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본의 망언과 망론
2. 독도와 일본의 역사왜곡
3. 동해, 조선해, 일본해
2. 독도와 일본의 역사왜곡
3. 동해, 조선해, 일본해
본문내용
조선해가 일본해로 둔갑한 이후, 이어서 1905년 2월 22일 우리의 고유영토 독도는 일본의 다께시마로 둔갑하였다. 또한 그로부터 5년 후, 1910년 대한제국은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강점되어 식민지로 전락하는 치욕의 역사를 경험하게 된다.
오늘날 일본은 과거의 참략을 반성하기는 커녕 일본해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일본의 바다’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국적도 없는 동해로 뒷걸음치고 있다. 조선해이거나 일본해이거나 여기에는 영해도 있고 공해도 있기 마련이다. 그러나 일본의 바다라고 부른다면, 일본의 영해만 있지 공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민족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바다의 명칭이 지니는 국제법적 함축성은 너무나 크다. 따라서 아무리 이 문제를 강조해도 지나치지않는다.
이제는 동해가 아니라 조선해다.
오늘날 일본은 과거의 참략을 반성하기는 커녕 일본해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일본의 바다’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국적도 없는 동해로 뒷걸음치고 있다. 조선해이거나 일본해이거나 여기에는 영해도 있고 공해도 있기 마련이다. 그러나 일본의 바다라고 부른다면, 일본의 영해만 있지 공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민족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바다의 명칭이 지니는 국제법적 함축성은 너무나 크다. 따라서 아무리 이 문제를 강조해도 지나치지않는다.
이제는 동해가 아니라 조선해다.
추천자료
일본군위안부 관련 일본 망언록
일본의역사
독도는 망언에 대한 나의 생각
일본 교과서 왜곡에 대한 견해를 피력하시오.
간도와 독도의 영유권 문제, 영토 분쟁, 역사적 원인
[일본의 역사]일본의 근대사 총체적 보고
[고대 일본의 역사][고분시대][아스카 시대][나라 시대][헤이안 시대][일본 천황제]고대 일본...
일본의 교과서 왜곡(배경, 실태, 의미, 독일의 사례, 한국의 대응, 해결 방안)
일본 고대 천황제의 성립과 유래 및 역사분석, 시초, 역사적 의의, 중세 정권과 천황, 근대 ...
[한국인의역사의식] 독도는 어디에 있는가? -논쟁에 대한 보고서
일본의 우경화 노선 강화와 한 ·일 역사 논쟁-아베 정권을 중심으로
한일 독도분쟁의 역사와 양측의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