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교류에 대하여-<흑사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명의 교류에 대하여-<흑사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Ⅰ. 흑사병이란?
1. 흑사병의 의미
2. 흑사병의 증상
3. 흑사병의 전염 속도
4. 흑사병의 시작과 발생 경로

Ⅱ. 흑사병이 가져온 피해와 변화
1. 14세기 당시의 상황
2. 사회적·경제적·문화적 변화
3. 종교적 변화

Ⅲ. 유럽 대륙에서 전 세계로 전염된 흑사병
1. 아시아
2. 중동
3. 계속되는 재발

⦁참고문헌
⦁비평

본문내용

이 후 흑해 연안의 여러 항구 도시를 중심으로 흑사병이 창궐하였다. 1348년이 되자 흑사병은 가자,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으로 확산되었다. 1348년~1349년 동안 흑사병은 안티옥까지 번져 나갔다. 당시 안티옥은 염료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이 때문에 중동의 여러 나라가 흑사병 확산 목록에 추가되었다. 메카 역시 1349년 흑사병이 퍼졌으며 같은 해에 모술에서도 발생하였다. 1351년 이집트를 방문하고 돌아온 예멘 국왕 일행은 흑사병에 걸려 있었으며 이로 인해 예멘에도 흑사병이 번졌다.
3. 계속되는 재발
14세기부터 17세기 까지 유럽과 지중해 연안에서는 흑사병이 지속적으로 창궐하여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14세기 동안 영국에서는 여러 차례의 흑사병 창궐로 인해 적게는 4백만 명에서 많게는 7백만 명으로 추산되는 인구가 희생되었다. 영국의 흑사병은 17세기 까지 지속되었다. 이 중 널리 알려진 전염은 런던 대 흑사병(1665년1666년), 베니스 대 흑사병(1679), 이탈리아 흑사병 (1629년-1631년) 등이 있다. 계속되는 흑사병의 재발 원인 중의 하나로는 30년 전쟁 당시 군대의 잦은 이동이 지목되기도 한다. 흑사병은 18세기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재발하였는데 1738년 대 흑사병은 튀니지의 상선에 의해 전파되어 아드리아 해와 우크라이나로 번져 나갔다. 이로 인해 루마니아의 티미쇼아라는 궤멸적인 타격을 입었다.
1940년에는 중국 동북부의 농안과 장춘에서 흑사병이 발생하여 731 부대의 연구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흑사병(The Black Death)」/ 필립 지글러 지음 ; 한은경 옮김
한길사, 2003
*「여행과 질병의 3천년사」/ 하마다 아쓰오(濱田篤郞) 지음; 김돈하 옮김
심산, 2004
* 「전염병과 인류의 역사」/ 윌리엄 H. 맥닐 지음; 허정 옮김
한울, 2003
 
비평
전공은 사학이지만 아직 1학년이고, 서양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탐구해 본 적이 없었는데 이번 보고서를 준비하면서 조금이나마 서양사, 특히 중세의 사회·경제·문화에 대해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문명의 교류에 대한 주제를 정할 때 단지 전염병이 왠지 대륙 간의 이동을 설명하기에 쉬울 것 같다는 생각에 흑사병을 선택했는데, 막상 참고문헌과 여러 자료를 찾아보니 흑사병이 쉬운 주제가 아님을 알게 되었다. 흑사병으로 인해 중세 유럽과 아시아는 시대적 전환을 맞게 되었고 전 세계 인구에도 변화를 주게 되었다.
보고서를 쓰기 위해 인터넷에서 흑사병에 관한 자료를 찾고 책을 읽으며 필요한 내용을 습득하면서 그 동안 갖고 있던 내 지식이 얼마나 짧은 것이었는지도 알게 되었다. 단지 골치 아픈 전염병의 일종이라고만 생각했던 나를 사학도로서 다시 돌아보게 되었고, 무엇보다 이 보고서를 준비하며 그동안 몰랐었던 많은 역사적 진실과 그 당시 세계를 알게 되어서 좋았던 것 같다. 전공이 아닌 교양 수업으로 들은 세계문화사 이지만 내 전공을 위해 선택한 교양 수업이니만큼 이런 역사학적 공부를 위해서라도 좀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다짐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0.26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63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