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배경 및 목적
2. 배경 이론
3. 실험장치
4. 실험절차
<실험준비>
<本실험>
5.실험 결과
6. 토론
2. 배경 이론
3. 실험장치
4. 실험절차
<실험준비>
<本실험>
5.실험 결과
6. 토론
본문내용
중량측정탱크에 일정시간동안 담겨지는 물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며 매번 유량측정 시 값을 읽어 압력 강하 량을 얻게 된다.
수두 강하 량()의 값이 대략 등 간격이 되도록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으며 가능한 한 충분한 양의 자료를 얻음이 바람직하다.
5.실험 결과
Venturi Meter 실험
<피에조미터 단면에서의 이론압력수두차>
피에조미터번호
n
단면별 직경
(mm)
-
1
25
0.4
0.16
0
2
14.6
0.684931507
0.469131
-0.309131169
3
12.4
0.806451613
0.650364
-0.490364204
4
11.3
0.884955752
0.783147
-0.623146683
5
10.6
0.943396226
0.889996
-0.72999644
6
10
1
1
-0.84
<(h1-h2)와Q의 측정>
물의무게(g)
물의무게(kg)
시간t (sec)
유량Q
()
(mm)
(mm)
(m)
()
533
0.533
9.51
0.056046
80
45
0.035
0.187082869
854
0.854
9.96
0.085743
115
40
0.075
0.273861279
1110
1.11
9.98
0.111222
145
20
0.125
0.353553391
1250
1.25
9.84
0.127033
180
16
0.164
0.404969135
1528
1.528
10.01
0.152647
245
0
0.245
0.494974747
<유량계수 C값의 계산>
유량Q()
()
유량계수C
56.04626709
0.187082869
0.85047617
85.74297189
0.273861279
0.888827289
111.2224449
0.353553391
0.893072899
127.0325203
0.404969135
0.890517524
152.6473526
0.494974747
0.87549912
6. 토론
식 5로 표시되는 벤츄리메타의 유량공식에서 유량계수 C의 값은 0.85~0.90의 범위에 있으므로 거의 상수로 간주할 수 있겠다.
따라서 Q와 의 관계는 거의 직선적이라 할 수 있겠으며 실험에 사용되는 벤츄리메타의 크기에 따라서도 C값은 달라지겠으나 동일한 메타에 있어서는 유량의 크기 변화가 C값의 크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 기기상의 C 값은 0.9250~0.940의 범의에 있어야하나 유량 측정 시 기계에 의한 값을 나타내는 것 이 아니라 육안으로 일정 시간동안 채워지는 용량을 확인하고 측정하였기 때문에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없었다. 유량이 많을 시 에는 미세한 시간에도 대량의 물이 채워지기에, 유량이 많아도 실험상의 C값과 실험기기 상의 C값의 차이가 큼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많은 양의 유량으로 실험 할수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 할 것 이라고 생각 된다.
또 다른 유량의 오차가 발생한 요인으로는 급수관에서의 누수가 발생을 들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처음 한 실험으로서 실험자들의 미숙함(눈금파악오차) 또한 정확한 실험결과를 도출하지 못한 요인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수두 강하 량()의 값이 대략 등 간격이 되도록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으며 가능한 한 충분한 양의 자료를 얻음이 바람직하다.
5.실험 결과
Venturi Meter 실험
<피에조미터 단면에서의 이론압력수두차>
피에조미터번호
n
단면별 직경
(mm)
-
1
25
0.4
0.16
0
2
14.6
0.684931507
0.469131
-0.309131169
3
12.4
0.806451613
0.650364
-0.490364204
4
11.3
0.884955752
0.783147
-0.623146683
5
10.6
0.943396226
0.889996
-0.72999644
6
10
1
1
-0.84
<(h1-h2)와Q의 측정>
물의무게(g)
물의무게(kg)
시간t (sec)
유량Q
()
(mm)
(mm)
(m)
()
533
0.533
9.51
0.056046
80
45
0.035
0.187082869
854
0.854
9.96
0.085743
115
40
0.075
0.273861279
1110
1.11
9.98
0.111222
145
20
0.125
0.353553391
1250
1.25
9.84
0.127033
180
16
0.164
0.404969135
1528
1.528
10.01
0.152647
245
0
0.245
0.494974747
<유량계수 C값의 계산>
유량Q()
()
유량계수C
56.04626709
0.187082869
0.85047617
85.74297189
0.273861279
0.888827289
111.2224449
0.353553391
0.893072899
127.0325203
0.404969135
0.890517524
152.6473526
0.494974747
0.87549912
6. 토론
식 5로 표시되는 벤츄리메타의 유량공식에서 유량계수 C의 값은 0.85~0.90의 범위에 있으므로 거의 상수로 간주할 수 있겠다.
따라서 Q와 의 관계는 거의 직선적이라 할 수 있겠으며 실험에 사용되는 벤츄리메타의 크기에 따라서도 C값은 달라지겠으나 동일한 메타에 있어서는 유량의 크기 변화가 C값의 크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 기기상의 C 값은 0.9250~0.940의 범의에 있어야하나 유량 측정 시 기계에 의한 값을 나타내는 것 이 아니라 육안으로 일정 시간동안 채워지는 용량을 확인하고 측정하였기 때문에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없었다. 유량이 많을 시 에는 미세한 시간에도 대량의 물이 채워지기에, 유량이 많아도 실험상의 C값과 실험기기 상의 C값의 차이가 큼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많은 양의 유량으로 실험 할수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 할 것 이라고 생각 된다.
또 다른 유량의 오차가 발생한 요인으로는 급수관에서의 누수가 발생을 들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처음 한 실험으로서 실험자들의 미숙함(눈금파악오차) 또한 정확한 실험결과를 도출하지 못한 요인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