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출생과 성장배경
Ⅱ. 주요 저서
Ⅲ. 교육방법
Ⅳ. 현대교육에 주는 시사 및 공헌점
Ⅴ. 나의 생각
Ⅵ. 참고 문헌
Ⅱ. 주요 저서
Ⅲ. 교육방법
Ⅳ. 현대교육에 주는 시사 및 공헌점
Ⅴ. 나의 생각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이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그가 유치원을 최초로 설립해서이기도 하겠지만 그만큼 아동교육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는 의미이다. 내가 많은 교육 사상가 중 프뢰벨을 선택했던 것도 그만큼 그의 이름이 낯설지 않았기 때문이다.
프뢰벨의 사상은 나의 생각과 많이 비슷한 것 같다. 프뢰벨은 자연과의 조화를 통하여 마음의 평화를 추구했다. 내가 보아도 우리나라의 아이들은 너무 공부에만 치여 사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것도 본인의 의사가 아닌 어머니의 ‘치맛바람’에 의해 끌려 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유치원 때부터 영재교육을 받는 아이들은 이후 학교, 학원, 과외, 심지어는 더 나은 환경을 찾아 해외로 유학을 떠나기도 한다. 대부분 부모들의 최종 목표는 ‘좋은 대학’일 것이다. 아이들은 영문도 모른 채 여기저기서 끝도 없이 쏟아지기는 교육을 받다가 결국 공부에 흥미를 잃게 된다. 예비 교사로서 교육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건 좀 지나치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시골에서 자라서일지는 몰라도 어릴 땐 자연 속에서 뛰어노는 게 맞는 것 같다. 적어도 아동기는 자연 속에서 자연과 함께 숨 쉬고, 자연을 비롯한 주변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시기여야 한다고 생각하게 때문이다.
프뢰벨의 이론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놀이를 교육에 활용했다는 것이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 19세기. 당시엔 엄청난 발상이었을 것이다. 시대를 앞서 나가는 프뢰벨만의 독특한 발상도 마음에 들었지만 무엇보다 놀이를 통해서도 학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150여년이 흐른 지금에도 유아교육에 있어 중요한 부분은 차지하고 있는 것이 놀이이다. 그만큼 놀이를 통한 교육이 효과적이라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의미이다.
사범대학에 입학했고 앞으로 중등교사가 꿈이지만 예전부터 아이들을 무척이나 좋아해서 유아교육에 관심을 가졌던 적이 있었다. 그 때 친척동생이 유치원에 다녔는데, 한글도 잘 모르는 아이가 유치원에서 배웠다며 읽지고 쓰지도 못하는 영어노래를 부르고, 초등학교에 들어가더니 학원에 치이고 과외에 치여 다니는 모습을 보며 안타까웠다. 우리나라가 너무 입시 위주의 교육을 하다 보니 유아교육을 본격적인 입시 경쟁체제에 들어가기 위한 준비단계 쯤으로 여기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곤 했다. 그래서 적어도 내 아이는 이렇게 기르지는 말아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나중에 나는 분명 교사가 될 것이다. 교사로서 첫 번째 의무는 당연히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맹목적으로 지식만을 구겨 넣는 교사가 아닌 프뢰벨처럼 아이들을 이해하고 모든 아이들에게 진심으로 다가갈 수 있는 따뜻한 선생님이 되고자 한다.
Ⅵ. 참고 문헌
김성혜·김춘일(2005). 유아교육사. 교육과학사.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1999).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제4권-케에르케고어.니체.프뢰벨.장폴.헤르바르트학파.마르크스.뒤르케임.프 로이드.딜타이.듀이). 교육과학사.
곽노의(1996). 프뢰벨. 양서원.
http://blog.naver.com/omo1968/
프뢰벨의 사상은 나의 생각과 많이 비슷한 것 같다. 프뢰벨은 자연과의 조화를 통하여 마음의 평화를 추구했다. 내가 보아도 우리나라의 아이들은 너무 공부에만 치여 사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것도 본인의 의사가 아닌 어머니의 ‘치맛바람’에 의해 끌려 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유치원 때부터 영재교육을 받는 아이들은 이후 학교, 학원, 과외, 심지어는 더 나은 환경을 찾아 해외로 유학을 떠나기도 한다. 대부분 부모들의 최종 목표는 ‘좋은 대학’일 것이다. 아이들은 영문도 모른 채 여기저기서 끝도 없이 쏟아지기는 교육을 받다가 결국 공부에 흥미를 잃게 된다. 예비 교사로서 교육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건 좀 지나치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시골에서 자라서일지는 몰라도 어릴 땐 자연 속에서 뛰어노는 게 맞는 것 같다. 적어도 아동기는 자연 속에서 자연과 함께 숨 쉬고, 자연을 비롯한 주변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시기여야 한다고 생각하게 때문이다.
프뢰벨의 이론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놀이를 교육에 활용했다는 것이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 19세기. 당시엔 엄청난 발상이었을 것이다. 시대를 앞서 나가는 프뢰벨만의 독특한 발상도 마음에 들었지만 무엇보다 놀이를 통해서도 학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150여년이 흐른 지금에도 유아교육에 있어 중요한 부분은 차지하고 있는 것이 놀이이다. 그만큼 놀이를 통한 교육이 효과적이라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의미이다.
사범대학에 입학했고 앞으로 중등교사가 꿈이지만 예전부터 아이들을 무척이나 좋아해서 유아교육에 관심을 가졌던 적이 있었다. 그 때 친척동생이 유치원에 다녔는데, 한글도 잘 모르는 아이가 유치원에서 배웠다며 읽지고 쓰지도 못하는 영어노래를 부르고, 초등학교에 들어가더니 학원에 치이고 과외에 치여 다니는 모습을 보며 안타까웠다. 우리나라가 너무 입시 위주의 교육을 하다 보니 유아교육을 본격적인 입시 경쟁체제에 들어가기 위한 준비단계 쯤으로 여기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곤 했다. 그래서 적어도 내 아이는 이렇게 기르지는 말아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나중에 나는 분명 교사가 될 것이다. 교사로서 첫 번째 의무는 당연히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맹목적으로 지식만을 구겨 넣는 교사가 아닌 프뢰벨처럼 아이들을 이해하고 모든 아이들에게 진심으로 다가갈 수 있는 따뜻한 선생님이 되고자 한다.
Ⅵ. 참고 문헌
김성혜·김춘일(2005). 유아교육사. 교육과학사.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1999).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제4권-케에르케고어.니체.프뢰벨.장폴.헤르바르트학파.마르크스.뒤르케임.프 로이드.딜타이.듀이). 교육과학사.
곽노의(1996). 프뢰벨. 양서원.
http://blog.naver.com/omo1968/
추천자료
소크라테스의 교육 철학 사상
철학과 맥락을 같이하는 서양교육의 시대적 사상의 흐름[완]
프뢰벨
루소 에밀 독서 감상문 - 루소의 삶과 철학, 시대적 배경,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교육사상
[교육운동][교육투쟁][교육목표][공교육]교육운동의 목표, 교육운동의 철학사상과 교육운동의...
[교육운동][교육][교육투쟁][공교육][학교교육]교육운동의 연혁, 교육운동의 철학사상, 교육...
Jean-Jacques Rousseau 루소의 교육 사상 철학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의 사상, 교육 철학
보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이론 중 1개 이론, 보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중 1명의 사상가의 교육...
[서양][서양 학교교육][서양 건축][인상주의]서양의 철학(사상), 서양의 가치관, 서양의 국가...
몬테소리 교육에 관해 서술하기 - 철학적배경, 사상적배경, 교육적 의미와 내용, 교사의 역할...
몬테소리(Montessori) 교육에 관하여 서울 - 철학적 사상적 배경 교육적 의미와 내용 교사의 ...
[교육과 사회사상 敎育 社會思想] 그람시(Gramsci)의 ‘진지전(war of position)과 지식인(in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