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정신분열증 사례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 정신분열증 사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낮잠 자는 시간을 줄였다.
2. 낮에 활동함으로 인해 에너지를 소비함으로써 저녁에 숙면을 취할 수 있도 록 하였다.
3. 수면촉진을 위해 자기 전 더운물세안을 격려하였다.
평가
낮에는 활동하고 밤에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었다.
진단3.
간호문제
#2, #3, #9, #11
간호진단
불안과 관련된 환청
간호목표
* 환청이 들릴 때 불안의 신체적 행동을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1.환청으로 인한 불안감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2.환청을 자극시키는 환경 및 상황을 사정하고 자극이 적은 환경을 유지시킨다.
3.필요시 의사의 처방에 받아 항불안제 투여한다.
간호수행
1. 환청이 들릴 시에 불안함을 글로 쓰도록 격려하였다.
2. 환청이 들린다고 말할 때 안정실에서 휴식을 취하게 하였다.
평가
불안으로 인한 행동이 많이 줄었고 self talking 하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Ⅲ. 결론
처음 마음사랑에 오기 전에는 매우 걱정하였다. 정신병원이란 곳에 대한 안 좋은 인식 때문이었다. 정빈병원 환자들은 난폭하고 무서울 것이라고 생각해지만 막상 가보고 환자들을 대해보니 난폭하기는 커녕 오히려 보통사람보다 약해보이고 얌전한 사람들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내가 case study를 하기 위해 잡은 환자는 조금 난폭한 성향이 있는 환자로 학생들과의 대화를 별로 원하지 않는 환자였다. 하지만 내가 웃음으로 인사하고 관심을 가지니 조금씩 마음을 열어주었다. 이 환자 뿐 아니라 다른 환자들도 처음에는 꺼려하는 듯 하였고 무시하는 듯 했지만 3일이 지나고 1주일이 지나면서 우리에게 마음을 열어 주어 함께 웃으며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
이 점으로 보아서 나는 ‘환자들은 사람들을 대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마음 한 켠에 자리를 잡고 있는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싶지만 오랜 입원에 의해서 자신에게 다가오는 낯선 사람들을 경계하는 것이라고 느꼈다. 표현하는 방식을 잊은 환자들은 친해지기까지 어려웠지만 우리와 대화하며 타인을 대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을 찾아가는 듯해서 기뻤다.
이번 정신과 실습은 매우 의미가 컸다. 일단 정신병원(정신병자)들에 대한 나의 고정관념이 깨어졌고 책에서만 보던 증상들(ex.환청, 망상 등)을 실제로 관찰해보기도 하였다. 그리고 평소에는 책장에 꽂아두었던 정신학 교과서를 꺼내보면서 배웠지만 잊어버렸던 것들, 아직 배우지 않은 것들을 읽어보며 점점 정신과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새벽에 일어나느라 몸은 피곤했지만, 실습 마지막 날 우리를 배웅해 준 환자들과 정신병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조금 더 정신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같다. 힘내자!
참고문헌
* 이경순, 정신건강간호학 상권(2007), 현문사, PP235~259
참고사이트
* 네이버 www.naver.com - 네이버 지식인 http://kin.naver.com
* 시작 http://www.psychosis119.pe.kr/
*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1.23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0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