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방어기전
1) 방어기전의 3단계 과정
(1) 시체 혹은 표면 경계(비특이적)
(2) 염증(비특이적)
(3) 면역반응(특이적)
2. 염증
3. 염증과정
4. 만성 염증
5. 염증성 삼출액
6. 염증병소
1) 농양
2) 궤양
3) 연조직염
7. 조직 재생과 치유
1) 조직재생
(1) 재생
(2) 섬유성 결합조직 재생(반흔 형성)
2) 조직 치유
(1) 일차 융합
(2) 이차 융합
3) 상처 치유의 지연
4) 상처 치유의 합병증
8. 감염
1) 감염의 빈도와 유형
(1) 세균
(2) 바이러스
(3) 진균류
(4) 리켓치아
(5) 원충류
(6) 기생충
2) 감염검사
1) 방어기전의 3단계 과정
(1) 시체 혹은 표면 경계(비특이적)
(2) 염증(비특이적)
(3) 면역반응(특이적)
2. 염증
3. 염증과정
4. 만성 염증
5. 염증성 삼출액
6. 염증병소
1) 농양
2) 궤양
3) 연조직염
7. 조직 재생과 치유
1) 조직재생
(1) 재생
(2) 섬유성 결합조직 재생(반흔 형성)
2) 조직 치유
(1) 일차 융합
(2) 이차 융합
3) 상처 치유의 지연
4) 상처 치유의 합병증
8. 감염
1) 감염의 빈도와 유형
(1) 세균
(2) 바이러스
(3) 진균류
(4) 리켓치아
(5) 원충류
(6) 기생충
2) 감염검사
본문내용
감염과 같은 피부 진균류 감염은 일반적이다. 칸디다증은 장기간 항생제 치료를 하는 사람과 당뇨가 있는 사람처럼 면역계가 약화된 사람에게 잘 일어난다. 칸디다증은 장기간 항생제 치료를 하는 사람에게 잘 일어난다. 칸디다증은 피부와 점막의 표층감염이고 피부의 습기가 존재할 수 있는 접혀진 부위 즉, 입, 질강, 생식기 부위에 주로 나타난다.
또 다른 진균류 감염은 히스토플라스마와 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이 있다. 이러한 감염은 특정 지리학적 위체에 나타나는 것이 보편적이며 일반적인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흔하지 않다. 진균류 감염은 항진균약물과 항생제로 치료될 수 있지만, 종종 치료하기 어렵고 장기간 치료를 요하는 경우도 있다.
(4) 리켓치아
리켓치아는 현미경적 유기체로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단계라 할 수 있다. 리켓치아는 바이러스처럼 반드시 숙주 세포에서만 생존이 가능하다. 리켓치아는 벼룩, 빈드기, 이에 의해 전파되고 인체의 치명적인 감염을 초래할 수 있다. 가장 흔한 리켓치아 감염은 록키산 홍반열이다.
(5) 원충류
원충류는 동물의 왕국에서 단세포이면서 매우 소수의 구성원이다. 토양에서 발견되고 죽은 사체 혹은 부패하는 물질에서 생존한다. 감염은 포자를 섭취하거나 감염된 곤충에 물려서 일어난다.
말라리아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원충류 감염이지만, 미국지역에서는 일반적인 질병이 아니다.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원충류는 숙주의 적혈구에 살면서 적혈구를 파괴한다. 말라리아는 모기에 의해 전파된다.
(6) 기생충
기생충은 둥글거나 편평한 벌레이다. 기생충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흔하지만, 미국지역 만큼 흔하지는 않다. 요충과 촌충은 가장 흔한 기생충이다. 요충은 항문 가려움증을 일으키지만 심각한 질병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총충은 인체의 장 질환을 일으키며, 날것을 먹거나 잘 조리되지 않은 육류를 먹음으로써 발생된다.
2) 감염검사
감염 증상은 열, 빈맥, 불쾌감이다. 종종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증가증을 보이거나 백혈구 수치가 증가함을 보인다. 패혈증이 있는 사람에서 채취한 혈액은 그 혈액 속에 병원체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세균 배양은 메체라고 하는 젤과 같은 물질에서 병원체 세포를 자라게 하는 과정이다. 병원체 미생물은 이 매체를 먹이로 사용한다.
배양은 병소 혹은 상처에 있는 유기체에 대한 가장 명확한 검사이다. 배양은 세균을 규명하는데 흔하게 사용되지만 진균 감염을 규명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배양은 병원체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병원체 규명 후, 감수성 검사가 필요한 치료 종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것에 대한 연합 검사를 배양과 감수성 검사라고 한다.
특수한 항원-항체 반응 검사는 병원체의 존재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혈성 인후염을 빨리 진단하는 것은 인후 표본에 있는 항원의 존재를 검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세균, 리켓치아, 일부 다른 병원성 감염은 혈청검사로도 확인 가능하다. 혈청검사는 병원체에 대항하는 상체를 검사하기 위해 개인의 혈액 속 혈청을 사용한다.
피부 검사 또한 병원체에 노출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항체 존재를 사용한다. 결핵 피부 검사는 가장 흔한 피부 검사 중 하나이다.
양성 피부 검사와 혈청검사는 최근의 감염 혹은 감염 정도를 가리키지는 않는다. 단지 개체의 병원체에 대한 폭로 여부와 항체 생성 유무를 나타낼 뿐이다. 이러한 검사들은 병원체 감염을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많은 실험실 검사 중 일부일 뿐이다.
@ 참고문헌
알기 쉬운 병리학 / 저자 : Marianne Neighbor & Ruth Tannehill-Jones / 역자 : 감경윤 외 19인
/ 메디컬 코리아(서울 마포구) / 2007년
또 다른 진균류 감염은 히스토플라스마와 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이 있다. 이러한 감염은 특정 지리학적 위체에 나타나는 것이 보편적이며 일반적인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흔하지 않다. 진균류 감염은 항진균약물과 항생제로 치료될 수 있지만, 종종 치료하기 어렵고 장기간 치료를 요하는 경우도 있다.
(4) 리켓치아
리켓치아는 현미경적 유기체로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단계라 할 수 있다. 리켓치아는 바이러스처럼 반드시 숙주 세포에서만 생존이 가능하다. 리켓치아는 벼룩, 빈드기, 이에 의해 전파되고 인체의 치명적인 감염을 초래할 수 있다. 가장 흔한 리켓치아 감염은 록키산 홍반열이다.
(5) 원충류
원충류는 동물의 왕국에서 단세포이면서 매우 소수의 구성원이다. 토양에서 발견되고 죽은 사체 혹은 부패하는 물질에서 생존한다. 감염은 포자를 섭취하거나 감염된 곤충에 물려서 일어난다.
말라리아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원충류 감염이지만, 미국지역에서는 일반적인 질병이 아니다.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원충류는 숙주의 적혈구에 살면서 적혈구를 파괴한다. 말라리아는 모기에 의해 전파된다.
(6) 기생충
기생충은 둥글거나 편평한 벌레이다. 기생충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흔하지만, 미국지역 만큼 흔하지는 않다. 요충과 촌충은 가장 흔한 기생충이다. 요충은 항문 가려움증을 일으키지만 심각한 질병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총충은 인체의 장 질환을 일으키며, 날것을 먹거나 잘 조리되지 않은 육류를 먹음으로써 발생된다.
2) 감염검사
감염 증상은 열, 빈맥, 불쾌감이다. 종종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증가증을 보이거나 백혈구 수치가 증가함을 보인다. 패혈증이 있는 사람에서 채취한 혈액은 그 혈액 속에 병원체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세균 배양은 메체라고 하는 젤과 같은 물질에서 병원체 세포를 자라게 하는 과정이다. 병원체 미생물은 이 매체를 먹이로 사용한다.
배양은 병소 혹은 상처에 있는 유기체에 대한 가장 명확한 검사이다. 배양은 세균을 규명하는데 흔하게 사용되지만 진균 감염을 규명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배양은 병원체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병원체 규명 후, 감수성 검사가 필요한 치료 종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것에 대한 연합 검사를 배양과 감수성 검사라고 한다.
특수한 항원-항체 반응 검사는 병원체의 존재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혈성 인후염을 빨리 진단하는 것은 인후 표본에 있는 항원의 존재를 검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세균, 리켓치아, 일부 다른 병원성 감염은 혈청검사로도 확인 가능하다. 혈청검사는 병원체에 대항하는 상체를 검사하기 위해 개인의 혈액 속 혈청을 사용한다.
피부 검사 또한 병원체에 노출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항체 존재를 사용한다. 결핵 피부 검사는 가장 흔한 피부 검사 중 하나이다.
양성 피부 검사와 혈청검사는 최근의 감염 혹은 감염 정도를 가리키지는 않는다. 단지 개체의 병원체에 대한 폭로 여부와 항체 생성 유무를 나타낼 뿐이다. 이러한 검사들은 병원체 감염을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많은 실험실 검사 중 일부일 뿐이다.
@ 참고문헌
알기 쉬운 병리학 / 저자 : Marianne Neighbor & Ruth Tannehill-Jones / 역자 : 감경윤 외 19인
/ 메디컬 코리아(서울 마포구) / 2007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