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관광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문화의 정의
2. 관광의 정의
3. 문화관광의 개념과 영향
4. 문화관광의 여러 분야
1) 문화유산
(1) 왜 문화유산인가?
(2) 문화유산의 종류
(3) 문화재
(4) 세계유산
(5) 왜 문화유산관광인가?
(6) 구체적인 문화유산 관광
2) 축제
(1) 축제의 기능과 역할
(2) 축제와 관광
(3) 비수기의 활성화
3) 공연
(1) 왜 공연인가?
(2) 콘서트와 극장공연
(3) 유흥장 공연
(4) 야외공연
(5) 한국공연예술의 관광상품화
4) 음식
(1) 왜 음식인가?
(2) 한국음식
(3) 해외 음식
(4) 음식 마케팅

Ⅲ. 결 론

본문내용

같은 것을 당장에 만들 수는 없지만 부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화적 요소를 최대한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동래학춤이라든지 최근 완공된 부산 국립국악원을 활용한 한국 전통 공연의 상품화 등 보다 적극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2009.03.02
(3) 해외 음식
여행을 하면 그 지역의 독특한 음식을 먹어야 그 지역을 다녀온 기분이 제대로 난다.
국제적으로 프랑스의 달팽이 요리와 와인, 이탈리아의 피자와 스파게티, 일본의 우동과 생선초밥, 중국의 각종 중화요리, 인도의 카레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정관념을 활용해 각국의 관광지들은 이들 음식을 자신의 지역에서 맛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음식을 위한 식도락여행이 붐을 이루고 있어 각 지방이 독특한 향토음식을 발전시키는 데 신경을 쏟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자기 지역에 독특한 사케(전통술), 과자, 도시락, 정식 등을 발전시켜 관광상품으로 만들었고 웬만한 음식은 모두 인스턴트화 되어 있어 관광객이 선물용으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김세천, 이정덕, 김옥경, [문화로 보는 관광학] (서울:小花, 2001), p.330
(4) 음식 마케팅
음식을 선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광주시는 김치축제, 김치박람회, 한·일 전문가들의 포럼을 통해 김치를 널리 선전할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김치에 대한 상징적소유권을 크게 강화시키고 있다. 외국에서도 각종 축제, 이벤트, 그리고 적극적인 품질관리와 홍보를 통해 자신의 요리를 세계에 알리고 있다.
프랑스가 와인 종주국처럼 된 것은 국가적 차원의 철저한 품질관리와 적극적인 상업전략에 기인한다. 와인에 대해 엄격한 등급제를 실시한다든지 소믈리에(와인감별사)자격심사를 국제 행사화하고 있는 것은 물론, 농산물 수출공사에 해당하는 소팩사가 해외 각국에서 와인관련 행사를 주관하며 자국 상품을 알리고 있기 때문이다.
싱가포르에서는 4월 한 달간 음식 축제가 열린다. 인구 4백만을 조금 넘는 도시 국가 싱가포르는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 등 수많은 외국인이 함께 사는 다문화 도시이다. 이들의 다양한 음식문화, 그리고 퓨전음식들이 이곳의 자랑이다. 특히, 동남아 화교 사회에서만 맛볼 수 있는 페르나칸 18-19세기 이민 온 중국 남자와 말레이족 여성이 혼인하면서 생긴 혼혈족
요리는 유독 눈길을 끈다. 이 요리는 오로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의 화교 사회에서만 먹을 수 있는 음식이다. 또한 퓨전요리와 페르나칸 요리를 직접 배울 수 있는 강좌도 싱가포르가 자랑하는 문화상품이다.
싱가포르 음식 축제는 그 자체로 문화상품이다. 다도, 서예를 배우며 딤섬을 즐기는 행사 등 싱가포르 문화 속의 중국 문화를 강조하는 프로그램은 한 도시에서 다양한 문화를 동시에 접하는 싱가포르적인 즐거움을 극대화해 매년 4월 전 세계에서 많은 관광객을 불러 모은다. 김세천, 이정덕, 김옥경, [문화로 보는 관광학] (서울:小花, 2001), pp.331-334.
Ⅲ. 결 론
지금까지는 관광자원개발이라 하면 자연관광자원에 치중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관광자원은 해당국의 여러 가지 환경조건에 영향을 받고 있다. 그리고 관광객들의 관광욕구가 정적인 것에서 동적인 것으로, 단순히 보고 쉬는 것에서 모험 지향적으로 되어가고 있다. 자연관광자원도 중요하지만 이제 그 보다 더 중요한 자원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과 역사 문화적인 것이 되고 있다.
문화관광은 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해서 이행되는 관광이다. 유적, 유물, 전통공예, 예술 등이 보존되거나 스며있는 지역 또는 사람의 풍요로웠던 과거에 초점을 두고 관광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관광을 보다 넓은 의미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문화유적, 문화재, 예술 활동, 또는 주민의 생활문화만이 문화관광의 대상인 것은 아니며 인간이 문화적으로 활동을 조직하는 테마파크, 컨벤션, 이벤트, 축제, 스포츠, 리조트, 공연, 전시회, 도박, 음식 등도 문화적인 특성을 지닌 것이다.
우리나라도 관광자원개발 측면에서 지방화(localization), 즉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문화관광자원을 발굴, 보존, 개발 해 나갈 때가 되었다. 이것이 곧 세계화(globalization)의 첩경이 됨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Greg Richards/ 조명환 譯, [문화관광론] (서울:백산출판사, 2000), p.3 ; 참조, 김세천, 이정덕, 김옥경, [문화로 보는 관광학] (서울:小花, 2001), pp.26-27
이미 유럽에서는 많은 나라들이 문화와 관광을 접목시키려는 노력들이 관광정책의 우선순위를 차지해 왔다. 세계 관광량의 70 ~ 80%가 유럽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때 유럽제국들의 문화관광정책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와 관광을 어떻게 접목시키며 문화관광정책을 수립해야하는지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관광자원 개발측면에서 문화관광은 앞으로 계속 성장시장이 될 것임은 분명하다.
《 참고 문헌 》
김세천, 이정덕, 김옥경. {문화로 보는 관광학}. 서울:小花, 2001.
김춘식, 남치호. {세계축제경영}. 경기도:김영사, 2005.
동남레저산업연구소編, {관광학의 이해} 서울:기문사, 2005.
이성순, {유럽문화의 산책} 서울:형설출판사, 2007.
이영진, 권대웅編, {문화와 관광} 서울:학문사, 1999.
조명환, {국제관광문화} 서울:백산출판사, 2000.
Greg Richards/ 조명환 譯, {문화관광론} 서울:백산출판사, 2000.
* 위 참고문헌의 순서는 저자이름순(가나다)로 명시하였음.
{경북구미신문} 2009년 2월 9일자
{조선일보} 2009년 1월 14일자, 2009년 3월 2일자
{한국일보} 2009년3월16일자
인터넷 사이트
http://www.betanews.net/article/447394
http://100.naver.com/100.nhn?docid=752489
http://blog.naver.com/cosmojin1?Redirect=Log&logNo=150031737765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0.12.15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3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