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직업윤리의 변천과 사상적 기초
1.직업윤리의 변천:
1) 전통사회의 직업윤리
2) 근대 시민사회의 직업윤리
2.직업윤리의 사상적 기반:
1) 전통사상 - 불교, 유교 및 도교
2) 서구사상 - 그리스적 사상, 기독교
3.직업윤리의 서양사상적 배경과 미래적 경향
1.직업윤리의 변천:
1) 전통사회의 직업윤리
2) 근대 시민사회의 직업윤리
2.직업윤리의 사상적 기반:
1) 전통사상 - 불교, 유교 및 도교
2) 서구사상 - 그리스적 사상, 기독교
3.직업윤리의 서양사상적 배경과 미래적 경향
본문내용
연과의 합일을 최고의 도(道)로 생각함
2) 양자의 차이점
- 유교는 주로 쌀농사를 중심으로 인위적인 경작을 하는 삶 속에서 나온 것,
도교는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그 자연 속에서 살다가 가는 삶을 지향
- 인간관
① 유교: 유교는 자연과의 차이에서 인간다움을 찾음(인간중심성, 맹자<성선설>과 고자<성무선악설>의 인간본성 논쟁),
② 도교: 도교는 인간도 자연의 범주에 속함(단 인간은 자연의 법칙을 인식할 능력을 가짐)
2. 유교 및 도교의 직업윤리
1) 유교의 직업윤리
- 성실의 윤리
- 인간은 하늘의 뜻을 받드는 존재, 현세의 신분과 직업은 하늘이 인간 각각에게 준 직분임, 따라서 성실하게 맡겨진 직분을 수행해야 함.
2) 도교의 직업윤리
- 무위자연의 윤리
-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서 자연의 순리대로 자신의 직업적인 일을 처리해야 함.
- 자연스러운 삶을 지향하고 인위적인 개입 자제
5.4 직업윤리의 서양사상적 배경과 미래적 경향
5.4.1 서구적 직업윤리의 유입과 의미
□ 서구적인 자본주의 문화와 직업생활
- 근대화와 더불어 서구적 자본주의적 직업생활 일상화
- 우리의 직업윤리에 서구사상적 요소 유입
- 서구사상에 입각한 직업윤리 탐구 필요
5.4.2 그리스적 사유와 기독교적 배경의 직업윤리
1. 그리스적 사유
- 인간의 이성을 중심으로 함
- 인간관: 인간은 이성적 존재
- 근대 시민사회와 자본주의, 계몽주의의 바탕이 됨: 이성에 의해서 인간생활 영위
- 이성에 근거한 인간의 이기적 속성 인정, 이에 근거한 자본주의의 이윤추구 및 직업관 정당화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로크적 단서 내에서 합리성에 근거한 이윤 추구활동 정당화
* 로크적 단서: 타인의 이익 또는 생존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유화 또는 이윤추구활동 정당
- 그리스적 이성중심의 사유에 대해서 포스트모더니즘, 본능 및 무의식을 중시하는 프로이트에 의한 반론
2. 기독교적 배경
- 국민의 상당수가 기독교인으로서 기독교가 직업윤리에 영향을 미침
- 프로테스탄티즘의 직업윤리로서 청지기 윤리: 직업은 하나님의 소명이자 영광을 드러내기 위한 일, 하나님이 준 능력을 최대한 발휘해서 이윤을 남기는 일은 하나님의 축복, 단 이윤과 부의 축적은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인간의 욕망, 사치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어서는 안됨
- 근대 자본주의 태동기의 금욕주의적이고 청지기적인 기독교적인 직업윤리를 오늘날에 재음미할 필요 있음.
2) 양자의 차이점
- 유교는 주로 쌀농사를 중심으로 인위적인 경작을 하는 삶 속에서 나온 것,
도교는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그 자연 속에서 살다가 가는 삶을 지향
- 인간관
① 유교: 유교는 자연과의 차이에서 인간다움을 찾음(인간중심성, 맹자<성선설>과 고자<성무선악설>의 인간본성 논쟁),
② 도교: 도교는 인간도 자연의 범주에 속함(단 인간은 자연의 법칙을 인식할 능력을 가짐)
2. 유교 및 도교의 직업윤리
1) 유교의 직업윤리
- 성실의 윤리
- 인간은 하늘의 뜻을 받드는 존재, 현세의 신분과 직업은 하늘이 인간 각각에게 준 직분임, 따라서 성실하게 맡겨진 직분을 수행해야 함.
2) 도교의 직업윤리
- 무위자연의 윤리
-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서 자연의 순리대로 자신의 직업적인 일을 처리해야 함.
- 자연스러운 삶을 지향하고 인위적인 개입 자제
5.4 직업윤리의 서양사상적 배경과 미래적 경향
5.4.1 서구적 직업윤리의 유입과 의미
□ 서구적인 자본주의 문화와 직업생활
- 근대화와 더불어 서구적 자본주의적 직업생활 일상화
- 우리의 직업윤리에 서구사상적 요소 유입
- 서구사상에 입각한 직업윤리 탐구 필요
5.4.2 그리스적 사유와 기독교적 배경의 직업윤리
1. 그리스적 사유
- 인간의 이성을 중심으로 함
- 인간관: 인간은 이성적 존재
- 근대 시민사회와 자본주의, 계몽주의의 바탕이 됨: 이성에 의해서 인간생활 영위
- 이성에 근거한 인간의 이기적 속성 인정, 이에 근거한 자본주의의 이윤추구 및 직업관 정당화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로크적 단서 내에서 합리성에 근거한 이윤 추구활동 정당화
* 로크적 단서: 타인의 이익 또는 생존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유화 또는 이윤추구활동 정당
- 그리스적 이성중심의 사유에 대해서 포스트모더니즘, 본능 및 무의식을 중시하는 프로이트에 의한 반론
2. 기독교적 배경
- 국민의 상당수가 기독교인으로서 기독교가 직업윤리에 영향을 미침
- 프로테스탄티즘의 직업윤리로서 청지기 윤리: 직업은 하나님의 소명이자 영광을 드러내기 위한 일, 하나님이 준 능력을 최대한 발휘해서 이윤을 남기는 일은 하나님의 축복, 단 이윤과 부의 축적은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인간의 욕망, 사치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어서는 안됨
- 근대 자본주의 태동기의 금욕주의적이고 청지기적인 기독교적인 직업윤리를 오늘날에 재음미할 필요 있음.
키워드
추천자료
노사관계와 직업윤리
직업윤리와 그 문제점과 해결책
직업과윤리-나의유망직종(수학)
부경대학교 직업과윤리 리포트(직업적성 결과 분석, swot분석, stp전략수립 등)
직업윤리의 실제 사례 조사 분석
사회복지사와 직업윤리
[윤리성][윤리][직업][광고][교원][교직][생명][낵태수술][임신중절수술][기업]직업의 윤리성...
건강가정사의 직무 및 직업윤리
프로테스탄티즘의 직업윤리
노인학대 피해 사례가 늘고 있는데,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와 연관지어 요양보호사에게 요구...
[직업윤리 독후감] 얀 마텔(Yann Martel)의 『파이 이야기(라이프 오브 파이 / Life of Pi)』
삼풍백화점의 실패사례를 통한 건축사의 직업윤리
직업윤리 - 나의 강점과 그 원인 찾기
유학과 직업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