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목차
없음
본문내용
서 론
이 책의 첫장부터 시작하여 바로 위의 단원까지 학습한 모든 내용들이 이제부터 우리가 학습할 SQL Tuning이라는 마지막 단원에 가장 많이 녹아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SQL Tuning이라는 한 영역에 대해서 이 지면을 통해 모든 것을 다 기술을 할 수는 없다.
또한 SQL Tuning에 관련된 모든 내용을 저자가 다 알고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저자가 그동안 학습하고 , 경험한것을 중심으로 하여 SQL Tuning에 필요한 기초적인 단계를 확고히 할려는 것이 이번 장의 주된 목적임을 알리고자 한다.
우리는 그동안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 필요에 따라서 정보를 찾기위해 SQL Query 문장을 많이 만들어 사용을 하였다.
SQL Query 문장을 작성하고 그 수행 결과치를 기다리면서 , 원하는 Data가 빠른 시간안에 나타날 때는 그냥 넘어가고 그렇지 않고 원하는 결과치가 시간이 많이 흐른 뒤에도 나오지 않을때는 짜증이 섞인 상태에서 찾고자 하는 Table의 Data 건수가 몇건인지를 조사하는 경우가 많았을 것이다.
이때 꼭 하는 말중에 하나가 “Table의 Data 건수가 너무 많아서 원래 늦는거야” 라는 것이다.
정말 Data 건수가 많아서 우리가 원하는 결과치의 Data가 늦게 나오는것일까?
한번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는 말이다.
문제는 우리가 찾고자 하는 결과치의 Data는 그 많은 Data 건수 전체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정말 필요로 하는 Data의 수는 상황에 따라서는 10건 미만일것이고 또는 많을때는 300건 미만일 경우가 대부분일텐데 ( OLTP 기준 )
필요로 하는 결과치의 Data 건수는 전혀 생각을 하지 않고 전체 Data 건수에 기준을 두어서 무겁다는 말과 늦는다는말을 함께 묶어서 말하는 것이 그동안의 우리의 모습이었을 것이다.
혹자는 SQL Tuning이라는것이 무척 특화된 전문가들이 하는 작업이라고 생각을 한다.
IT 업종에서 세부적으로 분야를 나누다 보면 SQL Tuning이라는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는 그 분야가 다른 분야에 비하여 특화된 분야일것이다.
그렇지만 그 특화된 전문가들은 그 SQL Tuning이라는 한 분야에서 오랜 시간동안 본인들이 느끼고 배운 것을 가지고 활용을 하는것이고 , 다른 분야에 있는 사람들도 역시 그 해당 분야에 대해서 오랜 시간동안 느끼고 배운 것을 활용하고 있는 것일뿐이다.
SQL Tuning의 깊은 속을 보기위해서 Optimizer의 모든 원리를 다 알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Optimizer의 모든 원리를 모르더라도 그 기본 원리를 알고 또 접근하는 방식을 알면 Optimizer의 모든 원리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우리에게 최고의 수행속도를 낼수있는 SQL Tuning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럼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SQL Tuning에 필요한 기초적인 원리 이해를 한 단계 한 단계씩 알아보도록 하자.
이 책의 첫장부터 시작하여 바로 위의 단원까지 학습한 모든 내용들이 이제부터 우리가 학습할 SQL Tuning이라는 마지막 단원에 가장 많이 녹아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SQL Tuning이라는 한 영역에 대해서 이 지면을 통해 모든 것을 다 기술을 할 수는 없다.
또한 SQL Tuning에 관련된 모든 내용을 저자가 다 알고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저자가 그동안 학습하고 , 경험한것을 중심으로 하여 SQL Tuning에 필요한 기초적인 단계를 확고히 할려는 것이 이번 장의 주된 목적임을 알리고자 한다.
우리는 그동안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 필요에 따라서 정보를 찾기위해 SQL Query 문장을 많이 만들어 사용을 하였다.
SQL Query 문장을 작성하고 그 수행 결과치를 기다리면서 , 원하는 Data가 빠른 시간안에 나타날 때는 그냥 넘어가고 그렇지 않고 원하는 결과치가 시간이 많이 흐른 뒤에도 나오지 않을때는 짜증이 섞인 상태에서 찾고자 하는 Table의 Data 건수가 몇건인지를 조사하는 경우가 많았을 것이다.
이때 꼭 하는 말중에 하나가 “Table의 Data 건수가 너무 많아서 원래 늦는거야” 라는 것이다.
정말 Data 건수가 많아서 우리가 원하는 결과치의 Data가 늦게 나오는것일까?
한번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는 말이다.
문제는 우리가 찾고자 하는 결과치의 Data는 그 많은 Data 건수 전체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정말 필요로 하는 Data의 수는 상황에 따라서는 10건 미만일것이고 또는 많을때는 300건 미만일 경우가 대부분일텐데 ( OLTP 기준 )
필요로 하는 결과치의 Data 건수는 전혀 생각을 하지 않고 전체 Data 건수에 기준을 두어서 무겁다는 말과 늦는다는말을 함께 묶어서 말하는 것이 그동안의 우리의 모습이었을 것이다.
혹자는 SQL Tuning이라는것이 무척 특화된 전문가들이 하는 작업이라고 생각을 한다.
IT 업종에서 세부적으로 분야를 나누다 보면 SQL Tuning이라는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는 그 분야가 다른 분야에 비하여 특화된 분야일것이다.
그렇지만 그 특화된 전문가들은 그 SQL Tuning이라는 한 분야에서 오랜 시간동안 본인들이 느끼고 배운 것을 가지고 활용을 하는것이고 , 다른 분야에 있는 사람들도 역시 그 해당 분야에 대해서 오랜 시간동안 느끼고 배운 것을 활용하고 있는 것일뿐이다.
SQL Tuning의 깊은 속을 보기위해서 Optimizer의 모든 원리를 다 알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Optimizer의 모든 원리를 모르더라도 그 기본 원리를 알고 또 접근하는 방식을 알면 Optimizer의 모든 원리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우리에게 최고의 수행속도를 낼수있는 SQL Tuning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럼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SQL Tuning에 필요한 기초적인 원리 이해를 한 단계 한 단계씩 알아보도록 하자.
추천자료
A+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ACCESS]CD 대여 관리 프로그램
File system & Database system 파일 시스템 & 데이터시스베이스템
데이터베이스 장단점
관계데이터 모델과 제약조건
데이터베이스 기본개념
데이터 독립성에 대한 정의
데이터베이스 계층구조, 모델 , 시스템구성요소, 스키마
데이터조작언어(DML)의 기능과 종류
DVD렌털샵 데이터베이스 및 동의어설명
데이터 베이스 웹 서버 구축(DB Web Server)
데이터 베이스 마케팅
데이터 종속성과 중복성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라 ANSI/SPARC 3단계 구조와 데이터 독립성에...
데이터베이스 설계과정과 정규화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