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bsent insight 병식의 부족
2. Apathy 무감동
3. Agitation 흥분, 동요
4. Blocking 차단
5.circumstantiality 상세함, 정황
6. Clang association
7.Clouding of conscious 의식의 흐림
8. Complex 컴플렉스
9. confusion 혼돈
10. Delusion 망상 a. grandious b. persecutory c. ideas of reference d. somatic
11.Dementic 치매
12. Depersonalization 이인증
13. Depression 우울
14. Disorientation 지남력 상실 a. Time b. Place c. Person
15. Echolalia 반향언어증
16. Echopraxia 반향동작증
17. Ecstasy 무아증, 환희
18. Elation 의기양양
19. Euphoria 다행감
20. Flight of idea 사고의 비약
21. Hallucination 환각 a. auditory b. gustatory c. Olfactory d. tactile e .visual
22. Illusion 착각
23. Irritability 흥분성
24. Mannerisms 기행증 a. Expression b. attitude c. Behavior d. speech
25. Mutism 함구증
26. Negativism 거부증
27. Neologism 언어 신작증
28. Panic 공황
29. Sterotyep 상동증
30. Suspiciousness 의심
31. Tension 긴장
32. Tremors 진전 a. Extremities b. Head c. Tongue
33. Verbigeration 음송증
34. Word salad 말비빔
방어기제
2. Apathy 무감동
3. Agitation 흥분, 동요
4. Blocking 차단
5.circumstantiality 상세함, 정황
6. Clang association
7.Clouding of conscious 의식의 흐림
8. Complex 컴플렉스
9. confusion 혼돈
10. Delusion 망상 a. grandious b. persecutory c. ideas of reference d. somatic
11.Dementic 치매
12. Depersonalization 이인증
13. Depression 우울
14. Disorientation 지남력 상실 a. Time b. Place c. Person
15. Echolalia 반향언어증
16. Echopraxia 반향동작증
17. Ecstasy 무아증, 환희
18. Elation 의기양양
19. Euphoria 다행감
20. Flight of idea 사고의 비약
21. Hallucination 환각 a. auditory b. gustatory c. Olfactory d. tactile e .visual
22. Illusion 착각
23. Irritability 흥분성
24. Mannerisms 기행증 a. Expression b. attitude c. Behavior d. speech
25. Mutism 함구증
26. Negativism 거부증
27. Neologism 언어 신작증
28. Panic 공황
29. Sterotyep 상동증
30. Suspiciousness 의심
31. Tension 긴장
32. Tremors 진전 a. Extremities b. Head c. Tongue
33. Verbigeration 음송증
34. Word salad 말비빔
방어기제
본문내용
다란 손실을 초래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일단 그 자리에서 화를 참지만, 자신이 화를 지속적으로 참으면 다른 사람에게 화를 낼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적당한 대상 예컨대, 책을 발로 찬다든지, 산에 올라가서 소리를 지른다든지 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긴장을 이완하는 경우와 같다.
§ 평가절하(devaluation): 과장되게 부정적인 것들을 자신이나 타인의 탓으로 돌려 감정적인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예) 그것은 모두 나 때문이야라고 쉽게 인정하여 타인과 빚는 갈등이나 불안을 피하려 한다.
§ 합리화(rationalization): 욕구, 감정으로 인한 긴장이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 외부 환경을 왜곡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예) 신포도-여우가 포도나무에 달린 포도를 먹고 싶은데 그것을 먹을 수 없게 되자 신포도라고 하여 포도를 먹고 싶은 욕구를 달래는 경우. 합리화는 자기 행동이 떳떳하지 못해서 양심의 가책을 받을 때,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그럴듯한 이 유를 붙여서 자기 행동을 정당화시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꽃병을 깨뜨리고 나서 야단을 맞을까봐 "꽃병이 미끄러워서 손에서 떨어졌어요"하고 변명을 하는 경우를 들 수 있을 것이다. .
§ 주요 이미지 왜곡 수준(Major image-distorting level):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이미지를 전반적으로 왜곡시키거나 잘못 지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어기제들이 이에 속한다.
§ 자폐적 공상(autistic fantasy): 인간관계나 문제해결과정에서 과도한 공상을 사용함으로서 감정적인 갈등이나 내외적 스트레스를 처리한다. 외부 현실에서 많은 갈등이 있을 때 공상이나 추상적인 사고를 함으로서 불안을 피하는 경우이다.
ex) 친구에게 화가 났을 때 그것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대해서 과도하게 불안해 하여 공상 속에서 친구를 죽이거나 따지는 행동을 함.
§ 투사적 동일시: 나의 분노를 상대에게 투사하여 상대를 화나게 한 후 자신의 결혼이 맞다고 주장하는 현상.
§ 도움거절 및 불평
§ 도피: 불쾌감을 주는 대상에서 멀어지거나 회피함으로써 불안을 없애는 방법입니다. 처음 만나는 낯선 사람을 피하거나 수줍어하는 것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약속했는데 늦은 경우에 아예 약속장소에 가지 않는 경우.
§ 대리형성: 목적하던 것을 손에 얻는 것이 현실적으로 인정될 수 없거나 위험한 것일 때 유사한 것을 획득하여 대리 만족을 얻는 것을 말한다.예 를 들면 아버지를 좋아 하는 딸이 아버지와 유사한 남자를 찾아서 사귀는 것을 들 수 있다.
§ 전환: 심리적 갈등이 신체 감각기관과 근육의 이상 증세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너무 가기 싫은 곳에 억지로 가야 하는데 이유없이 갑자기 아픈 경우를 들 수 있다.
§ 부정 Denial : 외부현실을 지각하는 데 있어서 고통스러운 면을 의식하기를 피하는 것 으로 전체 지각의 색조를 바꾼다.
§ 투사(projection): 스트레스와 불안을 일으키는 자신의 감정이나 사고를 타인에게 있는 것처럼 전가시킴으로써 자신을 방어하는 방법.
ex) 내가 이렇게 된 건 다 네탓~/ 자신이 누구를 미워할 때 그가 자기를 몹시 미워하기 때문에 자신도 그를 미워한다고
생각하는 것
§ 부정(denial): 고통스러운 환경이나 위협적 정보를 거부함으로써 자신의 불안으로부터 도피하려는 방법
ex) 내 자식은 그럴리 없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으나 잠시 외국에 갔다고 하는 것.
§ 퇴행(regression): 어려움을 피하려고 발달의 초기 단계로 돌아가는 방법.
ex) 어린아이가 새로 태어난 동생에 쏟아지는 관심을 자신에게로 돌리기 위해 어린아이의 행동을 보이는 경우
§ 평가절하(devaluation): 과장되게 부정적인 것들을 자신이나 타인의 탓으로 돌려 감정적인 갈등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예) 그것은 모두 나 때문이야라고 쉽게 인정하여 타인과 빚는 갈등이나 불안을 피하려 한다.
§ 합리화(rationalization): 욕구, 감정으로 인한 긴장이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 외부 환경을 왜곡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예) 신포도-여우가 포도나무에 달린 포도를 먹고 싶은데 그것을 먹을 수 없게 되자 신포도라고 하여 포도를 먹고 싶은 욕구를 달래는 경우. 합리화는 자기 행동이 떳떳하지 못해서 양심의 가책을 받을 때,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그럴듯한 이 유를 붙여서 자기 행동을 정당화시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꽃병을 깨뜨리고 나서 야단을 맞을까봐 "꽃병이 미끄러워서 손에서 떨어졌어요"하고 변명을 하는 경우를 들 수 있을 것이다. .
§ 주요 이미지 왜곡 수준(Major image-distorting level):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이미지를 전반적으로 왜곡시키거나 잘못 지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어기제들이 이에 속한다.
§ 자폐적 공상(autistic fantasy): 인간관계나 문제해결과정에서 과도한 공상을 사용함으로서 감정적인 갈등이나 내외적 스트레스를 처리한다. 외부 현실에서 많은 갈등이 있을 때 공상이나 추상적인 사고를 함으로서 불안을 피하는 경우이다.
ex) 친구에게 화가 났을 때 그것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대해서 과도하게 불안해 하여 공상 속에서 친구를 죽이거나 따지는 행동을 함.
§ 투사적 동일시: 나의 분노를 상대에게 투사하여 상대를 화나게 한 후 자신의 결혼이 맞다고 주장하는 현상.
§ 도움거절 및 불평
§ 도피: 불쾌감을 주는 대상에서 멀어지거나 회피함으로써 불안을 없애는 방법입니다. 처음 만나는 낯선 사람을 피하거나 수줍어하는 것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약속했는데 늦은 경우에 아예 약속장소에 가지 않는 경우.
§ 대리형성: 목적하던 것을 손에 얻는 것이 현실적으로 인정될 수 없거나 위험한 것일 때 유사한 것을 획득하여 대리 만족을 얻는 것을 말한다.예 를 들면 아버지를 좋아 하는 딸이 아버지와 유사한 남자를 찾아서 사귀는 것을 들 수 있다.
§ 전환: 심리적 갈등이 신체 감각기관과 근육의 이상 증세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너무 가기 싫은 곳에 억지로 가야 하는데 이유없이 갑자기 아픈 경우를 들 수 있다.
§ 부정 Denial : 외부현실을 지각하는 데 있어서 고통스러운 면을 의식하기를 피하는 것 으로 전체 지각의 색조를 바꾼다.
§ 투사(projection): 스트레스와 불안을 일으키는 자신의 감정이나 사고를 타인에게 있는 것처럼 전가시킴으로써 자신을 방어하는 방법.
ex) 내가 이렇게 된 건 다 네탓~/ 자신이 누구를 미워할 때 그가 자기를 몹시 미워하기 때문에 자신도 그를 미워한다고
생각하는 것
§ 부정(denial): 고통스러운 환경이나 위협적 정보를 거부함으로써 자신의 불안으로부터 도피하려는 방법
ex) 내 자식은 그럴리 없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으나 잠시 외국에 갔다고 하는 것.
§ 퇴행(regression): 어려움을 피하려고 발달의 초기 단계로 돌아가는 방법.
ex) 어린아이가 새로 태어난 동생에 쏟아지는 관심을 자신에게로 돌리기 위해 어린아이의 행동을 보이는 경우
추천자료
이상행동
이상행동과 성심리장애
이상행동
이상행동의 이해
이상행동의 유형과 특징&형태
[심리검사][이상행동][심리][행동][심리검사의 종류][심리와 행동의 성격][이상행동의 종류][...
정신역동모델 파워포인트(보고서 발표용)
정신역동모델이론 및 사례적용 레포트 - 실제사례 모델적용, 상담내용포함
정신역동모델에 대한 보고서
이상행동의 이론적 모델(5가지)의 차이점이 있는지 분석하라.
프로이드의 정신역동모델(지형학적모형, 구조적모형, 방어기제, 심리성적발달단계, 관련사례)
(가족치료 발달과정) 가족치료 사례해석, 정신역동적 가족치료
정신역동모델과 개입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