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論 ‥‥‥‥‥‥‥‥‥‥‥‥‥‥ 2
1. 교수-학습 자료의 개념과 중요성
2. 좋은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의 선정 및 활용
Ⅱ. 本 論 ‥‥‥‥‥‥‥‥‥‥‥‥‥‥ 3
1. 이야기 나누기 교재
2. 영역 활동 교재
1) 수영역
2) 신체
3) 언어영역
4) 조작 놀이 영역
5) 과학 영역
Ⅲ. 結 論 ‥‥‥‥‥‥‥‥‥‥‥‥‥‥ 12
※ 參考文獻 ‥‥‥‥‥‥‥‥‥‥‥‥‥‥ 12
1. 교수-학습 자료의 개념과 중요성
2. 좋은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의 선정 및 활용
Ⅱ. 本 論 ‥‥‥‥‥‥‥‥‥‥‥‥‥‥ 3
1. 이야기 나누기 교재
2. 영역 활동 교재
1) 수영역
2) 신체
3) 언어영역
4) 조작 놀이 영역
5) 과학 영역
Ⅲ. 結 論 ‥‥‥‥‥‥‥‥‥‥‥‥‥‥ 12
※ 參考文獻 ‥‥‥‥‥‥‥‥‥‥‥‥‥‥ 12
본문내용
우리나라
소주제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
활동명
집 이름을 짝지어 주세요.
활동영역
언어 영역
교육목표
ㆍ전통 가옥의 이름을 읽고 말한다.
ㆍ우리나라 전통 가옥의 종류와 이름에 관심을 가진다.
교육과정 관련요소
ㆍ언어 생활: 말하기- 낱말과 문장으로 말하기
ㆍ언어 생활: 읽기- 읽기에 관심 가지기
ㆍ사회 생활: 사회 현상에 관심 가지기- 우리나라와 우리 전통문화에 관심 가지기
교재 제작 재료
우드락, 칼, 전통 가옥 사진자료, 전통 가옥 이름, 풀, 시트지, 커터기
교재 제작 방법
1) 컴퓨터로 전통 가옥 사진자료와 전통 가옥 이름을 편집한다.
2) 커터기로 프린트된 종이를 자른다.
3) 우드락을 직사각형 5조각으로 자른다.
4) 전통 가옥 사진 자료와 전통 가옥 이름을 우드락에 붙인다.
5) 전통 가옥 사진과 전통 가옥 이름을 모양내어 자른 후 씨트지를 붙인다.
6) 시트지 붙인 옆 부분을 마무리 한다.
활용방법
<도입> 1) 전통 가옥 그림을 보며 이야기를 나눈다.
-이런 집을 본적이 있나요?
-이 집의 이름은 무엇일까?
2) 퍼즐을 맞추는 방법을 알아본다.
- 이것과 짝이 되는 것은 무엇일까?
<전개> 3) 퍼즐을 보고 그림 카드와 글자 카드를 맞추어 본다.
<종결> 4) 한 유아가 그림 카드를 보고 수수께끼를 내면, 다른 유아는 글자
카드를 찾는다.
-이것은 짚으로 만든 집이야, 무엇일까?
4) 조작 놀이 영역
주제
우리나라
소주제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
활동명
한복 입히기
활동영역
조작 놀이 영역
교육목표
ㆍ한복을 입는 방법을 안다.
ㆍ한복 그림 카드와 이름을 짝지어 본다.
교육과정 관련요소
ㆍ사회 생활: 사회 현상에 관심 가지기- 우리나라와 우리 전통문화에 관심 가지기
ㆍ언어 생활: 읽기- 읽기에 관심 가지기
ㆍ사회 생활: 이웃과 더불어 생활하기- 예절 바르게 생활하기
교재 제작 재료
기본판(여자 아이와 남자 아이 그림판), 한복 그림, 색지, 까슬이, 보슬이, 가위, 풀,
코팅지
교재 제작 방법
1) 여자 아이, 남자 아이 그림과 한복 그림, 필요한 글씨를 뽑는다.
2) 색지에 여자 아이, 남자 아이를 붙이고 제목을 붙여준다.
3) 한복 그림을 오린 후 뒷 부부분에 한복 입는 순서와 명칭을 붙인다.
4) 색지에 여자 아이 한복 입는 순서와 남자 아이 한복 입는 순서를 숫자, 명칭,
화살표로 표시한다. (주의사항: 그 위에 한복을 올려놓았을 때 종이 밖으로 나가지
않게 맞춰본 후 붙인다.)
5) 코팅지에 오린 한복과 판을 넣어 붙인 후 코팅을 한다.
6) 코팅된 한복은 오리고 코팅된 판은 같은 색끼리 붙여 책 모양으로 만든다.
7) 한복과 여자 아이, 남자 아이에 까슬이와 보슬이를 붙여 순서대로 붙일 수 있게
한다.
활용방법
1) 한복에 대하여 알아본다.
-여자 한복과 남자 한복은 어떻게 다를까?
-여자 한복에 있는 것은 무엇일까?
-남자 한복에 있는 것은 무엇일까?
2) 한복 찾기 놀이를 한다.
-한복 이름(저고리, 치마, 바지, 버선 등)을 부르면 그림을 찾아보도록 하자.
-이 옷의 이름은 무엇일까?
3) 한복 부분 그림을 차례대로 붙이면서 옷 입히는 순서를 알아본다.
-무엇부터 입어야 할까?
-속치마 위에 무엇을 입을까?
-치마 위에 무엇을 입을까?
4) 유아들이 개별 또는 그룹으로 옷 입히기 활동을 해 보도록 한다.
5) 과학 영역
주제
우리나라
소주제
우리나라의 역사
활동명
해시계 만들기
활동영역
과학 영역
교육목표
ㆍ해시계의 원리를 안다.
ㆍ해시계를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경험을 한다.
교육과정 관련요소
ㆍ탐구 생활: 과학적 기초 능력 기르기- 물체와 물질에 대하여 알아보기
ㆍ탐구 생활: 수학적 기초 능력 기르기- 기초적인 측정 해보기
교재 제작 재료
해시계 그림모형, 해시계 사진, 마분지, 핀, 수수깡, 풀, 칼, 가위
교재 제작 방법
1) 컴퓨터로 해시계 사진과 동, 서, 남, 북이 적힌 동그라미 모양을 프린트 한다.
2)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판을 해시계 그림 위에 적은 후 마분지에 붙이고 모양
대로 오린다.
3) 해시계 중간에 수수깡을 핀으로 꽂는다.
4) 해시계 사진 자료는 코팅하여 과학영역에 붙여준다.
활용방법
1) 장영실에 대한 그림책을 보고 이야기를 나눈다.
-시계가 없는 옛날에는 시간을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장영실은 어떤 발명품을 만들었나요?
2) 해시계에 대하여 알아본다.
-해시계를 본 적이 있나요?
-해시계를 이용하여 어떻게 시간을 알 수 있었을까요?
-시간이 지나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3) 해시계를 만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어떤 방법으로 해시계를 만들 수 있을까요?
-해시계 그림 모형 위에 수수깡을 어디쯤 꽂으면 될까요?
4) 유아들이 만든 해시계를 이용하여 직접 시간을 관측한다.
-시간에 따라 그림자가 어떻게 변하는지 예측해 본다.
-유아들이 정한 시간대별로 그림자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관찰하고 옮겨 간
위치에 스티커를 붙인다.
5) 해시계를 이용해 시간을 재어본 경험을 평가한다.
-우리가 만든 해시계로 시간을 알 수 있었나요?
-우리가 생각했던 것처럼 그림자가 움직였나요?
-우리가 만든 해시계로 시간을 재어 보니 어땠나요?
Ⅲ. 結 論
교재 교구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으나 교육현장에서는 제작보다는 시중에 판매하는 교재 교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다 보면 아이들에게 제공하는 교재 교구의 내용이 한계가 있고, 주제에 맞추기 어려운 실정이다.
교재 교구를 제작하려면 정상 근무 시간을 넘어 야근을 해야 하고, 여러 행사에 힘들다는 핑계로 미루고 미루다 보니 시중에 판매하는 교재 교구나 컴퓨터를 많이 이용하는 편이었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서 유아에게 교재 교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고, 유아 교사의 역할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뀔 수 있게 인도해주어 감사 한다.
※ 參考文獻
교육과학기술부, 「우리나라」, 두산, 2009
김나경, 유경숙, 이현경, 정남미,「교과ㆍ교제 연구 및 지도법」, 정민사, 2006
김정규, 이광자, 조정숙,「교과교제 연구 및 지도법」, 정민사, 2007
이현욱, 「교과교제 연구 및 지도법」, 공동체, 2009
소주제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
활동명
집 이름을 짝지어 주세요.
활동영역
언어 영역
교육목표
ㆍ전통 가옥의 이름을 읽고 말한다.
ㆍ우리나라 전통 가옥의 종류와 이름에 관심을 가진다.
교육과정 관련요소
ㆍ언어 생활: 말하기- 낱말과 문장으로 말하기
ㆍ언어 생활: 읽기- 읽기에 관심 가지기
ㆍ사회 생활: 사회 현상에 관심 가지기- 우리나라와 우리 전통문화에 관심 가지기
교재 제작 재료
우드락, 칼, 전통 가옥 사진자료, 전통 가옥 이름, 풀, 시트지, 커터기
교재 제작 방법
1) 컴퓨터로 전통 가옥 사진자료와 전통 가옥 이름을 편집한다.
2) 커터기로 프린트된 종이를 자른다.
3) 우드락을 직사각형 5조각으로 자른다.
4) 전통 가옥 사진 자료와 전통 가옥 이름을 우드락에 붙인다.
5) 전통 가옥 사진과 전통 가옥 이름을 모양내어 자른 후 씨트지를 붙인다.
6) 시트지 붙인 옆 부분을 마무리 한다.
활용방법
<도입> 1) 전통 가옥 그림을 보며 이야기를 나눈다.
-이런 집을 본적이 있나요?
-이 집의 이름은 무엇일까?
2) 퍼즐을 맞추는 방법을 알아본다.
- 이것과 짝이 되는 것은 무엇일까?
<전개> 3) 퍼즐을 보고 그림 카드와 글자 카드를 맞추어 본다.
<종결> 4) 한 유아가 그림 카드를 보고 수수께끼를 내면, 다른 유아는 글자
카드를 찾는다.
-이것은 짚으로 만든 집이야, 무엇일까?
4) 조작 놀이 영역
주제
우리나라
소주제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
활동명
한복 입히기
활동영역
조작 놀이 영역
교육목표
ㆍ한복을 입는 방법을 안다.
ㆍ한복 그림 카드와 이름을 짝지어 본다.
교육과정 관련요소
ㆍ사회 생활: 사회 현상에 관심 가지기- 우리나라와 우리 전통문화에 관심 가지기
ㆍ언어 생활: 읽기- 읽기에 관심 가지기
ㆍ사회 생활: 이웃과 더불어 생활하기- 예절 바르게 생활하기
교재 제작 재료
기본판(여자 아이와 남자 아이 그림판), 한복 그림, 색지, 까슬이, 보슬이, 가위, 풀,
코팅지
교재 제작 방법
1) 여자 아이, 남자 아이 그림과 한복 그림, 필요한 글씨를 뽑는다.
2) 색지에 여자 아이, 남자 아이를 붙이고 제목을 붙여준다.
3) 한복 그림을 오린 후 뒷 부부분에 한복 입는 순서와 명칭을 붙인다.
4) 색지에 여자 아이 한복 입는 순서와 남자 아이 한복 입는 순서를 숫자, 명칭,
화살표로 표시한다. (주의사항: 그 위에 한복을 올려놓았을 때 종이 밖으로 나가지
않게 맞춰본 후 붙인다.)
5) 코팅지에 오린 한복과 판을 넣어 붙인 후 코팅을 한다.
6) 코팅된 한복은 오리고 코팅된 판은 같은 색끼리 붙여 책 모양으로 만든다.
7) 한복과 여자 아이, 남자 아이에 까슬이와 보슬이를 붙여 순서대로 붙일 수 있게
한다.
활용방법
1) 한복에 대하여 알아본다.
-여자 한복과 남자 한복은 어떻게 다를까?
-여자 한복에 있는 것은 무엇일까?
-남자 한복에 있는 것은 무엇일까?
2) 한복 찾기 놀이를 한다.
-한복 이름(저고리, 치마, 바지, 버선 등)을 부르면 그림을 찾아보도록 하자.
-이 옷의 이름은 무엇일까?
3) 한복 부분 그림을 차례대로 붙이면서 옷 입히는 순서를 알아본다.
-무엇부터 입어야 할까?
-속치마 위에 무엇을 입을까?
-치마 위에 무엇을 입을까?
4) 유아들이 개별 또는 그룹으로 옷 입히기 활동을 해 보도록 한다.
5) 과학 영역
주제
우리나라
소주제
우리나라의 역사
활동명
해시계 만들기
활동영역
과학 영역
교육목표
ㆍ해시계의 원리를 안다.
ㆍ해시계를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경험을 한다.
교육과정 관련요소
ㆍ탐구 생활: 과학적 기초 능력 기르기- 물체와 물질에 대하여 알아보기
ㆍ탐구 생활: 수학적 기초 능력 기르기- 기초적인 측정 해보기
교재 제작 재료
해시계 그림모형, 해시계 사진, 마분지, 핀, 수수깡, 풀, 칼, 가위
교재 제작 방법
1) 컴퓨터로 해시계 사진과 동, 서, 남, 북이 적힌 동그라미 모양을 프린트 한다.
2)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판을 해시계 그림 위에 적은 후 마분지에 붙이고 모양
대로 오린다.
3) 해시계 중간에 수수깡을 핀으로 꽂는다.
4) 해시계 사진 자료는 코팅하여 과학영역에 붙여준다.
활용방법
1) 장영실에 대한 그림책을 보고 이야기를 나눈다.
-시계가 없는 옛날에는 시간을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장영실은 어떤 발명품을 만들었나요?
2) 해시계에 대하여 알아본다.
-해시계를 본 적이 있나요?
-해시계를 이용하여 어떻게 시간을 알 수 있었을까요?
-시간이 지나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3) 해시계를 만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어떤 방법으로 해시계를 만들 수 있을까요?
-해시계 그림 모형 위에 수수깡을 어디쯤 꽂으면 될까요?
4) 유아들이 만든 해시계를 이용하여 직접 시간을 관측한다.
-시간에 따라 그림자가 어떻게 변하는지 예측해 본다.
-유아들이 정한 시간대별로 그림자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관찰하고 옮겨 간
위치에 스티커를 붙인다.
5) 해시계를 이용해 시간을 재어본 경험을 평가한다.
-우리가 만든 해시계로 시간을 알 수 있었나요?
-우리가 생각했던 것처럼 그림자가 움직였나요?
-우리가 만든 해시계로 시간을 재어 보니 어땠나요?
Ⅲ. 結 論
교재 교구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으나 교육현장에서는 제작보다는 시중에 판매하는 교재 교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다 보면 아이들에게 제공하는 교재 교구의 내용이 한계가 있고, 주제에 맞추기 어려운 실정이다.
교재 교구를 제작하려면 정상 근무 시간을 넘어 야근을 해야 하고, 여러 행사에 힘들다는 핑계로 미루고 미루다 보니 시중에 판매하는 교재 교구나 컴퓨터를 많이 이용하는 편이었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서 유아에게 교재 교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고, 유아 교사의 역할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뀔 수 있게 인도해주어 감사 한다.
※ 參考文獻
교육과학기술부, 「우리나라」, 두산, 2009
김나경, 유경숙, 이현경, 정남미,「교과ㆍ교제 연구 및 지도법」, 정민사, 2006
김정규, 이광자, 조정숙,「교과교제 연구 및 지도법」, 정민사, 2007
이현욱, 「교과교제 연구 및 지도법」, 공동체, 2009
추천자료
범교과적 쓰기 지도에 관한 연구
초등 교육 수업 개선사례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 활용 방안 및 문장제 지도
교과교육론 실습 학습지도안 및 PPT
[직장내 성희롱][직장내 성희롱 방지대책]직장내 성희롱 방지대책과 대처방안 및 근절을 위한...
교직 이수 교재 연구 강의법
[문서실무 교과] 정보윤리 학습지도안 (연구수업시 제출하는 양식)
[미술교과평가]미술과교육평가(미술교육평가)의 개념과 역할, 미술과교육평가(미술교육평가)...
가정관리학연구법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산업디자인과 3학년) <학습지도안> Ⅲ. 색의 효과 1. 색의 시지각적 효과 3.색의 대비 - 참여...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법> 사회복지법의 기본원리 및 특성 - 사회복지법의 개념과 지도 ...
2014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6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가정관리학연구법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