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중요성과 실태,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용구,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기초표현지도와 용구사용지도, 향후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적용과제와 시사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중요성과 실태,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용구,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기초표현지도와 용구사용지도, 향후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적용과제와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특징

Ⅲ.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중요성과 실태

Ⅳ.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용구
1. 종이
2. 붓
3. 묵(먹)

Ⅴ.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기초표현지도
1. 기초 표현 요소의 단계적 지도
2. 기초 표현 요소의 구체적 활용
1) 집
2) 나무
3) 산
4) 꽃
5) 과일
6) 인물
3. 먹과 화선지의 특성을 통한 창의력 신장 활동

Ⅵ.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용구사용지도
1. 용구 및 재료의 특성 지도를 위한 프로그램
2. 용구 및 재료의 사용법 지도를 위한 프로그램

Ⅶ. 향후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적용 과제

Ⅷ.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끈매끈 하다
- 뒷면 : 까칠까칠 하다
- 매끈매끈한 곳에 그림을 그린다.
돋보기로 보면 작은 구멍이 숭숭나있다.
- 물기를 잘 흡수한다.
화선지는 얇고 잘 찢어지기 때문에 창호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선지의 특 성
물에 적셔 보면
- 물을 금방 흡수하며 빨리 마르지 않는다.
- 물에 약하여 흐물흐물해 지고 잘 찢어진다.
붓으로 칠해 보면
- 붓에 묻은 먹물의 양에 따라 번짐이 다르다.
- 마른 후 덧칠하면 여러 층의 먹색이 나타난다.
먹물을 잘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번짐의 효과를 표현한다.
덧칠은 마른 후에 한다.
2. 용구 및 재료의 사용법 지도를 위한 프로그램
용구
교수·학습 활동 내용

새 붓을 사용할 때
붓을 맑은 물에 담가 부드럽게 한 다음 붓털에 묻은 아교 성분을 모두 씻은 다음 사용한다.
먹물 묻힐 때
붓의 털 전체에 골고루 적신 후 사용한다.
사용한 후
맑은 물에 먹물을 씻어내고 수건에 붓털을 가지런히 하면서 물기를 뺀 후 붓말이개를 이용하여 보관한다.
- 붓털 보호 강조
빨아 두지 않아서 딱딱하게 굳은 붓은 새 붓 사용 때와 같이 물에 불려 녹인 후 사용한다.
장기간 보관할 때
방충제(좀약)를 넣어 보관한다.
오래 사용하여 붓끝이 닳은 몽당붓도 긴요하게 쓸 때가 있으므로 버리지 말고 보관한다.

먹을 갈 때
벼루에 깨끗한 물을 붓는다.
먹을 잡을 때는 종이에 싸서 아랫부분을 잡는다.
먹을 벼루와 수직으로 세우고 상, 하 또는 원을 그리면서 물이 튀지 않게 조심히 간다.
너무 성급하게 힘을 주면서 갈면 입자가 잘 풀리지 않아 발색이 좋지 않다.
차분한 마음으로 주제를 구상하면서 간다.
겨울에는 따뜻한 물을 사용한다.
사용할 때
먹은 반드시 그림을 그리기 직전에 갈아 놓도록 한다.
갈아 놓은 먹은 그 다음 날까지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사용한 후
먹을 다 썼을 때는 젖어있는 끝부분을 잘 씻는다.
-먹 속의 아교가 변질되거나 균열이 나서 부스러진다.
벼루에 먹을 놓아두면 서로 붙고 무리하게 떼면 상하기 쉽다.
먹의 보관
상자에 담아 햇빛이나 찬바람을 피해 보관한다.
벼 루
사용할 때 : 벼루는 돌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무겁다.
- 운반할 때는 양손을 받쳐 든다.
벼루는 자기의 오른쪽에 놓고 움푹 들어간 쪽을 멀리 놓고 흔들리지 않게 밑에 신문지나 수건 등을 깐다.
사용 후 : 먹물을 깨끗이 닦는다. - 물 또는 화장지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쇠붙이 등으로 긁지 않는다.
남아 있는 먹 찌꺼기는 먹색을 나쁘게 한다.
화선지
공기 중에 오랫동안 방치하면 건조하여 재질이 변한다.
많이 사놓고 쓸 때는 비닐로 싸서 햇빛을 피해 보관한다.
장마철에는 습기로 곰팡이가 슬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창호지
묵색도 좋고 겹쳐 그릴 수 있으며 번짐도 적당하여 초등학생에게 적당하다
물 감
일반적으로 채색용 물감을 안료라 하는데 동물성 안료와 식물성 안료가 있다. 포스터 칼라나 수채용 물감을 사용하기도 한다.
서진(문진)
종이를 눌러 고정시키는데 쓴다.
나무, 쇠, 도자기로 만든 것을 쓰는데 너무 길지 않고 중량감이 있으면 된다.
종이받침
먹이 번지지 않도록 종이를 받쳐 쓰는 것으로 모포나 융이 좋고 흰색이어야 한다.
붓말이개
붓을 휴대할 때 붓의 털을 보호하기 위한 말이개
물통
붓을 빠는 그릇인데 깡통이나 플라스틱 그릇을 이용한다.
목탄
화지에 대략적인 구도를 잡을 때 사용
조색판
묵색의 농담 조절 및 물감으로 색을 만들 때 사용
기 타
연적, 화장지, 방석, 걸레, 보관 상자 등
Ⅶ. 향후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적용 과제
한국화를 이해하고 감상하려면, 사물을 보는 전통 방법의 사고와 한국의 조형 의지, 언어를 알아야 한다. 그렇게 하여야만 한국화를 감상할 수도 있고 그릴 수 있으며 나아가 세계적으로도 한국화를 이해시킬 수 있다. 특히 교사의 한국화에 대한 이해는 곧바로 아동의 현장에서 지도 과정이나 방법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화의 지도는 한국의 전통 미술 교육 방법이나 미술 활동 속에서 찾아보며 그 의미를 현장에 도입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아동 미술 지도를 하다 보면 아동들의 표현 기법과 방법들은 서양적인 사고보다는 동양적인 사고에 더 가까운 것을 볼 수 있다. 성인들의 고정 관념으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시간의 흐름을 한 화면 안에 표현한다든지, 화면 속에 다시 점으로 보는 사고의 표현, 공간을 초월한 자유로운 사고는 한국 사상의 구현과 동일하다. 한국화는 그런 아동들의 창의성과 무한의 사고를 배양하는 적절한 미술 교육이다.
Ⅷ. 결론 및 시사점
“민족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세계화 추세 속에서 한국의 전통예술에 대한 미술교육, 즉 한국화 등 한국적인 것의 교육을 강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마땅히 강조되어야할 한국화가 교육현장에서는 교육의 현실과 교육 현장에서의 여러 어려움 등으로 우리 민족의 혈맥 속에 흐르는 전통적 문화 교육이 소홀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어려서부터 화선지와 붓이 아닌 캔트지와 크레파스로 미술을 접하고 수채화를 통하여 평면 표현 능력을 기르고 있는 아이들에게 한국화는 낯설고 어려운 것이 당연할지도 모른다. 교사들조차도 한국화를 접해 본 경험이 적어 한국화에 대한 인식, 기법적인 이해나 지도 능력의 부족하여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고 시설 조건의 미비, 체계적인 지도 프로그램이나 학습 자료의 부족함으로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화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학교에서는 한국화를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육 자료가 전무한 형편이다.
따라서 한국화에 흥미를 잃고 붓을 잡는 것조차 부담스러워하는 아이들에게 어떻게 하면 한국화를 친숙하게 느끼고 이해하며 표현능력을 길러줄 자료제작에 힘써야 한다.
참고문헌
◇ 김종태(1978), 동양화론, 서울 : 일지사
◇ 김원룡(1996), 한국미의 탐구, 서울 : 열화
◇ 박용숙, 한 당 오대 송의 회화-동양의 명화, 삼성출판사
◇ 윤희순(1995), 조선미술사연구, 범우사
◇ 이동주(1987), 한국회화사론, 열화당
◇ 전영탁·전창림(1999), 알고쓰는 미술재료, 서울 : 미술문화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10.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8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