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의 이론
2. 실험 결과
3. 결과 분석 및 고찰
4. 결론
2. 실험 결과
3. 결과 분석 및 고찰
4. 결론
본문내용
고 책에 표시된 위치대로 와 를 측정 하였고, 이렇게 해서 실험을 진행하니 제대로 된 결과 값이 나올 리가 없었다. 실험을 제대로 하지는 못했지만 이번 실수로 트랜지스터의 특성에 대해서 더욱 확실히 상기 시킬 수 있었다. 실제 실험을 할 때는 아주 사소한 부분이라도 주의해 가며 실험을 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다.
5. 오차 원인 분석
<2N3904-NPN> <2N4402-PNP>
다이오드 특성곡선을 측정하는 실험은 가변저항을 사용하는 방법이 익숙하지 않아서 결선이 힘들었다. 그렇지만 가변저항 사용법이 익숙해지자 가변저항을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방향이 어느 쪽인지 잘 알지 못하여 저항 측정을 하는 방식으로 방향을 알아보았고, 이렇게 해서 우리가 실험에서 사용할 트랜지스터의 단자가 컬랙터, 베이스, 에미터 순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하기 전에는 컬랙터, 베이스, 에미터의 핀 순서가 트랜지스터가 NPN이냐 PNP이냐에 따라 다른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고 부품 번호에 따라 순서가 달라 실험을 할 때마다 확인을 해줘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대부분이 위에 나온 것처럼 1,2,3순으로 컬랙터, 베이스, 에미터 순으로 되어 있었다.
실험의 결과 값에 약간의 오차가 난 이유는 파워 서플라이에서 정확하게 전압을 인가 해줬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여 오차가 났고, 가변저항에 다이얼을 돌릴 때 작은 전압을 인가하려 했을 때는 미세한 조정이 너무 어려워 오차가 생겼던 것 같다.
5. 결론
이번 실험은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실제 실험을 진행하면서 가장 먼저 알게 된 점은 트랜지스터 부품 자체에 대해서였다. 실제 부품에서 컬렉터, 베이스, 에미터의 단자를 알 기 위해 각각의 단자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여서 결정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트랜지스터 핀의 순서와 가변 저항을 사용하는 점 때문에 처음에는 회로도를 결선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실험을 하며 부품의 사용에 익숙해지니 실험을 진행하는 속도도 빨라져서 생각보다 빠른 시간에 실험을 마무리 할 수 있었고, 약간의 오차는 있었지만 비교적 성공적인 실험을 했다.
실제 실험 결과 이론적으로 알고 있었던 트랜지스터의 입출력 특성 곡선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같은 형태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실제 실험을 통해 눈으로 확인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좀 더 확실히 알 수 있었다.
트랜지스터는 실제 회로에서 증폭을 하는 용도나 스위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제 스피커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데, 변압기를 이용한 앰프는 효율이 높지 않아 에너지 손실이 많은 반면에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것은 효율이 좋기 때문에 더 많이 사용한다.
또한 스위치의 기능으로도 사용하는데 트랜지스터에 일정전압을 인가했다, 제거했다를 반복하게 되면 트랜지스터가 ON, OFF를 반복하면서 스위치로써의 동작을 한다.
6.참고문헌
전자회로 교재 (이병태, 김영해 지음/ 첨단과학기술도서출판)
5. 오차 원인 분석
<2N3904-NPN> <2N4402-PNP>
다이오드 특성곡선을 측정하는 실험은 가변저항을 사용하는 방법이 익숙하지 않아서 결선이 힘들었다. 그렇지만 가변저항 사용법이 익숙해지자 가변저항을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방향이 어느 쪽인지 잘 알지 못하여 저항 측정을 하는 방식으로 방향을 알아보았고, 이렇게 해서 우리가 실험에서 사용할 트랜지스터의 단자가 컬랙터, 베이스, 에미터 순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하기 전에는 컬랙터, 베이스, 에미터의 핀 순서가 트랜지스터가 NPN이냐 PNP이냐에 따라 다른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고 부품 번호에 따라 순서가 달라 실험을 할 때마다 확인을 해줘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대부분이 위에 나온 것처럼 1,2,3순으로 컬랙터, 베이스, 에미터 순으로 되어 있었다.
실험의 결과 값에 약간의 오차가 난 이유는 파워 서플라이에서 정확하게 전압을 인가 해줬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여 오차가 났고, 가변저항에 다이얼을 돌릴 때 작은 전압을 인가하려 했을 때는 미세한 조정이 너무 어려워 오차가 생겼던 것 같다.
5. 결론
이번 실험은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실제 실험을 진행하면서 가장 먼저 알게 된 점은 트랜지스터 부품 자체에 대해서였다. 실제 부품에서 컬렉터, 베이스, 에미터의 단자를 알 기 위해 각각의 단자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여서 결정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트랜지스터 핀의 순서와 가변 저항을 사용하는 점 때문에 처음에는 회로도를 결선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실험을 하며 부품의 사용에 익숙해지니 실험을 진행하는 속도도 빨라져서 생각보다 빠른 시간에 실험을 마무리 할 수 있었고, 약간의 오차는 있었지만 비교적 성공적인 실험을 했다.
실제 실험 결과 이론적으로 알고 있었던 트랜지스터의 입출력 특성 곡선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같은 형태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실제 실험을 통해 눈으로 확인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좀 더 확실히 알 수 있었다.
트랜지스터는 실제 회로에서 증폭을 하는 용도나 스위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제 스피커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데, 변압기를 이용한 앰프는 효율이 높지 않아 에너지 손실이 많은 반면에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것은 효율이 좋기 때문에 더 많이 사용한다.
또한 스위치의 기능으로도 사용하는데 트랜지스터에 일정전압을 인가했다, 제거했다를 반복하게 되면 트랜지스터가 ON, OFF를 반복하면서 스위치로써의 동작을 한다.
6.참고문헌
전자회로 교재 (이병태, 김영해 지음/ 첨단과학기술도서출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