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사채 요약,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환사채 요약,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 념
1) 의 의

2. 발 행
1) 전환사채 발행사항의 결정
(1) 주주배정에 의한 전환사채의 발행의 경우
(2) 주주 외의 자에 대하여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전환사채발행의 절차
(1) 전환사채발행의 공시
(2) 전환사채의 배정

3) 불공정한 전환사채의 발행에 대한 조치

3. 전환의 절차
1) 전환청구기간

2) 발행가액

4. 전환의 효력
1) 전환의 효력발생시기

2) 신주의 발행

3) 전환의 등기

5. 전환사채발행의 무효
1) 무효의 주장방법
2) 무효사유

6. 판 례

본문내용

손해를 입는 한편, 신주의 가치 상승으로 동액 상당의 이익을 얻게 되어 그 손해와 이익이 상쇄되므로, 주주들 사이에 아무런 이해의 득실이 없고 지분가치의 변동이 없어 주주들에게나 회사에 손해가 없다. 그러나 제3자 배정방식의 발행의 경우에는 기존주주들에게 기존주식의 가치 하락으로 인한 손해가 발생하는데, 주주와 회사는 별개의 법인격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주의 손해와 회사의 손해가 일치한다고 할 수도 없으므로, 상법 제424조의2의 규정만을 근거로 기존주주들의 손해를 회사의 손해로 포섭할 수 없다. 따라서 회사 경영자가 조세를 회피하면서 지배권 이전을 목적으로 신주 등을 저가로 발행한 경우, 회사의 경영자에 대하여 기존주주들에 대한 임무위배를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그 책임을 묻는 것은 별론으로 하고, 회사에 대한 임무위배를 이유로 업무상배임죄의 책임을 물을 수는 없다.
[2] 대기업 회장과 그룹 계열 비상장회사의 대표이사 등이 적법한 절차 없이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를 저가로 발행하여 회장 자녀에게 배정함으로써 조세를 회피하면서 회사의 지배권을 확보하고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게 한 사안에서, 자금을 조달하려는 것이 아니라 조세를 회피하면서 회사의 지배권을 이전할 목적에서 전환사채·신주인수권부사채를 저가발행하는 것으로 회사에 손해가 발생하였다고 볼 수는 없으므로,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3] 대기업 회장의 개인재산 관리업무자들이 상장주식 양도소득세 과세 규정이 신설되기 전에 차명 증권위탁계좌로 회장 소유의 주식을 취득·매도하고 그 양도소득을 신고하지 않은 사안에서, 이는 단순한 무신고에 불과하여 사기 기타 부정한 방법에 의한 조세포탈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정찬형, 회사법강의, 전영사, 2003. 12. 15, 849쪽
정찬형, 회사법강의, 전영사, 2003. 12. 15, 849쪽
정찬형, 회사법강의, 전영사, 2003. 12. 15, 854쪽
정찬형, 회사법강의, 전영사, 2003. 12. 15, 855쪽
이철송, 회사법강의, 전영사, 2008. 2. 25, 837쪽
(출처 : 서울고법 2008.10.10. 선고 2008노1841 판결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배임)·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조세)·증권거래법위반】 상고 〈삼성 에버랜드 전환사채 등 저가발행 사건〉 [각공2008하,1958]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1.18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9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