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조선시대] 조선시대 일상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조선시대] 조선시대 일상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김흥도
3. 신윤복
4. 김득신

본문내용

양반 지식인층이 아닌 중인계급의 사람들일 것이다.」 http://blog.naver.com/khan11411?Redirect=Log&logNo=20009142485
화투에 일부 흔적이 남아 있는 투전은 중국에서 들어온 도박이다. 화투 용어로 알려진 '땡', '족보', '타짜' 등은 원래 투전 용어였다고 한다. 중인 이하의 계층에서 시작돼 양반 계층에까지 확산되는데 점차 사기도박에 패가망신하는 사람이 속출하며 사회문제로 번지게 되자 투전 금지조치가 내려졌단다. 그래도 몰래 투전을 즐겼다고 한다. 가까이 하기엔 너무 위험한 당신!
2) 성하직구(짚신삼기)
농가의 3대가 시원하게 '상의탈의'를 하고 울타리 아래에 앉아있는 그림이다. 날씨가 얼마나 더운지 삽살개마저 혀를 내놓고 헐떡대고 있다. 곰방대를 물고 있는 할아버지, 그의 어깨를 시원하게 주무르고 있는 손자, 열심히 짚신을 삼고 있는 아버지. 이들의 모습에서 조선시대의 나른한 오후시간을 엿볼 수 있다. 소박한 순박한 삶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그림이라 그런지 더욱 친근감이 느껴진다. 이렇게 삼대가 마주앉아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여유가 지금, 오늘날의 한국에 얼마나 남아있을까? 문득 씁쓸한 기분이 들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12.1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3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