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7계층과 TCP IP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OSI7계층과 TCP I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Class : 10.0.0.0 - 10.255.255.255
B Class : 172.16.0.0 - 172.31.255.255
C Class : 192.168.0.0 - 192.168.255.255
DNS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도메인 네임을 IP주소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것이 필요한 이유는 인터넷의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IP주소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IP주소는 32비트(십진수 4자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억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DNS을 이용 IP주소를 문자화시키고 사용자가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면 DNS의 해당 정보를 보고 IP주소로 변환하여 접속하는 것이다.
도메인네임
Domain Name은 인터넷 사용자가 이해하고 기억하기 쉽도록 IP 주소를 문자화 한 것이다.
도메인네임은 숫자, 문자, - 등을 이용 256자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보통 도메인네임의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호스트이름.기관의이름.기관의성격.나라표시
도메인은 일정한 기준에 의해 구분되는데 이러한 것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① gTLD(generic Top Level Domain)
일반 최상위 도메인을 의미한다.
종류
기관 분류
등록처
com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
ICANN
net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기관
ICANN
org
비영리(non-profit) 기관
ICANN
edu
4년제 단과대학/종합대학
InterNIC
gov
미국 연방정부기관
CEMT
mil
미국 연방군사기관
DoD NIC
int
국제적인 특성을 가진 기관(유엔,NATO 등)
ISI
② nTLD(national Top Level Domain)
국가별 최상위 도메인을 의미한다.
아래의 국가 이외의 코드는 http://www.iana.org/cctld/cctld-whois.htm 에서 알 수 있다
분류
국가명
kr
한국
kp
북한
jp
일본
ca
캐나다
uk
영국
fr
프랑스
de
독일
③ 우리나라의 2단계 도메인 네임
종류
기관 분류
ac
대학
co
기업
or
비영리기관 및 단체
go
정부기관
ne
네트워크
re
연구기관
es
초등학교
ms
중학교
hs
고등학교
sc
기타학교
kg
유치원
pe
개인
④ 새로 추가된 상위 도메인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에서 도메인 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2000. 11 최상위 도메인을 추가로 발표하였다.
종류
설명
등록처
biz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
Neulevel Ltd
pro
의사, 변호사등 전문가
RegistryPro Ltd
info
정보 제공 관련기관
Afilias LLC
name
개인용
The Global Name Registry Ltd
coop
협동 조합 관련 기관
NCBA
aero
항공 관련 기관
SITA
museum
박물관
MDMA
2000.11 이전에 IAHC등에서 논의되었던 도메인은 아래와 같았다.
분류
설명
rec
오락, 연예 관련
web
인터넷 사업 관련
info
각종 정보 서비스 관련
arts
문화, 예술 관련
nom
개인이나 학명
firm
기업체
store
상품판매업
예상문제
1. 다음 중 국내의 IP주소 할당 및 도메인 주소 등록 및 관리를 하는 곳은 ?
① INTERNIC ② KRNIC ③ NCA ④ KISA
답: 2
설명
KRNIC은 한국인터넷 정보센터로 한국의 도메인 주소를 관리한다.
2. OSI 7계층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1997년 W3C에서 제정되었다.
② 7개의 계층 구조(Stack)로 구성되어 있다.
③ 인터넷의 기본프로토콜인 TCP/IP는 OSI 7계층을 간단하게 구현한 것이다.
④ 최상위 계층이 응용계층이다
답 : 1
설명
OSI7계층은 ISO의 분과 위원회에서 제정한 것이다.
3. 다음 IP 주소 중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것은 ?
① 128.2.3.87 ② 190.25.74.111 ③ 125.65.41.47 ④ 160.2.1.1
답 : 3
설명
IP주소는 A, B, C, D, E 5개의 클래스로 구분되는데 그 중에서 C Class의 십진수 첫 번째 자릿수는 128~191이다.
4. OSI 7계층 중 최종목적지까지의 데이터 경로 설정을 담당하는 계층은 어느 것인가?
1. 응용계층
2. 세션계층
3. 네트워크계층
4. 물리계층
답 : 3
설명
IP, ICMP, IGMP등의 프로토콜이 네트워크계층에 해당한다.
5. 현재 인터넷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 및 ISP들의 IP주소 선점으로 인한 IP주소 부족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차세대 IP주소 체계인 IPv6가 대두되고 있는데 이것은 몇 비트로 구성된 것인가?
① 16 ② 32 ③64 ④ 128
답 : 4
설명
IPv6는 128비트 주소체계이다.
6. TCP/IP 프로토콜중의 하나로 E-Mail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무엇인가 ?
1. IGMP 2. UDP
3. NNTP 4. SMTP
답 : 4
설명
SMTP는 E-mail을 보내기 위한 것이고 POP3, IMAP은 E-mail을 일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7. 다음 중 IP 주소에 해당하는 Lan 카드의 물리적 주소를 찾고자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
① SMTP ② ICMP ③ ARP ④ IGMP
답 : 3
설명
ARP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주소결정 프로토콜이다.
8. 다음 IP 주소 중 A 클래스 주소에 속하는 것은 ?
① 127.0.0.1   ② 128.124.128.23
③ 211.211.111.111 ④ 126.111.222.111
답 : 3
설명
A Class는 IP주소의 첫째자리 십진수가 1-126이다.
9. 인터넷에 관련한 프로토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인터넷은 기본적으로 TCP/IP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OSI 7계층을 간략히 구현한 것이다.
② 전송계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TCP. UDP가 있다.
③ SLIP/PPP는 전용선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④ 라우팅 프로토콜로 ARP, RIP, OSPF 등이 있다.
답 : 3
설명
SLIP/PPP는 모뎀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에 사용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9.17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2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