder, 양극성장애 case, 양극성장애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