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구][품사]국어 품사 명사구의 유형, 국어 품사 명사구의 구조, 국어 품사 수량명사구, 국어 품사 접속명사구, 국어 품사 속격명사구, 국어 품사 그림명사구, 중국어 품사 명사구, 중국어 품사 수량명사구 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사구][품사]국어 품사 명사구의 유형, 국어 품사 명사구의 구조, 국어 품사 수량명사구, 국어 품사 접속명사구, 국어 품사 속격명사구, 국어 품사 그림명사구, 중국어 품사 명사구, 중국어 품사 수량명사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품사 명사구의 유형
1. 단순 명사구
2. 속격 명사구
3. 접속 명사구

Ⅱ. 국어 품사 명사구의 구조
1. 문장과 명사구의 구조
2. 국어 명사구의 이중 구조 설정

Ⅲ. 국어 품사 수량명사구
1. 수량 명사 구문의 문법 범주
2. 수량 명사 구문의 통사 구조
1) ‘명사 + {수량사 + (분류사)}’ 구문
2) ‘{수량사 + (분류사)} + {-의} + 명사’ 구문

Ⅳ. 국어 품사 접속명사구

Ⅴ. 국어 품사 속격명사구
1. 내포적 논항 관계
2. 핵 이동과 명시소
3. 첨가 관계와 부가어

Ⅵ. 국어 품사 그림명사구
1. 통사적 접근 : 재구성 분석(Reanalysis)
2. 화용적 접근 : 화제(Topic) vs. 평언(Comments)

Ⅶ. 중국어 품사 명사구
1. 『到-명사구-{來/去}』의 분석
2. 『VP-{來/去}』의 화용론적인 특성

Ⅷ. 중국어 품사 수량명사구
1. 범위부사와 수량명사구의 한정성
2. 양상요소와 수량명사구의 한정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eference)기능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에 비해 Chu(1979:fn.10)는 ‘都’가 대용어적 대명사(anaphoric pronoun)로서 선행하는 명사구를 지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우리는 특히 Chu의 제안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은 안을 조심스럽게 제시하고자 한다. 즉 대용어로 기능하는 ‘都’는 자체적으로 고유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 않으며 그 의미는 선행사에 의해 채워진다. 이때 ‘都’에 채워진 의미는 선행사를 지시하며 그것은 명확히 한정적이다. 왜냐하면 이미 선행하고 있는, 즉 이미 존재하고 있는 대상을 지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都’가 지닌 한정적 해석이 다시 선행사에 전달되면서 선행사에 한정적 해석을 부여하게 된다.
부사 ‘都’가 선행하는 비한정적 명사구에 해석을 부여한다는 사실은 Li(1987)에 의해서도 지지받을 수 있다. 다음 예문을 보자.
(3) a. 他三年都來了.
‘He has been coming these three years’
b. 他三年來了.
(4) 他來了三年了.
‘He has been here for three years’
그녀의 직관에 의하면 (3a)가 문법적인 문장이 되기 위해서는 ‘都’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때 ‘三年’은 한정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4)의 동사 뒤에 위치한 ‘三年’은 비한정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한 그녀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즉 동사 앞에 위치한 비한정적 명사구는 동사에 의해서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都’가 있음으로 해서 출현이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문장에 ‘都’가 출현하게 되면 지속을 나타내는 비한정 명사구는 더 이상 비한정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선행 성분을 총괄하는 역할을 하는 부사 ‘都’가 수량 명사구에 한정적 해석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都’에 의해 출현이 가능해진 지속을 나타내는 수량 명사구는 한정적 해석을 획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는 문두의 수량 명사구뿐만 아니라 의문사명사구, 명사/양사 중첩 명사구, “把”- 명사구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를 설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다음 예문을 보자.
(5)a. 他們什me都吃.
‘그들은 무엇이든 먹는다’
b.*他們什me吃.
(6) a. 這個人誰都不信.
‘이 사람은 누구도 믿지 않는다’
b.*這個人誰不相信.
(7) a. 他管人人都叫老朋友.
‘그는 사람마다 모두 오랜 친구라고 부른다’
b.*他管人人叫老朋友.
(8) a. 我把十本書都看完了.
‘나는 책 열권을 다 보았다’
b.*我把十本書看完了.
이상의 예문의 문법성 판단으로 미루어 볼 때, ‘都’는 동사 앞에 출현한 지시대명사 “什me”, “誰”와, 역시 동사 앞에 출현한 중첩 명사구 “人人”, “把”- 명사구 “十本書”에 일관되게 한정적 해석을 부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제시문(presentative sentence)에서 비한정 명사구 “一個人”이 동사의 앞에 출현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9) a.*一個人來了.
b.*一個人都來了.
왜냐하면 비한정 명사구 “一個人”이 단수이므로 복수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都’와는 공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8)의 단수 명사구를 복수 명사구로 고친 다음 문장은 당연히 문법적이다.
2. 양상요소와 수량명사구의 한정성
양상 요소가 비한정 수량 명사구의 한정성 판단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살펴보자. Tzao(1977 :198)의 관찰에 의하면, 중국어에서 수량명사구는 비한정적이므로 문두의 위치에 출현하여 주제화될 수 없지만 그것이 총칭적인 의미를 지닐 경우에는 주제화가 가능하다고 한다. 다음 예문을 보자.
(10)*一個人hen自私.
(11) 一個人(a), 不應該太自私.
‘사람이란 너무 이기적이어서는 안돼’
그러나 그는 단지 사실만을 제시했을 뿐 비한정 명사구가 총칭적 해석을 받게 되는 경로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고 있다.
Chu(1979 : fn.6)는 수량 명사구가 종속절의 주어 위치에 출현했을 때 총칭적으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12)*一隻狗喜歡吃骨頭.
(13) 一隻狗生氣的時候, 最會咬人.
‘개가 화가 났을 때(그것은) 사람을 가장 잘 문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설명할 수 없다고 했다.
수량 명사구의 총칭적 해석에 대해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는 것은 Lee(1986 : 230)이다. 그는 단칭 수량 명사구가 총칭적인 것으로 해석되기 위해서는 문장에 양상 해석(modal interpretation)이 부여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다음 예문을 보자.
(14) a. 一個女人結了婚, 可能會想生孩子.
‘여자가 결혼하게 되면 (그녀는) 아마 아이를 낳고 싶어할 것이다’
b. 如果一個人中了彩票, 他會變得hen富裕.
‘누구나 복권에 당첨되면 그는 매우 부자가 될 것이다’
(15) 一個中醫能治好所有的風濕病.
‘훌륭한 한의사라면 모든 류머티즘을 고칠 수 있다’
문(14a)에서 수량 명사구가 주절에 있지 않고 종속절에 있다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심층구조에서 주절의 주어가 양상 조동사 “可能”의 지배를 받고 있으며, 그것이 종속절의 주어와 동지표되어(coindexed) 동일한 의미해석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14b)도 양상조동사 “會”의 지배를 받는 “他”와 “一個人”이 동일한 의미해석을 받고 있으므로 역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논의가 옳다면 위의 문(11), (12)도 동일한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이들 문장의 공통점은 모두가 문장 속에 양상요소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문두의 비한정적 수량명사구가 양상요소로부터 총칭적 해석을 부여받아 문두에 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병일(1992), 국어명사구의 내적구조, 우리말연구 2
- 송철의(1998), 문법연구와 자료, 이익섭선생 회갑기념 논총, 태학사
- 임홍빈(1974), 명사화의 의미특성에 대하여, 국어학 2
- 이재인(1989), ‘-이’ 명사의 형태론, 이정 정연찬선생 회갑기념논총, 탑출판사
- 이근효(1996), 현대 중국어 어법, 중문
- 최재희(1985), 국어 명사구 접속의 연구, 한글 188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0.11.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5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