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암매장, 강제삭발, 등 여러 문제들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시설에서의 인권침해 문제를 위한 대안으로는 수용시설의 자유로운 입소와 퇴소가 보장되어야 할 것이며 시설복지 중심에서 이제는 재가복지, 지역사회보호 위주로 전화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시설은 지역사회에 개방되어 그 지역사회가 공유하고 필요로 하는 시설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시설들은 관련 전문가들에 의해 운영되고 프로그램이나 서비스가 전문가에 의해 제공되고 수용인의 사회적 기능 향상을 위해 규모를 축소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시설의 사유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친족 등 특수관계인의 개입을 금지하고 그 비율을 제한하며 공익이사제도를 도입하고 시설장의 자경을 엄격하게 강화하여 시설민주화와 재정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의 사회복지 역사, 현황, 전망과 문제 및 개선방안 - 한국의 현대 사회복지, 사회복지 제...
한국의 사회복지발달사를 정리하고, 영국사회복지발달사가 주는 시사점을 통해 한국의 복지발...
[사회복지실천론] 서양의 현대적 복지 탄생배경과 영국, 미국, 한국의 사회복지 역사를 서술....
[경영][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한국도로공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경영, 한국도...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 역사적 접근의 중요성, 영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
[사회보장] 한국의 사회보장제도에 대하여 기술하고 자신의 한국의 사회복지에 대한 개인적 ...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의 역사 - 1.서구 사회복지의 역사 (빈민법,사회보험,복지국가의 ...
[복지국가론] 사회복지 민영화 논의 - 사회복지 민영화, 한국 사회복지의 민영화 현황, 사회...
한국의 사회복지발달사를 정리하고, 영국사회복지발달사가 주는 시사점을 통해 한국의 복지발...
[한국의 사회복지 역사] 한국 사회복지 발달사(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 발달과정)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사(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