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및 유가증권시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및 유가증권시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PF정의

2. PF 상품별 구조 및 특징
 (1) PF대출
 (2) PF ABS
 (3) PF ABCP
 (4) 간접투자 상품을 이용한 PF( 부동산 펀드, 특별자산신탁)
 (5) PF유동화 상품 금융구조별 비교

3. 국내 PF현황
 (1) 국내 부동산 PF 유동화 시장의 규모
 (2) 국내 부동산 PF 유동화시장의 최근 동향

4. PF의 신용보강 및 각종 통제수단
 (1) 시공사의 신용보강
 (2) 담보설정
 (3) 기타 신용보강 수단

5. PF사례

6. 향후 발전 방향

본문내용

PF ABCP
ABCP(Asset-Backed Commerical Paper)는 자산유동화증권의 구조와 CP의 구조를 결합시킨 자산유동화어음으로 보통 90일
만기의 유동화증권
만기가 해당 프로젝트의 현금흐름보다 짧고 차환발행이 무산될 위험이 존재하므로 2~3년 단위로 은행 등 금융권의 ABCP
매입약정을 받아야하는 절차가 필요
자산유동화법에 의해 설립된 SPC에서는 ABS를 발행할 때마다 SPC의 설립이 요구되고, 초기에 ABS를 발행한 후 ABCP는
차환발행용으로만 발행이 가능
상법상의 SPC를 설립하면 기초자산을 유동화할 때마다 매번 SPC를 설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한번 설립하면 반복적으로
유동화증권을 발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
단기 이자비용으로 장기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도입
자산유동화법에 따르는 각종 신고와 보고 의무가 없기 때문에 시간 단축이 가능
발행절차가 간소하고 낮은 이자율로 인해 2007년부터는 ABS의 발행이 줄고 대부분 ABCP 위주로 발행이 이루어짐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0.09.03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6290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