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 요(배아복제란?)
2. 배아복제의 사회적 이익과 피해
3. 배아복제의 찬성론
4. 배아복제의 반대론
5. 배아복제의 문제점
6. 배아복제에 대한 나의 생각
2. 배아복제의 사회적 이익과 피해
3. 배아복제의 찬성론
4. 배아복제의 반대론
5. 배아복제의 문제점
6. 배아복제에 대한 나의 생각
본문내용
제는 정하기 나름이라고 생각한다.
이전의 보수적인 사회에서의 과학에서는 정자와 난자를 생명으로 봐서 자위 행위등을 금지했다고 한다. 그리고 현대에 들어와서의 과학은 수정이 된 수정란을 생명의 시작으로 본다.
'생명의 시작' 이라는 인식은 인간이 있기 때문에 생겨난 인식이지, 그 자체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 못한다고 본다. 선이나 악의 개념, 사람을 죽여선 안 되고 되고의 문제는 그 자체가 선악의 개념을 내포한다는 것 보다는 인간이 공동체를 이루어 점점 그 크기를 불려가다 보니 그 공동체를 적절하고 바람직한 선으로 이끌어 나가기 위해 선택된 최선의 기준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그 공동체 즉 사회는 정체되어 있지 않고 항상 변해가고 발전해 가고 있다.
사회의 성격이 바뀌면서 그 사회를 유지하고 있던 기준도 함께 바뀌어 가는 것도 피할 수 없다. 이전의 사회에서 가치있는 건 취하고, 더 이상 기준에 맞지않는 것은 버려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생명의 시작에 대한 문제 또한 그렇지 않을까란 생각을 한다.
사실 생각해보면 기관이 분화되지 않는 개체는 아픔이나 고통 같은 느낌을 가질 수가 없다. 신경계가 분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의 사회에서는 '그렇다면 수정란을 다른 치료목적에 사용해도 될 것인가'에 대해서 애매한 입장을 갖게 된다. 이제까지의 기준에 따라 생명은 인간이 손대서는 안 될 신의 고귀하고 값진 영역이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배아줄기세포의 이용은 잘못됐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이 막연한 생각이 바탕이 되어야만 도덕개념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그렇다) 수정란을 치료목적에 따라 사용했을 때 인류 공동체에 기여할 엄청난 가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가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 자체의 선악은 없다. 문제는 가치에 대한 생각의 차이다.
생명 중시에 흠집을 내지 않는 한도에서 배아 줄기세포이용은 당연히 인류에 큰 발전을 가져다 줄 것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어떤 여파가 무슨 분야에 영향을 끼쳐질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그래서 좀 더 신중한 고려를 해서 악용이나 도덕개념을 오염시키는 경로를 차단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아예 배아줄기 세포이용을 포기하는 것은 오히려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 담그는 격이라 봅니다. 무조건 찬성한다, 반대한다고 싸우기 보다는 새로 발견된 기술을 어떻게 하면 잘 이용할지, 어떻게 하면 악용을 막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토론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전의 보수적인 사회에서의 과학에서는 정자와 난자를 생명으로 봐서 자위 행위등을 금지했다고 한다. 그리고 현대에 들어와서의 과학은 수정이 된 수정란을 생명의 시작으로 본다.
'생명의 시작' 이라는 인식은 인간이 있기 때문에 생겨난 인식이지, 그 자체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 못한다고 본다. 선이나 악의 개념, 사람을 죽여선 안 되고 되고의 문제는 그 자체가 선악의 개념을 내포한다는 것 보다는 인간이 공동체를 이루어 점점 그 크기를 불려가다 보니 그 공동체를 적절하고 바람직한 선으로 이끌어 나가기 위해 선택된 최선의 기준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그 공동체 즉 사회는 정체되어 있지 않고 항상 변해가고 발전해 가고 있다.
사회의 성격이 바뀌면서 그 사회를 유지하고 있던 기준도 함께 바뀌어 가는 것도 피할 수 없다. 이전의 사회에서 가치있는 건 취하고, 더 이상 기준에 맞지않는 것은 버려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생명의 시작에 대한 문제 또한 그렇지 않을까란 생각을 한다.
사실 생각해보면 기관이 분화되지 않는 개체는 아픔이나 고통 같은 느낌을 가질 수가 없다. 신경계가 분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의 사회에서는 '그렇다면 수정란을 다른 치료목적에 사용해도 될 것인가'에 대해서 애매한 입장을 갖게 된다. 이제까지의 기준에 따라 생명은 인간이 손대서는 안 될 신의 고귀하고 값진 영역이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배아줄기세포의 이용은 잘못됐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이 막연한 생각이 바탕이 되어야만 도덕개념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그렇다) 수정란을 치료목적에 따라 사용했을 때 인류 공동체에 기여할 엄청난 가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가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 자체의 선악은 없다. 문제는 가치에 대한 생각의 차이다.
생명 중시에 흠집을 내지 않는 한도에서 배아 줄기세포이용은 당연히 인류에 큰 발전을 가져다 줄 것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어떤 여파가 무슨 분야에 영향을 끼쳐질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그래서 좀 더 신중한 고려를 해서 악용이나 도덕개념을 오염시키는 경로를 차단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아예 배아줄기 세포이용을 포기하는 것은 오히려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 담그는 격이라 봅니다. 무조건 찬성한다, 반대한다고 싸우기 보다는 새로 발견된 기술을 어떻게 하면 잘 이용할지, 어떻게 하면 악용을 막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토론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