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미디어와 윤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스미디어와 윤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매스미디어 윤리란 무엇인가

2. 매스미디어 윤리의 기준
1)중용의 원칙
2)공리주의 원칙
3)의무의 원칙

3. 진실보도와 윤리성

4. 이익갈등의 윤리문제

5. 언론인과 취재원과의 관계

6. 사생활 보호를 위한 윤리

7. 매스미디어의 비윤리적 행위
(1) 이해상충
(2) 연출조작
(3) 몰래카메라
(4) 오프 더 레코드
(5) 표절․모방
(6) 촌지

8. 우리나라 언론인들의 윤리의식

9. 마무리

본문내용

가 낙엽을 입으로 물어 달미의 차갑게 식은 몸을 덮어주는 모습은 인간세계의 장례 식을 연상시켰다. 『먹고 살기 힘들다고 부모 와 자식을 버리는 사람들보다 낫다』는 자책 까지 불러일으킬 정도였다. 그러나 이 감동의 드라마는 자연 다큐멘터리 가 아니라 사육된 수달을 동원한 조작극으로 드러났다. 그 순간 감동은 분노로 바뀌었다. 방송위원회는 사육 수달을 이용한 조작촬영 에 대한 KBS측의 의견진술을 받기로 했고 「그린 훼밀리운동연합」 「자연과 친구들」 등 환경단체들은 철저한 진상규명과 공개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3) 몰래카메라
설치와 촬영이 용이해지고 값싼 비용 때문에 무분별하게 몰래카메라를 찍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그에 따른 피해자도 급증하고 있다.
(4) 오프 더 레코드
은밀하게 기자에게 제공되는 자료를 뜻한다.
① 보도용
-모든 정보는 기사화해도 좋으며 그 정보원의 이름을 밝혀도 좋다고 정보원이 동의한 것.
② 익명보도
-기사를 제공한 특정인의 이름을 밝히지 않는 조건으로 보도해도 좋다는 것.
③ 배경정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되 취재원의 이름이 일반적인 호칭으로 인용되는 것.
(예를 들어 외무부의 한 관리에 의하면..같은)
④ 오프 더 레코드
-뉴스원이 제공한 정보를 개인적인 배광과 앞으로의 전망을 작성하는데 이용할 뿐 정보나 정보의 제공자는 일체 보도하지 못하는 것.
⑤ 심층배경
-기사의 배경으로 이용할 수 있되 취재원이나 기사의 출처는 어떤 형태로든 일체 밝히지 못하는 정보를 말하는 것.
(5) 표절모방
드라마부터 오락프로까지 표절과 모방시비는 끊이지 않는 미디어의 숙제이다.
예) 인기리에 방영중인 MBC 수목드라마 아일랜드가 프랑스 영화 ‘아멜리에’를 표절했다는 이야기가 나돌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표절이 아니라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고, 이렇듯 사소한 것부터 표절시비는 끊이지 않는다.
(6) 촌지
촌지, 선물, 특혜, 공짜여행 및 취재편의 제공, 특별대우 및 특별한 가치의 부여 등.
-언론이 정경과 유착하고 관청의 총보매체나 기업의 간접 선전매체로 전락한 징표.
-국민들의 알 권리를 유린하는 부도덕한 행위이다.
8. 우리나라 언론인들의 윤리의식
(한국언론재단이 2001년 전국의 신문, 통신, 방송사 소속 언론인 780을 대상으로 조사)
① 취재대상과 밀접한 관계
-취재와 관련하여 금품을 수수하는 촌지행위는 언론의 공정성과 진실성을 훼손시키는 비윤리적 관행이다.
② 언론의 선정주의
-자본주의 체제에서 상업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견지해야 한다.
-어느 정도의 선정성은 불가피하지만, 언론의 본질적 책임을 망각하고 전달내용의 본질을 훼손할 수 있을 정도의 선정성은 문제가 된다.
③ 표절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지적 재산권 문제가 사회 도덕적 관념상 크게 문제가 된 바가 없고 지금까지도 표절의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이다.
-최근에는 외국으로부터 많은 감시와 규제를 요구받고 있다.
④ 개인의 인격을 침해
-명예훼손과 사생활 침해
⑤ 성차별 문제
-미디어가 제공하는 내용 측면에서의 성차별
-미디어 조작에서의 성차별
9. 마무리
매스미디어와 윤리는 매스미디어가 생겨나면서부터 생긴 문제이자 앞으로도 우리가 해결해야할 숙제이다. 시대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은 모두 다르지만 윤리성과 도덕성의 근본적인 것에는 변함이 없다. 우리는 절대적인 윤리의 기준을 세울 수는 없지만 우리의 인식 속에 자리 잡은 윤리가 바른 것이라면 그것이 곧 기준이자 잣대가 될 것이다. 갈수록 매스미디어의 영향은 커지고 방대해진다. 그럴수록 우리는 윤리성을 잊지 말고 부끄럽지 않은 언론을 만들기 위해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것에서부터 반성하고 바로 잡아가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9.16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0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