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하) 4. 효과적인 표현 -이청준의 [눈길] 교수학습지도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하) 4. 효과적인 표현 -이청준의 [눈길] 교수학습지도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문학교육의 문제점
3. 단원 및 작품 선정
4. “이청준” 해제
5. “눈길” 해제
6.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방법
7. 나가며

본문내용

다.
6
문제 해결의 짜임으로 내용을 전개하며 글을 쓴다.
7
내용을 통일성 있게 조직하여 글을 쓴다.
8
내용을 일관성 있게 조직하여 글을 쓴다.
9
표현의 효과를 고려하여 내용의 조직 방식을 조절하며 글을 쓴다.
10
내용 조직의 일반 원리에 따라 효과적으로 내용을 조직하여 글을 쓴다.
* 제 7차 쓰기 교육과정 *
※ 표시해둔 부분은 다음의 수행평과 과정에 부합하는 부분이다.
수행평가
☞ 부모님에 대한 마음을 담아 편지 쓰기
(단, 수업시간에 배운 표현방식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택하여 쓸 것)
부모님께 서운했던 마음이나 감사했던 마음과 같이 평소에 부모님께 하고 싶었으나 마음속에 담아두었던 말을 편지로 옮겨 쓰는 작업이다. <눈길>의 주제 자체가 ‘어머니에 대한 사랑의 깨달음과 인간적인 화해’라는 것을 참작했을 때, 부모님에 대한 마음을 글로 풀어쓰는 작업은 작품의 주제를 학생 자신의 일에 투영시켜 봄으로써 작품을 내면화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게 한다. 단, 본 단원의 일차적인 목적은 효과적인 표현에 있으므로 수업시간에 배웠던 표현방법을 실제적으로 사용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편지글은 여타 글쓰기 형식에 비해 비교적 자유롭고 학생들에게 친근함을 띠고 있어 학생들의 부담감을 덜 수 있다. 또한 단편적으로 배운 이론적인 지식을 실생활과 분리시켜 보지 않고 함께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평가방법
☞ 직접평가총체적 평가 방식을 선정, 평가 주체는 학생과 교사가 함께 하도록 한다.
평가는 표현방식이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는지, 표현방식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말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는지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작성자를 표기하지 않은 상태에서 학급의 학생들에게 읽어볼 수 있도록 하여 좋은 글을 선정하게 한다. 평가 기준 및 학생들의 선정을 바탕으로 하여 평가를 내린다. 이는 학생들이 자신의 글뿐만 아니라 다른 학생의 글을 접하고 서로 평가를 내리면서 다시 한 번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다른 사람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사는 이를 통해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를 내릴 수 있으며 평가에 있어 넓은 시각을 가질 수 있다.
7. 나가며
이청준은 현대문학사에 있어 큰 영향과 업적을 남긴 주요 작가 중 하나이다. 여러 주요 작품상을 수상함은 그의 문학사적 입지와 작품성을 증명하고 있으며, <병신과 머저리>, <소문의 벽>, <눈길>을 비롯한 여러 작품들은 고등학생이 꼭 읽어야 할 작품으로 선정되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서편제>, <벌레 이야기>와 같은 작품들은 영화사에도 길이 남을 업적을 남겼다. 이제는 고인이 되어 더 이상 그의 신작들을 접할 수는 없지만, 그가 남긴 작품들은 후세에 까지 남아 여러 세대에 걸쳐 새로운 작품으로 거듭날 것이다.
이청준의 <눈길>은 그 소재와 주제에 있어 여타의 작품에 비해 학생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드물게 작품 전문이 실려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선택하였다. 그러나 작품 선정에 있어서, 사실은 필자 본인이 대학교 3학년 때 이청준의 <소문의 벽>을 인상 깊게 접했던 기억의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소문의 벽>은 시대적인 배경 및 이청준 본인의 체험을 제외시켜두고서라도 시대와 세대를 넘어선 동질감과 공감을 얻어내기에 충분했다. 작품 선정을 위해 교과서를 뒤적이다가 학창시절에는 수업시간에 읽고 지나갔던 <눈길>이 동일 작가의 작품임을 알았을 때 느낀 놀라움은 실로 컸다. 동일 작가에게서 이렇게도 다른 느낌과 소재의 글이 탄생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다. 이에 필자는 이청준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고, <눈길>이 실린 단원을 살펴본 후에 해당 단원과 작품을 선정하기에 무리가 없음을 알았다. 때문에 본고를 쓰는 과정에서 필자는 이청준이라는 작가에 대해 하나씩 알아감과 동시에 문학교육에 대한 길을 모색하는 자세를 얻을 수 있어 즐겁게 작업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필자는 문학교육의 원론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 학교현장에서 나타나는 문학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고등학교 국어 (하)에 수록된 이청준의 <눈길>을 중심으로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해보았다. 이상적인 문학교육관을 고려하면서 학습목표와 실제 수업에 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그러다보니 너무 교과서적으로 지도안을 짜지 않았나 하는 불안감도 있었고, 그 하나의 방안으로 수행평가를 제시하였다. 수행평가로 글쓰기를 선택한 것은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개성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문학작품을 내면화하도록 유도하고자 하는 의도에서였다. 또한 수행평가 과정과 평가를 통해 학생과 교사가 함께 학생의 단점을 조명하기보다는 장점을 발견하고 드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미흡하나마 이러한 작업이 현 문학교육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실제 현장에 나가 학생들을 교육함에 있어 새로운 사고와 방법을 모색해보는 과정이 되기를 바란다.
8. 참고문헌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 국어 (하), 교육과학기술부, 200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 국어 (하) 교사용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2002
이청준, 『눈길 (이청준 소설선)』, 문학과 지성사, 1997
이청준, 『오마니 -나는 왜, 어떻게 소설을 써왔나-』, 문학과 지성사, 1999
권오륭,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1999
김병익, 『이청준 다시 만나기 -해한의 글쓰기, 화해로 가는 삶』, 문학과 지성사, 문학과 사회 2008년 겨울호 제21권 제4호 통권 제84호, 2008
마희정(충북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고향 탐색의 과정, -<귀향연습>, <눈길>, <살아 있는 늪>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004
양병남, 『이청준 소설의 모더니즘적 특성과 미적 특수성, -<시간의 문>, <언어사회학서 설>연작, <가수(假睡)>를 중심으로』, 구보학회, 구보학보 2집, 2007
김용구(강원대 교수), 『이청준 소설의 구조』,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김봉순, 『쓰기 영역의 수행평가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999
  • 가격3,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0.11.27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08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