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캐패시티 부하
본문내용
캐패시티 부하
그림과 같이 이상적인 캐패시티 부하를 고려해보자. 정상상태에서 캐패시티는 최대입력전압으로 충전되며, 다이오드는 전 구간에서 도통하지 않는다. 다이오드의 피크전압은 입력전압의 피크 값의 두 배이다.
R-C 부하
캐패시티 C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 R의 부하에 대한 정상상태에서 동작 원리를 고찰해 보자.
그림 R-C 병렬 부하 회로
(a) Mode 1에서 동작 회로
,
,
(b) Mode 2에서 동작회로 ; 방전전류
Peak to Peak Voltage Ripple
- 리플주파수는 전원주파수와 같다.
- 전압 리플은 캐패시티 값을 크게 하면 무시할 수 있다.
- 출력전압은 거의 직류전압과 같다.
Voltage Sink Load : 전원측 인덕턴스외에 저항성분은 작은 값으로 무시
;
전류는 와 에서 영(zero)이다.
전류 (Commutation) - 전원 임피던스의 영향
실제 회로에서 전원은 주로 유도성 리액턴스인 등가 임피던스를 갖는다.
전원임피던스 Ls와 환류다이오드(freewheeling diode)를 갖는 반파 정류기를 고찰해 보자. 부하 인덕턴스가 상당히 크면 부하 전류를 일정하게 한다.
초기상태 t=0에서 부하전류는 , -OFF, -ON
전류시간 혹은 전류(Commutation ) : , 두개가 ON이 되는 간격(시간)을 말한다. 즉 하나의 스위치가 다른 스위치로 부하전류를 전달하는 것과 관련된 전자스위치의 턴오프의 과정이다. - 자연전류 (Natural Commutation or Line Commutation) 라 부른다.
두 개의 다이오드 , 이 ON일 때 양단의 전압 는
와 전원에서 전류 는
에서 전류는
에서 전류는 에서 시작하여 영으로 감소한다. 전류가 영이 되는 시점을 로 놓으면
U 값을 구하면
전원 리액턴스는 전류각의 함수로 부하양단의 전압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다.
가 도통할 때 부하 양단의 평균 전압은
전원측 리액턴스는 평균 부하전압을 감소한다.
Ls 인덕턴스 갖는 단상 Full Bridge 정류기
그림과 같이 이상적인 캐패시티 부하를 고려해보자. 정상상태에서 캐패시티는 최대입력전압으로 충전되며, 다이오드는 전 구간에서 도통하지 않는다. 다이오드의 피크전압은 입력전압의 피크 값의 두 배이다.
R-C 부하
캐패시티 C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 R의 부하에 대한 정상상태에서 동작 원리를 고찰해 보자.
그림 R-C 병렬 부하 회로
(a) Mode 1에서 동작 회로
,
,
(b) Mode 2에서 동작회로 ; 방전전류
Peak to Peak Voltage Ripple
- 리플주파수는 전원주파수와 같다.
- 전압 리플은 캐패시티 값을 크게 하면 무시할 수 있다.
- 출력전압은 거의 직류전압과 같다.
Voltage Sink Load : 전원측 인덕턴스외에 저항성분은 작은 값으로 무시
;
전류는 와 에서 영(zero)이다.
전류 (Commutation) - 전원 임피던스의 영향
실제 회로에서 전원은 주로 유도성 리액턴스인 등가 임피던스를 갖는다.
전원임피던스 Ls와 환류다이오드(freewheeling diode)를 갖는 반파 정류기를 고찰해 보자. 부하 인덕턴스가 상당히 크면 부하 전류를 일정하게 한다.
초기상태 t=0에서 부하전류는 , -OFF, -ON
전류시간 혹은 전류(Commutation ) : , 두개가 ON이 되는 간격(시간)을 말한다. 즉 하나의 스위치가 다른 스위치로 부하전류를 전달하는 것과 관련된 전자스위치의 턴오프의 과정이다. - 자연전류 (Natural Commutation or Line Commutation) 라 부른다.
두 개의 다이오드 , 이 ON일 때 양단의 전압 는
와 전원에서 전류 는
에서 전류는
에서 전류는 에서 시작하여 영으로 감소한다. 전류가 영이 되는 시점을 로 놓으면
U 값을 구하면
전원 리액턴스는 전류각의 함수로 부하양단의 전압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다.
가 도통할 때 부하 양단의 평균 전압은
전원측 리액턴스는 평균 부하전압을 감소한다.
Ls 인덕턴스 갖는 단상 Full Bridge 정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