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이론
3. 실험장치
4. 실험방법
5. 결과
6. 고찰 및 결론
2. 이론
3. 실험장치
4. 실험방법
5. 결과
6. 고찰 및 결론
본문내용
한다.
4) LABVIEW 화면에 나타난 파형을 보면서 Scan rate을 조절하며 오실로스코프에 나타난 파형과 가깝도록 만든다. 주파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화면 그래프에서 주기를 측정하면 자료의 개수로 나오게 된다. 이 수를 설정된 샘플링 주파수에 따른 최소 시간에 곱하면 주기가나오고 이 결과의 역수가 주파수가 된다.
5)함수발생기의 출력전압을 크게 줄이고 주파수를 변경한 후 오실로스코프의 화면을 조절하여 전압을 측정하고 주파수를 측정한다.
6)줄어든 전압을 확대하여 보기 위해 화면에 나타난 그래프의 수직축 최대값에 커서를 대고 클릭하여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줄어든 저압이 잘 보일 수 있는 최대 전압 값을 넣는다. 다음으로는 같은 방법으로 최소 전압 값을 변경한다. 이렇게 화면 표시 전압범위를 조절하면서 측정 파형이 화면 그래프에 충분히 크게 나타나도록 조절한 후 전압을 측정하고 주파수를 측정한다.
5. 결과
1) 실험준비
2) 속도 변환
2) 전압 변환
4) frequency 변환
frequency 1.0
frequency 0.5
frequency 0.1
6. 고찰 및 결론
이번 실험은 Labview를 이용한 실험이었다. 2학년 1학기에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젝트 과목을 하면서 labview의 사용법에 대해 공부를 조금 해놓아서 약간 수월했던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에서 우리조의 특이한 점이 다른 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정한 최고값이 나왔다는 것이다. 최고값의 평균값을 구하는 과정에서 따로 평균값을 구할 필요 없이 최고값이 일정하게 나와 최고값이 곧 평균값이 되어서 수월했다.
먼저 속도(주파수) 변환 실험에서 오실로스코프에 나온 그래프와 컴퓨터 상에 나오는 그래프는 진폭이 같게 나왔다. 즉,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신호가 거의 일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 전압 변환 실험에서는 주파수를 일정하게 고정하고 함수발생기의 전압을 변환하여 오실로스코프와 컴퓨터 상에 나온 그래프가 같은 모양으로 변하는 지를 확인 하는 것이었는데 이 실험 또한 거의 정확하게 일치 하였다.
세 번째로 frequency 변환 실험에서는 frequency의 값을 1.0 0.5 0.1로 변환하여 실험하였다 0.1로 설정했을 때 오실로스코프의 경우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컴퓨터 상에 나타난 그래프는 거의 일정한 그래프였다. 하지만 1.0과 0.5 일때는 오실로스코프와 컴퓨터 상의 그래프가 거의 일치 하였다.
4) LABVIEW 화면에 나타난 파형을 보면서 Scan rate을 조절하며 오실로스코프에 나타난 파형과 가깝도록 만든다. 주파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화면 그래프에서 주기를 측정하면 자료의 개수로 나오게 된다. 이 수를 설정된 샘플링 주파수에 따른 최소 시간에 곱하면 주기가나오고 이 결과의 역수가 주파수가 된다.
5)함수발생기의 출력전압을 크게 줄이고 주파수를 변경한 후 오실로스코프의 화면을 조절하여 전압을 측정하고 주파수를 측정한다.
6)줄어든 전압을 확대하여 보기 위해 화면에 나타난 그래프의 수직축 최대값에 커서를 대고 클릭하여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줄어든 저압이 잘 보일 수 있는 최대 전압 값을 넣는다. 다음으로는 같은 방법으로 최소 전압 값을 변경한다. 이렇게 화면 표시 전압범위를 조절하면서 측정 파형이 화면 그래프에 충분히 크게 나타나도록 조절한 후 전압을 측정하고 주파수를 측정한다.
5. 결과
1) 실험준비
2) 속도 변환
2) 전압 변환
4) frequency 변환
frequency 1.0
frequency 0.5
frequency 0.1
6. 고찰 및 결론
이번 실험은 Labview를 이용한 실험이었다. 2학년 1학기에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젝트 과목을 하면서 labview의 사용법에 대해 공부를 조금 해놓아서 약간 수월했던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에서 우리조의 특이한 점이 다른 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정한 최고값이 나왔다는 것이다. 최고값의 평균값을 구하는 과정에서 따로 평균값을 구할 필요 없이 최고값이 일정하게 나와 최고값이 곧 평균값이 되어서 수월했다.
먼저 속도(주파수) 변환 실험에서 오실로스코프에 나온 그래프와 컴퓨터 상에 나오는 그래프는 진폭이 같게 나왔다. 즉,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신호가 거의 일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 전압 변환 실험에서는 주파수를 일정하게 고정하고 함수발생기의 전압을 변환하여 오실로스코프와 컴퓨터 상에 나온 그래프가 같은 모양으로 변하는 지를 확인 하는 것이었는데 이 실험 또한 거의 정확하게 일치 하였다.
세 번째로 frequency 변환 실험에서는 frequency의 값을 1.0 0.5 0.1로 변환하여 실험하였다 0.1로 설정했을 때 오실로스코프의 경우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컴퓨터 상에 나타난 그래프는 거의 일정한 그래프였다. 하지만 1.0과 0.5 일때는 오실로스코프와 컴퓨터 상의 그래프가 거의 일치 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