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금융시스템 비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일 금융시스템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가. 연구배경 및 방법
나. 연구목적

2. 본론
가. 한국과 일본의 금융 시스템 비교
나. 90년대 후반의 아시아 외환위기
(1) 한국과 일본 금융위기의 원인
(2) 버블붕괴후 일본의 대응
(3) IMF 구제금융 당시 한국의 대응
(4) 90년대 후반 당시 한일 금융위기 결과 비교
다. 2008년 현재 글로벌 금융위기
(1) 서브프라임 쇼크와 세계 금융 위기 현황
(2) 서브프라임 쇼크와 일본 금융시장대응
(3) 서브프라임 쇼크와 한국 금융시장대응
라. 향후 국내 경제 및 금융 전망

3. 결론
가. 한일 금융시스템과 위기대응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나. 미국발 서브프라임 쇼크 위기인가? 기회인가?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래 은행들의 대기업개입은 적었다. 대신 한국 대기업은 정부와 비공식적 채널을 통해 금융혜택을 받았다. 둘째, 금융 시스템이 서구식 시스템으로 변함에 있어 일본이 오랜 시간동안 차근차근 변한 반면 한국은 단기에 너무 급격하게 바뀌었다. 일본이 비교적 자발적으로 금융재편을 이루었던 것에 비해 한국은 금융구조조정의 단계에서 정부의 주도로 반강제적으로 단기에 이루어 졌다. 따라서 이에따른 부작용이 매우 컸다. 셋째, 1990년대 금융위기의 원인이 다르다. 일본은 플라자 합의 이후 버블이 발생하였고 펀더멘털리스트들의 예상과 달리 장기간에 거품이 계속 커졌기 때문에 그 충격으로 금융위기가 발생하였다. 반면 한국은 외환위기 이전 정부의 방만한 재정정책 으로 인해 NFA가 고갈되고 국가 신용도가 낮아지면서 대규모 단기자본의 이탈로 인해 IMF의 구제금융을 신청하였다.
나. 미국발 서브프라임 쇼크 위기인가? 기회인가?
9월 위기설이 진정되는가 싶더니 이번에는 월가 쇼크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다.세계 5대 투자은행가운데 3위인 메릴린치가 뱅크오브아메리카로 넘어갔고 세계 4위 리먼브러더스는 파산 보호 신청을 했었다. 지난 3월 JP모건에 넘어간 베어스텐스까지 포함하면 이제 5대 투자은행중 3개회사는 역사속으로 사라지거나 주인이 바뀔 것이다. 여기에 미국 최대 보험사인 AIG는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RB)에 400억 달러의 긴급자금을 요청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금융부분에서 한일 양국의 위기 대처 방식이 너무나 상이하다는 것이다.
산업은행이 리먼브러더스 인수를 추진했다가 포기하였다. 정부 내부에서 신중론이 제기되 계약을 포기한 것이다. 그리고 정치권에서는 이 문제를 두고 정치 공방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리고 안도의 한숨을 쉬고 있는 분위기 이다. 반면에 일본의 상황은 우리와 정반대이다. 월가를 사들이는 금융 사무라이들이 위기속에서 기회를 잡고 있다. 막강 제조업에 밀려 언제나 2류에 머물렀던 일본 금융기업들이 엄청난 자금력을 앞세워 월가의 금융기관들을 사들이고 있다. 심지어 미국에 이어 유럽의 거대 금융 공룡들도 무너지는 사이, 일본은 계속 M&A대상을 물색하며 먹잇감을 찾고 있다고 한다.
이미 주사위는 던져졌다. 어느 쪽 판단이 옳은지는 시간이 지나고 역사가 말해줄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우리는 이미 결정된 판단에 따라 급박하게 돌아가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빠르게 적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여러 차례 크고 작은 여진이 기다릴 것이 분명하다. 또한 이번 금융위기는 예고된 것이었고 앞으로도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우리 모두 이미 알고 있다. 한국으로서는 불가항력적으로 피하기 어려운 부분도 분명히 있다. 하지만 지금은 정부가 중심을 잡고 각 경제 주체들이 하나가되어 똘똘 뭉쳐야 한다. 온 국민들에게 위기를 참고 견뎌내자고 호소할 수도 있다. 이미 IMF도 거뜬히 이겨낸 한국은 이번에도 또 한번 이 위기를 잘 극복해 내리라 의심치 않는다. 대학생으로서 우리가 매일 지겹도록 도서관에 앉아 공부하는 것, 강의실에서 교수님의 강의를 열심히 듣는 것, 매일 밤을 새며 시험준비를 하는 것, 봐도 잊어버리는 영어단어를 또 보는 것, 이렇게 친구들과 열심히 레포트를 쓰는 것 또한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나름의 스스로에 대한 호소이다.
4. 참고자료
진창수. {한국과 일본의 금융개혁}. 세종연구소, 2001
이요섭. {한국경제와 금융개혁}, 연암사, 2004
예금보험공사 금융분석부 1998-11 - 「최근 제정된 일본의 금융재생관련법 주요내용」
국제지역연구 제9권 제3호 2005-10-30 -「일본의 금융개혁과 4대(大) 은행의 경쟁력 분석」
내용발췌 - 금융감독위원회 http://www.fsc.go.kr/gd/gd0901/gd0901.jsp
삼성경제연구소, 2008-10-16 「2009년 세계 경제 및 국내 경제 전망」
P&C 정책개발원, 2008-10-10, 「이슈 분석 : 세계 금융위기의 흐름과 시사점」
매일경제신문 2000-09-22 「[공적자금 40조 추가 조성] 의미와 배경」
중앙일보, 2008-10-17, 「은행들 ‘BIS 비율 또 저승사자 될라’」
한겨레 2008-10-9 「금융 CEO들 “실물경제 위기 이미 진입했다”」
Soros, George. New paradigm for financial markets:위즈덤하우스., 2008.
인터넷 참고 사이트
http://www.seri.org/db/dbReptV.html?g_menu=02&s_menu=0201&pubkey=db19981103
http://www.seri.org/db/dbReptV.html?g_menu=02&s_menu=0201&pubkey=db19980209
http://www.seri.org/db/dbReptV.html?g_menu=02&s_menu=0202&pubkey=db19971203001
이상 세리 리포트
http://www.lgeri.com/economy/overseas/article.asp?grouping=01010200&seq=196
http://www.lgeri.com/publication/report/contents.asp?pyear=1998&ctype=g&grouping_seq=01040200_198
이상 LG경제연구소
http://hri.co.kr/
http://hri.co.kr/2008929132412[1].pdf
이상 현대경제 연구소
http://blog.naver.com/ndg4684?Redirect=Log&logNo=150027986561
http://cafe.naver.com/fp2015.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06
http://economy.hankooki.com/lpage/worldecono/200804/e2008040218112469760.htm
http://blog.naver.com/hiya1829?Redirect=Log&logNo=70035105500
http://blog.naver.com/loadspy?Redirect=Log&logNo=40055583795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11.16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9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