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진건 - 『술 권하는 사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진건 - 『술 권하는 사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1. 서문
2. 본문
⑴『술 권하는 사회』와 현진건
⑵ 가정, 돈, 아내
⑶ 변동기 지식인들의 삶의 양식과 한계
3. 맺음말

본문내용

십윤은 술을 대단히 좋아하는 탈속한 사람이라 나하고 빙허, 십윤, 도향, 그리고 몇 사람이 선술집 순례를 시작하는데, 차를 타고 서울역 앞에 있는 주점까지 나가서 술 먹기 시작한 것이 거리에선 술집이 있는 족족 들려서 너비아니를 굽고, 왜콩을 까면서 종로를 거쳐서 동대문까지, 동대문 밖에서 다시 종로까지 오는 동안에 술 먹은 잔 수가 도향이 곱배기로 70사발, 빙허가 60사발, 내가 50사발, 십윤이 40사발을 했으니, 이만하면 빙허와 도향의 주량을 짐작할 것이다.
가히 빙허는 백조파의 일급 주당에 속했지만, 그의 단편『술 권하는 사회』에서는‘그 몹쓸 사회가 왜 술을 권하는고’라고 개탄하면서 나라 잃은 통한을 술로 소일하게 된 사연을 토로했던 것이다. 즉, 경제적으로 몹시 무능한 지식인이라든가 주정뱅이로서 동료들과 다방골 술집과 기생집을 편답한 얘기를 바로 작품에 반영시켰던 것이었다. 말하자면 현진건의 술의 철학은『술 권하는 사회』에서 잘 설명되고 있다. 이것은‘나’라는 1인칭 소설일 뿐 아니라, 그 주인공들의 행동도 작가 현진건과 일치한 것이었다. 그리고 일제의 식민지하에서 많은 애국적 지식인들이 어쩔 수 없는 절망 속에서 술을 벗 삼게 되고 주정꾼으로 전락했지만,‘이 조선사회라는 것이 내게 술을 권한다오’란 독백으로 어디까지나 ‘술 권하는 사회’때문이었다는 것을 자변하는 내용이다.
작품이 발표된 1921년 그때는 현진건과 같은 지식인들이 꿈을 품고 그 꿈을 펼치기에는 가혹한 시대였다. 그는 초기의 소설로서 당대의 지식인들이 어려운 사회상황을 극복할 수단으로 아내의 위로(『빈처』)와 술(『술 권하는 사회』)과 섹스(『타락자』)로는 해결할 수 없음을 발견한다. 그래서 작가는 현실을 직시하고 그 문제를 근본적으로 탐구해 나가게 된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그 다음에 쓰여진 여러 소설에 구체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공동체 의식이 드러나게 되고 성의 평등성이 강조되며 궁극적으로 인간주의에 귀결되게 된다. 이러한 현진건 문학의 발전에는 초기의 『술 권하는 사회』와 같은 현실을 직시하고 밑바닥까지 절망해 봐야 했던 그의 경험이 주요한 요소일 것이다.
참고자료
● 윤병로 , 한국대표명작 현진건, 한국학술정보(주), 2001
● 현길언, 문학과 사랑과 이데올로기 - 현진건 연구, 태학사, 2000
● 현상무, 현진건 문학연구 : 사랑의 작가, 북스힐, 2003
● 현진건 문학전집 - 1, 短篇, 국학자료원, 2004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2.01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