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본질적인 특성은 그것이 대중 매체라는데 있다. 예술의 재생산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예술은 자신만을 위한, 또는 특정 계층을 위한 울타리에서 벗어나 말 그대로 대중들에게 자신으로 향한 문을 열게 되었다. 예술의 영역에서 기술 재생산이 가져온 결정적인 변화는 바로 벤야민의 용어로 이야기하자면 ‘아우라의 몰락’이다. 이제 누구든지 예술에 다가서고자 한다면, 다가설 수 있게 되었다. 언제든지 접근 가능하고, 반복 가능하고, 재생 가능하고, 무조건적으로 복제가 가능한 대중 매체는 긍정적 의미에서 보면, 문화 일반과 예술 그 자체의 몰락이라는 부정적 폄하와는 달리 말 그대로 대중이 접근할 수 있는 대중 문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오늘을 살아하는 현대인에게 무엇을 읽었는가보다는 무엇을 보았는가가 주된 일상 대화의 대상으로 등장한지는 이미 오래 전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문학적이고 알파벳적인 것의 낡은 헤게모니”(볼츠)는 현대의 시각 매체와 복합 매체 문화에 의해서 지위가 흔들린다. 무너진 문자 문화의 헤게모니에서 새로운 시각 문화적 헤게모니가 생성된다.
4. 매체 미학의 주요 주제들
◎ 기술 이미지
◎ 매체에 의해 만들어진 예술 작품의 특징: 원본성을 중심으로
◎ 이미지의 복제와 이미지 변형의 문제
◎ 가상 현실: 작품의 전시 공간이자 수용 공간
◎ 지각 방식: 몰입, 촉각성, 상호 작용 등등
◎ 매체 예술이 가져온 변화: 일상 생활의 영역과 예술의 영역에서
5. 매체 미학에서 논의되는 주요 사상가들: 벤야민, 아도르노, 하이데거, 맥루한, 안더스, 풀루서, 달리, 볼츠, 바이벨, 비릴리오, 보드리야르 등등
4. 매체 미학의 주요 주제들
◎ 기술 이미지
◎ 매체에 의해 만들어진 예술 작품의 특징: 원본성을 중심으로
◎ 이미지의 복제와 이미지 변형의 문제
◎ 가상 현실: 작품의 전시 공간이자 수용 공간
◎ 지각 방식: 몰입, 촉각성, 상호 작용 등등
◎ 매체 예술이 가져온 변화: 일상 생활의 영역과 예술의 영역에서
5. 매체 미학에서 논의되는 주요 사상가들: 벤야민, 아도르노, 하이데거, 맥루한, 안더스, 풀루서, 달리, 볼츠, 바이벨, 비릴리오, 보드리야르 등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