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작가론]김지하와 그 작품 조사,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작가론]김지하와 그 작품 조사, 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김지하 연보

김지하와 《 오적(五賊) 》

김지하와《타는 목마름으로 》

김지하와《 이 가문 날에 비구름 》

본문내용

말했다.
그리고 엘뤼아르의 <자유>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프랑스점령에 저항하는 레지스탕스 운동을 전개하면서 발표한 저항시로, 김지하와 김수영의 저항시에 비교되는 시로서, 자유에 대한 시인의 갈망을 매우 강렬하게 표현한 작품이다.
김지하와《 이 가문 날에 비구름 》
▶ 김지하의 문학세계
서구식 모형의 개발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
이를 급속하게 강제적으로 집행하는 권위주의적 지배정권에 대한 치열한 투쟁-<타는 목마름으로>, <오적>
1980년대 중반


대결, 투쟁, 공격의 세계를 화해, 포용, 통일의 세계와 통합
죽임의 세력에 대한 직접적인 응전과 저항의 대립구도에서 죽음의 세계까지도 순치시켜 포괄(생명의 문화재건)
▶ <이 가문날에 비구름>(1988)
- 대표적인 생명사상시
- 이 시의 발표로 김지하는 기존의 저항시인 이미지를 벗고 생명사상가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을 수 있었음.
- '오적'과 같은 담시
- 수운 최제우의 일대기를 배경으로 함
줄거리
(외화) 진인이 나올 세상의 범상치 않은 정세에 대한 비판
(내화) 수운 최제우에 대한 소개
수운의 탄생과정
지배층의 부패와 외세의 침입으로 점철되는 험열한 시대상에 대해 탄식
최제우가 도를 얻어 중생을 살리고자 길을 떠남
수운이 구미용담에서 하늘의 계시를 받음
최제우가 후천개벽 사상의 포덕에 나섬
삼남이 동학천지가 되자 조정에서 수운을 체포하러 옴
수운이 해월 최시형을 동학정신의 전수자로 지목함
수운이 처형당함
기층 민중들이 모두 나와 시끌벅적하며 후천개벽을 외치고, 온 우주가 진동함
(외화) 수운을 추모하는 조시
▶ 중심내용
- 생명의 본성을 터득하고 실천하는 민중의 삶을 통한 궁극적인 화해의 원리와, 갈등구조보다 이 땅의 고난의 역사를 감내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역사를 열어나가는 민중들의 삶의 역정과 지혜에 집중
'후천개벽'- 민중적 삶에 대한 재발견을 통해 수직적인 억압과 차별의 상극의 문화에서 수평적인 화해와 포용의 혜원상생의 문화를 건설
▶ '오적'과 '이 가문날에 비구름'에서 그려지고 있는 민중
* 오적-민중 지배자, 억압자, 착취자에 대한 상대적 가치 개념으로서의 위상,
억압자와 피억압자간의 팽팽한 대립관계
* 이 가문날의 비구름-민중 역사의 근원적인 흐름을 따르고, 그 흐름에 거역하는 요소에 저항하며 극복해 나가는 주체,
절대적 가치개념, 민중이 시련의 역사를 관통하면서 이를 초극해 나가는 포용적인 통합의 관계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0.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8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