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본문내용
야 할 처치나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가. 소변배양을 통해 규명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나. 상의를 벗기고 찬물로 마사지 해준다
다. 절개 배농하고, 석고붕대를 적용한다
라. 관절경축예방을 위해 온찜질을 해주고 치료적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시한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신경계>
1. 구개반사가 소실되었다. 어느 뇌신경의 손상인가 ?
① 제 8,9 신경
② 제 9,10 신경
③ 제 10,11 신경
④ 제 11,12 신경
⑤ 제 7,8 신경
2. 자발적인 근육움직이 없이, 고통스런 자극에 피하려는 반응을 보이는 환자의 의식수준은 ?
① 명료
② 기면
③ 혼미
④ 반혼수
⑤ 혼수
3. 요추천자를 시행하려고 한다. 검사 시행 전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가. 검사 전 장과 방광을 모두 비우도록 한다
나. 검사 과정을 미리 환자에게 설명하여 불안을 감소시킨다
다. 환자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마취와 요추천자시 통증이 있음을 숨긴다
라. 활력징후와 대상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사정한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4. 뇌압상승 환자의 증상으로 알맞은 것은 ?
가. 투사성 구토
나. 이완기압의 상승
다. 심한두통
라. 빈맥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5. 두 개내압 상승시 나타나는 증상은 무엇인가 ?
가. 심한 두통
나. 유두부종 동반
다. 투사성 구토
라. 쿠싱 증상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6. 뇌질환으로 인하여 저체온요법을 받는 환자에게서 오한이 나타나는지 반드시 사정해야 한다.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무엇인가 ?
① 체온이 급격히 하강하므로
② 두개내압이 급격히 하강하므로
③ 체내순환량이 감소하므로
④ 호흡중추를 억압하므로
⑤ 신진대사율 항진으로 인해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므로
7. 무의식 환자는 특별한 치료를 할 때 외에는 측위가 좋다 이유는 ?
가. 구강, 분비물 배액 촉진
나. 혀에 의한 기도폐쇄 예방
다. 폐렴과 같은 폐합병증 예방
라. 관절경축과 욕창 예방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8. 무의식 환자의 피부간호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손톱을 짧게 깍아준다
나. 위관튜브를 사용하며 음식을 준다
다. 에어매트리스를 사용한다
라. 마사지는 욕창 가능성이 있으므로 하지 않는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9. 뇌절제술을 받은 환자가 두통을 호소할 때 간호중재로 알맞은 것은 ?
① 침상머리를 30도 하강시킨다
② 베개를 대어 좌위를 취한다
③ 중심정맥압을 2시간마다 확인한다
④ 앙와위로 눕혀준다
⑤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한다
10. 두개수술 후 운동력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
① 간호사가 환자의 손을 꽉 잡는다
② 환자에게 간호사의 손을 꼭 잡아보게 한다
③ 환자의 다리를 움직여보라고 한다
④ 수저를 사용하여 음식을 먹어보라고 한다
⑤ 발바닥에 압박을 가해 병리적 골절을 알아본다
11. 뇌막자극 증상을 알 수 있는 검사는 ?
가. Kerning sign
나. 경부강직
다. Brudzinski's sign
라. Babinski's sign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2. 간호사가 뇌졸중으로 쓰러진 환자를 발견했을 때 환자에게 취해 주어야 할 체위는 ?
① 등대고 똑바로 눕힘
② 환측의 반대편으로 고개를 돌려 눕힘
③ 두부를 신체의 나머지보다 낮게 유지
④ 환자를 복위로 유지함
⑤ 환자를 측위로 눕힘
13. 파킨슨 대상자에게 레보도파 투여시 해야 할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가. 금식 중에느 물을 조금만 사용하여 투약한다
나. 금식일 때에도 레보도파는 투약한다
다. 단백질 식이를 제한한다
라. 비타민 B6를 제한한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4. 실어증 환자와의 의사소통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단순한 감각형태의 자극으로 의사소통을 시작한다
나. 사회화 자극방법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소통을 시작한다
다. 가능하면 짧게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해야 한다
라. 말을 단순화시켜 간단한 문장으로 질문한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5.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환자의 간호중재를 하려한다. 옳지 않은 것은 ?
가. 보조기구를 활용하여 일상생활을 하도록 격려한다
나. 식사시 누워서 안정을 취하면서 식사한다
다. 식사전후로 호흡양상을 확인하여 흡인을 예방한다
라. 근위축의 진행을 막기 위해 수동적인 ROM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6. 요추간판탈출증 환자에게 나타나는 임상적 특징은 ?
가. 하지 직거상 검사시 양성
나. 하지 심부건 반사 감소
다. 운동과 감각기능의 변화
라. 발 배굴시 통증 증가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7. 척수손상시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① 경추손상시 앙와위로 두부 견인한다
② 손상부위를 부목으로 고정하고 신체선열을 유지해 안전하게 이동한다
③ 혼자일 때 환자를 업어서 옮긴다
④ 빨리 들것에 실어 옮긴다
⑤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목을 옆으로 돌린다
18. 두부손상 환자의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가. 침상머리 상승 체위 유지
나. 분비물 흡입 전 과다 환기
다. Corticosteroid 투여
라. 외부자극을 줄이고 혼란을 막기 위해 orientation을 주지 않음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9. 삼차신경통 수술을 받은 환자의 간호 중 아닌 것은 ?
① 수술 후 24시간 동안 구강 간호를 한다
② 뜨거운 음식은 제한한다
③ 6개월마다 충치 검사를 한다
④ 음식을 씹을 때 건강한 안면 쪽으로 씹는다
⑤ 턱과 근육운동은 피한다
20. 뇌종양 수술 이후 방사선 요법을 시행하여야 한다. 다음 중 환자에게 교육할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가. 조영제를 투여하게 됨을 설명한다
나. 방사선 치료부위는 붓거나 건조해질 수 있으므로 로션을 바르도록 한다
다. 치료 후에 머리카락은 다시 자랄 수 없음을 얘기하고 정서적으로 지지해 준다
라. 방사선 치료영역을 표시해둔 것은 지워지면 안되므로 치료기간 동안 머리를 감지 않도록 한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가. 소변배양을 통해 규명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나. 상의를 벗기고 찬물로 마사지 해준다
다. 절개 배농하고, 석고붕대를 적용한다
라. 관절경축예방을 위해 온찜질을 해주고 치료적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시한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신경계>
1. 구개반사가 소실되었다. 어느 뇌신경의 손상인가 ?
① 제 8,9 신경
② 제 9,10 신경
③ 제 10,11 신경
④ 제 11,12 신경
⑤ 제 7,8 신경
2. 자발적인 근육움직이 없이, 고통스런 자극에 피하려는 반응을 보이는 환자의 의식수준은 ?
① 명료
② 기면
③ 혼미
④ 반혼수
⑤ 혼수
3. 요추천자를 시행하려고 한다. 검사 시행 전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가. 검사 전 장과 방광을 모두 비우도록 한다
나. 검사 과정을 미리 환자에게 설명하여 불안을 감소시킨다
다. 환자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마취와 요추천자시 통증이 있음을 숨긴다
라. 활력징후와 대상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사정한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4. 뇌압상승 환자의 증상으로 알맞은 것은 ?
가. 투사성 구토
나. 이완기압의 상승
다. 심한두통
라. 빈맥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5. 두 개내압 상승시 나타나는 증상은 무엇인가 ?
가. 심한 두통
나. 유두부종 동반
다. 투사성 구토
라. 쿠싱 증상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6. 뇌질환으로 인하여 저체온요법을 받는 환자에게서 오한이 나타나는지 반드시 사정해야 한다.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무엇인가 ?
① 체온이 급격히 하강하므로
② 두개내압이 급격히 하강하므로
③ 체내순환량이 감소하므로
④ 호흡중추를 억압하므로
⑤ 신진대사율 항진으로 인해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므로
7. 무의식 환자는 특별한 치료를 할 때 외에는 측위가 좋다 이유는 ?
가. 구강, 분비물 배액 촉진
나. 혀에 의한 기도폐쇄 예방
다. 폐렴과 같은 폐합병증 예방
라. 관절경축과 욕창 예방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8. 무의식 환자의 피부간호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손톱을 짧게 깍아준다
나. 위관튜브를 사용하며 음식을 준다
다. 에어매트리스를 사용한다
라. 마사지는 욕창 가능성이 있으므로 하지 않는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9. 뇌절제술을 받은 환자가 두통을 호소할 때 간호중재로 알맞은 것은 ?
① 침상머리를 30도 하강시킨다
② 베개를 대어 좌위를 취한다
③ 중심정맥압을 2시간마다 확인한다
④ 앙와위로 눕혀준다
⑤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한다
10. 두개수술 후 운동력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
① 간호사가 환자의 손을 꽉 잡는다
② 환자에게 간호사의 손을 꼭 잡아보게 한다
③ 환자의 다리를 움직여보라고 한다
④ 수저를 사용하여 음식을 먹어보라고 한다
⑤ 발바닥에 압박을 가해 병리적 골절을 알아본다
11. 뇌막자극 증상을 알 수 있는 검사는 ?
가. Kerning sign
나. 경부강직
다. Brudzinski's sign
라. Babinski's sign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2. 간호사가 뇌졸중으로 쓰러진 환자를 발견했을 때 환자에게 취해 주어야 할 체위는 ?
① 등대고 똑바로 눕힘
② 환측의 반대편으로 고개를 돌려 눕힘
③ 두부를 신체의 나머지보다 낮게 유지
④ 환자를 복위로 유지함
⑤ 환자를 측위로 눕힘
13. 파킨슨 대상자에게 레보도파 투여시 해야 할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가. 금식 중에느 물을 조금만 사용하여 투약한다
나. 금식일 때에도 레보도파는 투약한다
다. 단백질 식이를 제한한다
라. 비타민 B6를 제한한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4. 실어증 환자와의 의사소통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가. 단순한 감각형태의 자극으로 의사소통을 시작한다
나. 사회화 자극방법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소통을 시작한다
다. 가능하면 짧게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해야 한다
라. 말을 단순화시켜 간단한 문장으로 질문한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5.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환자의 간호중재를 하려한다. 옳지 않은 것은 ?
가. 보조기구를 활용하여 일상생활을 하도록 격려한다
나. 식사시 누워서 안정을 취하면서 식사한다
다. 식사전후로 호흡양상을 확인하여 흡인을 예방한다
라. 근위축의 진행을 막기 위해 수동적인 ROM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6. 요추간판탈출증 환자에게 나타나는 임상적 특징은 ?
가. 하지 직거상 검사시 양성
나. 하지 심부건 반사 감소
다. 운동과 감각기능의 변화
라. 발 배굴시 통증 증가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7. 척수손상시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① 경추손상시 앙와위로 두부 견인한다
② 손상부위를 부목으로 고정하고 신체선열을 유지해 안전하게 이동한다
③ 혼자일 때 환자를 업어서 옮긴다
④ 빨리 들것에 실어 옮긴다
⑤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목을 옆으로 돌린다
18. 두부손상 환자의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가. 침상머리 상승 체위 유지
나. 분비물 흡입 전 과다 환기
다. Corticosteroid 투여
라. 외부자극을 줄이고 혼란을 막기 위해 orientation을 주지 않음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9. 삼차신경통 수술을 받은 환자의 간호 중 아닌 것은 ?
① 수술 후 24시간 동안 구강 간호를 한다
② 뜨거운 음식은 제한한다
③ 6개월마다 충치 검사를 한다
④ 음식을 씹을 때 건강한 안면 쪽으로 씹는다
⑤ 턱과 근육운동은 피한다
20. 뇌종양 수술 이후 방사선 요법을 시행하여야 한다. 다음 중 환자에게 교육할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가. 조영제를 투여하게 됨을 설명한다
나. 방사선 치료부위는 붓거나 건조해질 수 있으므로 로션을 바르도록 한다
다. 치료 후에 머리카락은 다시 자랄 수 없음을 얘기하고 정서적으로 지지해 준다
라. 방사선 치료영역을 표시해둔 것은 지워지면 안되므로 치료기간 동안 머리를 감지 않도록 한다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추천자료
내분비계용 약물에 대한 종류와 주의사항
내분비계 질환 [Diseases of endocrine system]
본초강목 陽陷 초부 목린 이기화담 초부목부 개결소적 초부
[간호학]내분비계 호르몬의 종류와 특징(시상하부호르몬,뇌하수체호르몬,갑상선호르몬,성호르...
태평광기 20 음은객 陰隱客 담의 왕가교 양통유
내분비계 요약정리
[간호학]내분비계의구조와기능
질병부담측정,DALY및경제적질병부담,경제적질병부담,칠병부담측정방법
노인 내분비계 질환 (당뇨병, 갑상선 기능항진증 및 저하증)
(성인간호학실습) 내분비계 체크리스트 문헌고찰
생활과건강4공통)당뇨는 가장 흔한 내분비계 질환으로 인슐린 결핍에 의해 지방 및 단백질 대...
[내분비질환] 내분비계 질환 - 내분비계의 종류와 특성, 내분비계 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치...
[내분비질환] 내분비계 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이요법 - 뇌하수체 질환(뇌하수체기능 ...
[신경계조직의 연결물질] 내분비계, 호르몬, 신경전도물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