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사의 의미 - 신사에 해당되는 계층에 대해서 자세히 표로 설명하였습니다.
2. 신사의 형성배경과 특권 - 과거제와 학교제가 합쳐지는 과정을 도식화로 잘 설명해두었습니다.
- 더불어 신사가 지방의 관리와 어떤 과정에서 유착되는지를 설명하였음.
3. 신상의 등장과 형성배경
4. 명청시대 신사의 총체적인 변화과정 설명
5. 신사의 긍정적역할 부정적 역할
6. 정리 및 결론
2. 신사의 형성배경과 특권 - 과거제와 학교제가 합쳐지는 과정을 도식화로 잘 설명해두었습니다.
- 더불어 신사가 지방의 관리와 어떤 과정에서 유착되는지를 설명하였음.
3. 신상의 등장과 형성배경
4. 명청시대 신사의 총체적인 변화과정 설명
5. 신사의 긍정적역할 부정적 역할
6. 정리 및 결론
본문내용
1. 신사(紳士)란?
① 중국 명(明), 청(淸)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영향을 행사한 계층.
② 신(紳) : 관직경력자. 현직, 휴직, 퇴직관료
사(士) : 미입사 학위 소지자. 거인(擧人), 감생(監生), 생원(生員)등 관위지망자.
③ 진출방법 : 과거제, 학교제, 연납제, 음(蔭) 등으로 진출
④ 특징 : 세습되는 직책이 아니라 ‘학위’를 통하여 제도적으로 신분을 보장받게 되므로
이는 서양의 ‘Gentry’ 의 개념과는 다르다.
2-1. 신사의 형성배경 - 과거제와 학교제의 결합
: 명은 전국의 부, 주, 현에 일률적으로 중등학교 격인 ‘유학(儒學)’을 설립하고 유학의
학생인 생원에게만 과거응시 자격을 주었다. 따라서 과거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학에 입학하여 생원이 되어야 했다.
• 과거제를 통해 관료가 되는 과정 : 생원 → 거인(향시) → 진사(회시, 진시) → 관료
• 생원 : 동시(童試)에 합격한 학생으로 성적에 따라 국자감에 진학할 수도 있고, 향시에
응할 수 있는 학위 소지자
• 거인 : 향시에 합격한 자로서 명대에 그 자격만으로도 관직에 임명되는 것이
가능하였고, 회시의 합격을 위해 국자감에서의 학업도 허가되었다.
• 학교제를 통해 관료가 되는 과정 : 생원 → 감생(국자감 입학생) → 진사 → 관료
• 감생 : 국자감의 학생으로 생원으로부터 선발된 학위소지자로서, 감생이라는
자격만 가지고도 입사가 가능하여 명대의 중, 하급관료의 과반수가 감생출신.
① 중국 명(明), 청(淸)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영향을 행사한 계층.
② 신(紳) : 관직경력자. 현직, 휴직, 퇴직관료
사(士) : 미입사 학위 소지자. 거인(擧人), 감생(監生), 생원(生員)등 관위지망자.
③ 진출방법 : 과거제, 학교제, 연납제, 음(蔭) 등으로 진출
④ 특징 : 세습되는 직책이 아니라 ‘학위’를 통하여 제도적으로 신분을 보장받게 되므로
이는 서양의 ‘Gentry’ 의 개념과는 다르다.
2-1. 신사의 형성배경 - 과거제와 학교제의 결합
: 명은 전국의 부, 주, 현에 일률적으로 중등학교 격인 ‘유학(儒學)’을 설립하고 유학의
학생인 생원에게만 과거응시 자격을 주었다. 따라서 과거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학에 입학하여 생원이 되어야 했다.
• 과거제를 통해 관료가 되는 과정 : 생원 → 거인(향시) → 진사(회시, 진시) → 관료
• 생원 : 동시(童試)에 합격한 학생으로 성적에 따라 국자감에 진학할 수도 있고, 향시에
응할 수 있는 학위 소지자
• 거인 : 향시에 합격한 자로서 명대에 그 자격만으로도 관직에 임명되는 것이
가능하였고, 회시의 합격을 위해 국자감에서의 학업도 허가되었다.
• 학교제를 통해 관료가 되는 과정 : 생원 → 감생(국자감 입학생) → 진사 → 관료
• 감생 : 국자감의 학생으로 생원으로부터 선발된 학위소지자로서, 감생이라는
자격만 가지고도 입사가 가능하여 명대의 중, 하급관료의 과반수가 감생출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