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제품 및 건축물의 설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친환경 제품 및 건축물의 설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환경규제의 유형

환경규제의 종류

친환경적 설계 방법 및 사례 검토

저탄소 녹색마을

본문내용

따뜻하고 실내가 밝다. 건물의 남쪽은 가정집으로, 햇볕이 들지 않는 북쪽은 퇴근 후면 공간을 이용하지 않는 사무실로 설계했다. 300㎜ 단열재를 두툼하게 넣은 건물 벽은 두께가 50㎝ 가까이 되며 바깥 창은 3중창으로 달아 열손실을 최소화했다.닭볏 모양 환풍기는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열교환기를 부착한 환풍기를 통해 바깥의 찬 공기는 실내 더운 공기와 섞이면서 따뜻해져 다른 에너지원 없이도 난방 효과를 낸다.
주택의 지붕은 태양열 집열판과 잔디로 이뤄져 있는데, 비 오는 날이면 지붕 위 잔디가 빗물을 흡수하고 지하 물탱크로 보내 정화한다. 이는 화장실과 정원에서 재활용된다.
80여 가구와 커뮤니티센터, 사무실 등이 입주한 베드제드는 가구당 연평균 2천579kWh의 전력을 사용한다. 이는 서튼 지역 전체 평균의 55% 수준이다. 도시가스 사용량은 서튼 평균보다 81% 적으며, 물 사용량은 하루 1인당 72ℓ로 서튼 평균의 절반에 불과하다.
주민들은 필요할 때 전기자동차를 빌려 사용한다. 이 차량은 지붕 위 태양열 집열판을 통해 얻은 전기에너지가 연료다. 신에너지 시설과 에너지 효율형 건축물 등이 세심하게 디자인된 베드제드의 경험을 배우려 매년 1만여 명이 방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막에 핀 꽃 ’마스다르’
최근 미래 에너지 녹색도시로 세계의 주목을 받는 또 다른 장소는 아랍에미리트(UAE)의 마스다르 시티(Masdar City)다. 아부다비 국제공항 동쪽 30㎞ 지점에 건설 중인 마스다르 시티는 온실가스, 쓰레기, 자동차가 없는 3무(無) 도시를 내세우고 있다. 지난해 2월 착공한 마스다르 시티는 여의도 면적의 4분의 3 크기인 6.5㎢이다. 태양열 발전과 풍력 발전 시스템을 통해 도시 내 전력을 충당하며 석유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운행은 허용하지 않는다. 대신 태양광 전기로 충전되는 캡슐형 무인 전동차 3천대가 교통수단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UAE 수도 아부다비 정부는 2016년까지 1천500개 기업이 입주하고 5만여 명이 거주하는 마스다르 시티를 완공할 예정이며 모두 220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마스다르시티의 3無(온실가스, 쓰레기, 자동차)도시 실현방안에너지 시내에서 쓰이는 모든 전력을 태양·풍력·수소에너지로 충당절약 재활용 공기순환방식 천연에어컨과 단열재 등으로 건물의 에너지 이용 효율화했다.
쓰레기 100% 재활용
-지하에 저장한 빗물로 녹지 조성교통자기부상열차, 전기 버스 상시 운행, 자동차 대신 PRT 운행
신·재생에너지 100% 사용
-마스다르에서는 전력의 약 97%를 태양광 또는 태양열로 조달할 계획이다.(시 전체가 에너지공장) 도시 내 모든 빌딩 위에 햇빛을 전기로 바꾸는 필름을 활용한 태양광전지(PV) 패널을 설치한다. 또한 거울 등으로 햇빛을 모아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열 발전(CSP) 시스템도 설치할 예정이다. 이렇게 생산하는 전기의 양은 연간 50만MWh 정도로 팔당수력발전소의 연간 발전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건물 곳곳에 높게 세워진 풍력터빈을 설치해 페르시아만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전기로 바꾼다. 생산된 전기는 도시 입주업체들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쓰이며 부족한 전력은 수소발전소를 이용해 보충할 계획이다. 결국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소가 따로 필요 없기 때문에 배출되는 온실가스량은 ‘0’이 된다.
뜨거운 모래바람을 식히는 천연에어컨
-마스다르에서는 온실가스 없는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적게 쓰고 재활용하는 데에도 초점을 두고 있다. 에너지 생산을 위해 건물에 설치한 태양열 전지판과 풍력터빈도 그러한 역할을 한다. 옥상에 있는 태양열 전지판은 단열 기능이 있어 사막의 뜨거운 햇볕을 막아준다. 도시 외곽에는 단층가옥 2~3개를 합친 크기의 대형 태양열 전지판이 빼곡하게 들어서 사막에서 불어오는 뜨거운 바람을 막아준다.
마스다르의 풍력터빈은 프로펠러만 달린 일반 터빈과 달리 ‘천연 에어컨’ 역할도 한다. 페르시아만에서 불어온 뜨거운 바람은 송풍기처럼 생긴 풍력터빈을 거쳐 긴 관을 통해 지하로 이동한다. 이 바람은 지하에 저장된 물과 접촉해 온도가 낮아진다. 다시 관을 타고 올라온 시원한 바람은 건물로 유입돼 실내온도를 낮추게 된다. 지하에 저장돼있는 물은 연중 10여일에 불과한 우기에 모아둔 것으로 녹지를 조성하는 데에도 사용한다.
건물의 유리역시 태양열을 차단하고 자연광만 통과시키는 특수재질로 사용한다.
냉방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건물 높이는 10층 이내로 낮게 제한한다. 한편, 물은 바닷물을 끌어와 담수화시켜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전기도 모두 태양광으로 발전하게 된다. 한번 사용한 물은 모두 재처리돼 도심 조경이나 곡물 재배에 사용된다. 이 때문에 비슷한 규모의 도시에 비해 물 사용량은 절반으로 줄어들 것이다.
저탄소 녹색 시범 도시 ’강릉’
우리 정부도 지난해 7월 강원도 강릉을 국내 최초의 ’저탄소 녹색 시범 도시’로 선정하고 강릉 경포 지역을 세계적인 관광 녹색도시로 조성하기 위한 사업의 첫발을 뗐다.
정부는 2016년까지 경포 지역 1천754만 5천㎡를 생태복원지구와 전통문화지구, 녹색농업지구, 저탄소 비즈니스 지구 등으로 나눠 조성할 계획이다. 경포호의 수질을 개선하고 호 주변을 원래 습지로 복원하는 사업이 지난 2월 가장 먼저 시작됐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경포호 주변 25만 2천㎡가 친수 녹지공간으로 확보된다. 경포 습지는 전체면적의 60% 이상이 사람의 간섭 없는 핵심지역으로 조성돼 학술·연구 목적 외에는 사람의 간섭이 없도록 차폐 수림이 조성된다. 또 지역적인 특징을 살려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상류주택인 선교장과 허균 생가, 한옥마을 등을 정비해 관광도시의 면모도 갖출 예정이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는 현재 강릉시 청사 주차장에 50㎾급 태양광발전소가 지어져 연간 6만 3천㎾의 에너지를 생산해 공급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홍제정수장 소수력 발전시설과 태양열 급탕시설,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이 설치될 계획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in
네이버 백과사전
조선뉴스 조선닷컴
국토해양부
KONETIC-국가환경정보센터
국제환경규제기업지원센터
해피캠퍼스
국회도서관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11.01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7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