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Figure Contents -
Figure 1. TFTP Packet Formats ··········3
Figure 2. A TFTP Packet in Context ·······5
Figure 3. Example TFTP Operation ········6
Figure 4. RRQ Operation ·············9
Figure 5. WRQ Operation ·············9
Figure 6. Download시 Error Occurrence ······10
Figure 7. Upload시 Error Occurrence ·······10
Figure 8. Data Packet Loss ···········11
Figure 9. ACK Packet Loss ············11
Figure 10. Advanced TFTP Packet Formats ····15
Figure 11. Set Connection Operation ·······20
Figure 12. Set Connection Error ··········20
Figure 13. Disconnection Operation ········21
Figure 14. Advanced TFTP RRQ Operation ·····21
Figure 15. Advanced TFTP WRQ Operation ·····22
Figure 16. Authority Error ·············22
Figure 17. Error Control Operation ·········23
Figure 18. Busy Condition ·············24
- Table Contents -
Table 1. TFTP Error Codes ············4
Table 2. Advanced TFTP Operation Code ·····16
Table 3. Advanced TFTP Transmission Mode ····16
Table 4. Advanced TFTP Error Codes ·······17
Figure 1. TFTP Packet Formats ··········3
Figure 2. A TFTP Packet in Context ·······5
Figure 3. Example TFTP Operation ········6
Figure 4. RRQ Operation ·············9
Figure 5. WRQ Operation ·············9
Figure 6. Download시 Error Occurrence ······10
Figure 7. Upload시 Error Occurrence ·······10
Figure 8. Data Packet Loss ···········11
Figure 9. ACK Packet Loss ············11
Figure 10. Advanced TFTP Packet Formats ····15
Figure 11. Set Connection Operation ·······20
Figure 12. Set Connection Error ··········20
Figure 13. Disconnection Operation ········21
Figure 14. Advanced TFTP RRQ Operation ·····21
Figure 15. Advanced TFTP WRQ Operation ·····22
Figure 16. Authority Error ·············22
Figure 17. Error Control Operation ·········23
Figure 18. Busy Condition ·············24
- Table Contents -
Table 1. TFTP Error Codes ············4
Table 2. Advanced TFTP Operation Code ·····16
Table 3. Advanced TFTP Transmission Mode ····16
Table 4. Advanced TFTP Error Codes ·······17
본문내용
따라서 Data 패킷에서는 의미를 가지지 않으므로 0으로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Data 필드에는 앞서 설정한 Block Size에 맞춰서 512 bytes 혹은 1024 bytes가 될 수 있다. 이하 다른 필드는 앞서 말한 TFTP와 동일하다.
- ACK : Acknowledgement 패킷으로서, 이 패킷은 WRQ/RRQ 시에 Stop-and-Wait 방식으로 설정했을 때와 SC나 DISC 패킷에 대한 Acknowledgement 할 때 사용하는 패킷이다. P/F 필드가 추가된 것 이외에는 기존 TFTP와 다른 것이 없다. 이 또한 P/F 필드는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Error Code
Meaning
0
Not defined, see error message (if any).
1
File not found.
2
Access violation.
3
Disk full or allocation exceeded.
4
Illegal TFTP operation.
5
Unknown transfer ID.
6
File already exists.
7
No such user.
8
Not have sufficient privileges to access.
Table 4. Advanced TFTP Error Codes
- Error : 기존 TFTP와 다른 점은 권한 여부에 대한 Error Massage가 추가 되었다는 것이다.(Table 4.) P/F 필드가 존재하지만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이하 다른 필드는 앞서 말한 TFTP와 동일하다.
- SC : Set Connection 패킷으로서, 서버와 연결을 설정할 때 사용된다. 이 패킷은 ‘0’ 바이트로 끝나는 ID와 Password 정보를 포함한다. ‘0’ 바이트는 receiving TFTP 개체에게 파일이름의 끝을 알리는데 사용된다. Client가 서버에게 SC 패킷을 보내면 서버는 자체 Logic에 의해 Client를 검색하고 Client가 존재한다면 UA 패킷을 보내 연결이 설정되고, 존재하지 않으면 Error Massage를 보냄으로써 Acknowledgement 된다.
- DISC : Disconnection 패킷으로서, 서버와의 연결을 해지할 때 사용된다. 이 패킷은 오로지 Opcode만을 포함하게 된다. 서버는 Client에게서 마지막 ACK를 받게 되면 정상적으로 전송이 종료됐다는 것을 인지하고, DISC 패킷을 Client에게 보낸다. Client는 DISC 패킷을 받게 되면 UA 패킷을 보냄으로써 연결이 해지된다.
- RR : Receive Ready 패킷으로서, Transmode가 3, 4 일 때 Acknowledgement 하는데 사용된다. RR 패킷에서 블록번호 필드는 다음에 받아야할 패킷의 순서번호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는 이전의 패킷들은 정상적으로 받았으니 다음 패킷을 보내라는 의미이다. P/F 필드는 Polling/Final을 의미하는데 서버가 Client로 부터 Acknowledgement가 오지 않아 Timeout이 됐을 때 서버는 RR 패킷의 P/F 필드를 1로 채워 Client에게 Polling하게 된다. 그리고 Client는 RR 혹은 RNR 패킷으로 P/F 필드를 1로 채워 Final을 알려주게 된다.
- RNR : Receive Not Ready 패킷으로서, 마찬가지로 Transmode가 3, 4 일 때 Acknowledgement 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RR 패킷과 다른 점은 Acknowledgement를 해주되 더 이상 수신이 불가능 하니 기다려 달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서버는 RNR 패킷을 받게되면 Client가 RR 패킷을 보낼 때까지 일정 시간을 주기로 RR 패킷을 보내 Polling을 반복한다.
8. Reference
[1] William Stallings,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Prentice Hall, 2007
[2] http://tools.ietf.org/html/rfc1350, "THE TFTP PROTOCOL (REVISION 2)"
[3] http://tools.ietf.org/html/rfc1782, "TFTP Option Extension"
[4] http://tools.ietf.org/html/rfc1783, "TFTP Blocksize Option"
[5] http://tools.ietf.org/html/rfc1784, "TFTP Timeout Interval and Transfer Size Options"
- ACK : Acknowledgement 패킷으로서, 이 패킷은 WRQ/RRQ 시에 Stop-and-Wait 방식으로 설정했을 때와 SC나 DISC 패킷에 대한 Acknowledgement 할 때 사용하는 패킷이다. P/F 필드가 추가된 것 이외에는 기존 TFTP와 다른 것이 없다. 이 또한 P/F 필드는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Error Code
Meaning
0
Not defined, see error message (if any).
1
File not found.
2
Access violation.
3
Disk full or allocation exceeded.
4
Illegal TFTP operation.
5
Unknown transfer ID.
6
File already exists.
7
No such user.
8
Not have sufficient privileges to access.
Table 4. Advanced TFTP Error Codes
- Error : 기존 TFTP와 다른 점은 권한 여부에 대한 Error Massage가 추가 되었다는 것이다.(Table 4.) P/F 필드가 존재하지만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이하 다른 필드는 앞서 말한 TFTP와 동일하다.
- SC : Set Connection 패킷으로서, 서버와 연결을 설정할 때 사용된다. 이 패킷은 ‘0’ 바이트로 끝나는 ID와 Password 정보를 포함한다. ‘0’ 바이트는 receiving TFTP 개체에게 파일이름의 끝을 알리는데 사용된다. Client가 서버에게 SC 패킷을 보내면 서버는 자체 Logic에 의해 Client를 검색하고 Client가 존재한다면 UA 패킷을 보내 연결이 설정되고, 존재하지 않으면 Error Massage를 보냄으로써 Acknowledgement 된다.
- DISC : Disconnection 패킷으로서, 서버와의 연결을 해지할 때 사용된다. 이 패킷은 오로지 Opcode만을 포함하게 된다. 서버는 Client에게서 마지막 ACK를 받게 되면 정상적으로 전송이 종료됐다는 것을 인지하고, DISC 패킷을 Client에게 보낸다. Client는 DISC 패킷을 받게 되면 UA 패킷을 보냄으로써 연결이 해지된다.
- RR : Receive Ready 패킷으로서, Transmode가 3, 4 일 때 Acknowledgement 하는데 사용된다. RR 패킷에서 블록번호 필드는 다음에 받아야할 패킷의 순서번호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는 이전의 패킷들은 정상적으로 받았으니 다음 패킷을 보내라는 의미이다. P/F 필드는 Polling/Final을 의미하는데 서버가 Client로 부터 Acknowledgement가 오지 않아 Timeout이 됐을 때 서버는 RR 패킷의 P/F 필드를 1로 채워 Client에게 Polling하게 된다. 그리고 Client는 RR 혹은 RNR 패킷으로 P/F 필드를 1로 채워 Final을 알려주게 된다.
- RNR : Receive Not Ready 패킷으로서, 마찬가지로 Transmode가 3, 4 일 때 Acknowledgement 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RR 패킷과 다른 점은 Acknowledgement를 해주되 더 이상 수신이 불가능 하니 기다려 달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서버는 RNR 패킷을 받게되면 Client가 RR 패킷을 보낼 때까지 일정 시간을 주기로 RR 패킷을 보내 Polling을 반복한다.
8. Reference
[1] William Stallings,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Prentice Hall, 2007
[2] http://tools.ietf.org/html/rfc1350, "THE TFTP PROTOCOL (REVISION 2)"
[3] http://tools.ietf.org/html/rfc1782, "TFTP Option Extension"
[4] http://tools.ietf.org/html/rfc1783, "TFTP Blocksize Option"
[5] http://tools.ietf.org/html/rfc1784, "TFTP Timeout Interval and Transfer Size Options"
추천자료
정보통신과 미래사회
x.25와 패킷통신
학습지도안 - 통신언어 사용과 예절 (중1대상 컴퓨터 교과목)
[정보통신]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ISDN][종합정보통신망]ISDN(종합정보통신망) 의미, ISDN(종합정보통신망) 목적, ISDN(종합정...
[프로토콜][통신][SNOOP][TCP][OSPF][WAP][RIP][PPP][SNA]프로토콜과 통신, 프로토콜의 제정 ...
정보통신 시스템의 이해
전력선통신 (Power Line Communication)
과학(과학교육) 의미, 과학(과학교육) 특성, 과학과(과학교육) STS(과학기술사회)교육, 과학...
컴퓨터 통신과 인터네트 사이버 시험 기말고사 자료 2020
OCU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 레포트 - 빅데이터(big data) 입니다.
[방송통신대학교 정보통계학과] 2015년 1학기 엑셀데이터분석 출석대체 과제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