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줄거리
2. 주인공에 대한 성격 분석
(1) 주인공의 자아상
(2) 주인공의 방어기제
3. 호나이의 이론에서 본 주인공의 성격
4. 정말 민우는 수연이를 사랑했을까?
5. 치료적 기법
2. 주인공에 대한 성격 분석
(1) 주인공의 자아상
(2) 주인공의 방어기제
3. 호나이의 이론에서 본 주인공의 성격
4. 정말 민우는 수연이를 사랑했을까?
5. 치료적 기법
본문내용
질렀던 범죄로 인해 죄책감을 안고 있다는 사실. 그것을 털어놓아야 하기 때문에 그동안의 감정에 대해 충분히 경청해주는 부분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자아가 약하기 때문에 쉽게 불안을 느껴 심리적으로 고통스러워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위니코트가 말한 벼터주기(holding)는 내담자의 감정을 안정시켜 관계하는 대상이나 자신을 파괴하지 않도록 배려해주는 어머니의 역할로서 기능하게 된다. 상담자는 불안으로 인해 어디로 떠돌지 모르는 내담자를 끊임없는 벼터주기를 통해 편한 상담장면을 만들어줌으로써 내담자의 감정을 그대로 받아줄 수 있다. 이 때 상담자는 내담자의 자기 대상(self object)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는 내담자에게 자아를 강하게 해 줄 수 있는 보조 자아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