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몇 명이나 있을까. 학창시절에 한반에 학생수가 40명인데 그중에서도 서로 생각이 달라 40명이 또 쪼개져 자신들만의 작은 그룹을 형성한다. 그럼 4천만은 더 할 말도 없다. 모두 생각이 다르며 누군가는 현 정부에 불만이 있는 반면 누군가는 현 정부에 대해 큰 호감을 가지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결국 사람들의 수가 많을수록 생각은 분산되기 마련이며 그들의 생각은 하나로 일치할 수 없기에 그 생각의 차이를 조금이나마 가깝게 해주는 것이 정부가 할 일이다. 그러므로 이런 것들을 위해서라도 국가란 꼭 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민주주의에서는 다수결의 원칙을 따른다고 한다. 많은 사람이 찬성한 의견은 현실로 실행되며 보다 적은 사람이 찬성한 의견은 무시된다. 그럼 이때 의견이 무시된 사람들은 그냥 내버려두면 되는 것일까? 세월이 흐를수록 모든 것이 더 진화하고 발전 하듯이 민주주의란 개념도 더욱 더 발전하여 소외되는 사람 없이, 설령 소외가 된다 하더라도 그들을 내버려 두지 않고 국민 하나하나를 살펴주는 시대에 앞서가는 국가로 발전할 때 광주민주화운동과 같은 불상사는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참고문헌:없음
(국가의 필요성, 바람직한 정부와 민주주의)
*참고문헌:없음
(국가의 필요성, 바람직한 정부와 민주주의)
추천자료
국악감상문
(영화감상문) 시민 케인
[영화감상문]현대인의 “외계인”은 무엇인가? : 우주전쟁을 통해본 ‘이질성’의 원인
[영화감상문]샤크
토탈리콜 감상문
[감상문] 화씨 9 / 11 과 볼링 포 콜롬바인을 보고
[영화감상문] 라쇼몽을 통해 본 이야기의 재창조 가능성
음악회 감상문(Type2)
푸른혼 감상문
세계화의 덫-독서감상문입니다!
[영화감상문]디어 평양을 보고나서
[영화감상문] 국제 문화와 영화 - 영화 ‘마지막 황제(The Last Emperor)’을 보고
영화감상문 - 자백 (최승호 감독) (제목 : 정의가 사라진 나라) (사회과학 영화감상 레포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