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용접 (welding)이란?
Ⅱ. 가스용접(gas welding)
Ⅲ. 산소아세틸렌용접 (oxy-acetylene welding)
Ⅳ. 아세틸렌의 위험성
Ⅴ. 아세틸렌 용기의 구조
Ⅵ. 용해 아세틸렌의 취급시 주의사항
Ⅶ. 산소용기의 취급시 주의사항
Ⅷ. 토오치 취급상의 주의사항
Ⅸ. 산소아세틸렌용접 불꽃의 종류
Ⅹ. 보호장구
Ⅺ. 방호장치 및 설치기준
Ⅻ. 재해유형과 예방대책
Ⅱ. 가스용접(gas welding)
Ⅲ. 산소아세틸렌용접 (oxy-acetylene welding)
Ⅳ. 아세틸렌의 위험성
Ⅴ. 아세틸렌 용기의 구조
Ⅵ. 용해 아세틸렌의 취급시 주의사항
Ⅶ. 산소용기의 취급시 주의사항
Ⅷ. 토오치 취급상의 주의사항
Ⅸ. 산소아세틸렌용접 불꽃의 종류
Ⅹ. 보호장구
Ⅺ. 방호장치 및 설치기준
Ⅻ. 재해유형과 예방대책
본문내용
잉 불꽃) : 산소의 양이 아세틸렌의 양보다 많은 불꽃인데 금속을 산화시키는 성질이 있으므로 구리, 황동 등의 용접에 사용된다.
Ⅹ. 보호장구
(1) 차광안경
- 가스 용접의 불꽃은 높은 온도를 내면서 강렬한 광선을 방사하기 때문에 그대로 장시간 광선을 보거나, 용융금속의 불티나 스패터 등이 눈에 들어가면 대단히 위험하다. 또한 처음 용접작업을 하는 사람은 특히 눈에 피로를 많이 느끼므로 눈을 깨끗한 물로 자주 씻어 주어야 하며, 만약 눈에 염증을 일으켰을 때는 응급 수단으로 냉습 수건을 하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용접작업시에는 반드시 보호안경(eye shield goggles)을 반드시 착용하고 작업을 해야 한다. (가스 용접의 차광도 번호는 5∼6 정도가 적당하다)
(2) 보호장갑
- 토오치에서 나오는 불꽃의 온도는 3,000℃이상이므로 모재를 용융할 때 토오치를 잡고 있는 팔이나 용접봉을 잡고 있는 손이 반사열을 받으므로 맨손으로는 작업하기가 곤란하다. 보호장갑은 일반적으로 손가락이 잘 움직일 수 있도록 연한 가죽제품의 것이 좋으며 무명 흰 장갑은 불에 약하고 비산물이 부착되면 타서 손에 화상을 입게 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보호 앞치마, 발덮개
- 작업복은 일반적으로 무명제품이거나 합성 섬유제품이기 때문에 적열(赤熱)된 비산물에 의하여 구멍이 뚫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피해를 일으키기 쉬운 부분은 몸의 전반신으로 보호앞치마를 착용하여야 한다. 또한 작업화는 안전화가 바람직하나 없을 때는 단화나 운동화도 상관없지만, 이때는 반드시 발덮개를 양 발에 끼워야 한다.
. 방호장치 및 설치기준
(1) 역화방지기
1) 역화
- 아세틸렌관로에서 아세틸렌의 정상흐름과 반대방향으로 화염이 전파되는 것
2) 역화방지기의 종류
① 건식역화방지기 : 화염이 아세틸렌 용기로 역류할 경우 체크밸브가 차단 작용
② 습식역화방지기 : 화염이 아세틸렌 용기로 역류할 경우 침수봉에 의하여 차단 및 밖으로 역류화염 배출
3) 역화방지기의 성능
① 당해가스에 침식 또는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재료일 것
② 소염소자는 당해 가스에 대하여 충분한 내식성을 가질 것
③ 역화방지기의 구조는 소염소자, 역화방지장치 및 방출장치를 구비 할 것
④ 방출장치는 작동압력이 3이상, 4이하에서 작동될 것
⑤ 소염소자는 금망, 소결금속, 스틸올, 다공성 금속물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소염성능을 갖는 것일 것
⑥ 역화방지기는 역화를 방지한 후 복원이 되어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일 것
. 재해유형과 예방대책
구 분
주요 발생 원인
대 책
화 재
절단 불꽃 비산
1. 불꽃받이나 방염시트 사용
2. 불꽃 비산 구역 내 가연물의 제거 및 청소
3. 소화기 비치
열을 받은 용접부분의 뒷면에 둔 가연물
1. 용접부 뒷면 점검
2. 작업 종료 후 점검
3. 피난대책 수립
점화용 불붙이개 방치
1. 점화용 라이터를 사용하고 불붙이개를 사용하지 않는다.
폭 발
토치나 호스에서 가스 누설
1. 가스누설이 없는 토치나 호스사용
2. 좁은 구역에서 작업할 때는 휴게시간에 토치를 공기의 유통이 좋은 장소에 내어 둠.
3. 호스 접속 시 실수가 없도록 호스에 명찰 부착
드럼통이나 탱크를 용접, 절단 시 잔류 가연성 가스 증기의 폭발
1. 내부에 가스나 증기가 없는 것을 확인.
역화
1. 정비된 토치와 호스 사용
2. 가스의 위험 교육
화 상
토치나 호스에서 산소 누설
1. 산소 누설이 없는 호스 사용
산소를 공기대신으로 환기나 압력시험용으로 사용
1. 좁은 구역에서 작업할 때는 휴게시간에 토치를 공기의 유통이 좋은 장소에 내어 둠
2. 난연성 작업복 착용
3. 산소의 위험성 교육
4. 소화기 비치
Ⅹ. 보호장구
(1) 차광안경
- 가스 용접의 불꽃은 높은 온도를 내면서 강렬한 광선을 방사하기 때문에 그대로 장시간 광선을 보거나, 용융금속의 불티나 스패터 등이 눈에 들어가면 대단히 위험하다. 또한 처음 용접작업을 하는 사람은 특히 눈에 피로를 많이 느끼므로 눈을 깨끗한 물로 자주 씻어 주어야 하며, 만약 눈에 염증을 일으켰을 때는 응급 수단으로 냉습 수건을 하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용접작업시에는 반드시 보호안경(eye shield goggles)을 반드시 착용하고 작업을 해야 한다. (가스 용접의 차광도 번호는 5∼6 정도가 적당하다)
(2) 보호장갑
- 토오치에서 나오는 불꽃의 온도는 3,000℃이상이므로 모재를 용융할 때 토오치를 잡고 있는 팔이나 용접봉을 잡고 있는 손이 반사열을 받으므로 맨손으로는 작업하기가 곤란하다. 보호장갑은 일반적으로 손가락이 잘 움직일 수 있도록 연한 가죽제품의 것이 좋으며 무명 흰 장갑은 불에 약하고 비산물이 부착되면 타서 손에 화상을 입게 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보호 앞치마, 발덮개
- 작업복은 일반적으로 무명제품이거나 합성 섬유제품이기 때문에 적열(赤熱)된 비산물에 의하여 구멍이 뚫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피해를 일으키기 쉬운 부분은 몸의 전반신으로 보호앞치마를 착용하여야 한다. 또한 작업화는 안전화가 바람직하나 없을 때는 단화나 운동화도 상관없지만, 이때는 반드시 발덮개를 양 발에 끼워야 한다.
. 방호장치 및 설치기준
(1) 역화방지기
1) 역화
- 아세틸렌관로에서 아세틸렌의 정상흐름과 반대방향으로 화염이 전파되는 것
2) 역화방지기의 종류
① 건식역화방지기 : 화염이 아세틸렌 용기로 역류할 경우 체크밸브가 차단 작용
② 습식역화방지기 : 화염이 아세틸렌 용기로 역류할 경우 침수봉에 의하여 차단 및 밖으로 역류화염 배출
3) 역화방지기의 성능
① 당해가스에 침식 또는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재료일 것
② 소염소자는 당해 가스에 대하여 충분한 내식성을 가질 것
③ 역화방지기의 구조는 소염소자, 역화방지장치 및 방출장치를 구비 할 것
④ 방출장치는 작동압력이 3이상, 4이하에서 작동될 것
⑤ 소염소자는 금망, 소결금속, 스틸올, 다공성 금속물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소염성능을 갖는 것일 것
⑥ 역화방지기는 역화를 방지한 후 복원이 되어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일 것
. 재해유형과 예방대책
구 분
주요 발생 원인
대 책
화 재
절단 불꽃 비산
1. 불꽃받이나 방염시트 사용
2. 불꽃 비산 구역 내 가연물의 제거 및 청소
3. 소화기 비치
열을 받은 용접부분의 뒷면에 둔 가연물
1. 용접부 뒷면 점검
2. 작업 종료 후 점검
3. 피난대책 수립
점화용 불붙이개 방치
1. 점화용 라이터를 사용하고 불붙이개를 사용하지 않는다.
폭 발
토치나 호스에서 가스 누설
1. 가스누설이 없는 토치나 호스사용
2. 좁은 구역에서 작업할 때는 휴게시간에 토치를 공기의 유통이 좋은 장소에 내어 둠.
3. 호스 접속 시 실수가 없도록 호스에 명찰 부착
드럼통이나 탱크를 용접, 절단 시 잔류 가연성 가스 증기의 폭발
1. 내부에 가스나 증기가 없는 것을 확인.
역화
1. 정비된 토치와 호스 사용
2. 가스의 위험 교육
화 상
토치나 호스에서 산소 누설
1. 산소 누설이 없는 호스 사용
산소를 공기대신으로 환기나 압력시험용으로 사용
1. 좁은 구역에서 작업할 때는 휴게시간에 토치를 공기의 유통이 좋은 장소에 내어 둠
2. 난연성 작업복 착용
3. 산소의 위험성 교육
4. 소화기 비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