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한시작가론 책 이상적부분 요약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生 涯

2.學問的 交遊

3. 文學觀

4.作品 傾向

1,憧憬의 세계

2.藝術性의 追求

5.結 論

본문내용

읊은 것들이다.
李卿患才多 한운해는 재주 많다 근심하지만
華藻發於面. 아름다운 글귀가 얼굴에 보여.
素心秋蘭佩 소박한 마음은 가을 난초요
靑眼硯. 반가이 맞는 눈은 구욕연 같네.
日下重把袂 일하에서 거듭 이별하자니
西風歎歸. 서풍에 가는 제비에 탄식이 나오.
이 시를 읽어보면 마치 한운해의 아름다운 글귀가 마음에서 우러나와 얼굴로 내비치는 듯한 인상을 받는다. 마음이 꽃 중에 가장 고상한 난초와 같으면서 그것도 청명한 가을이라고 은유 했음은 그의 맑고 깨끗함을 표상한 것이다. 그가 반가이 맞아 주던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그대로 은유로 그려낸 수법이다. 이렇게 아름다운 친구와 북경에서 거듭 이별한 것을 생각하자니 다시 보기 어려운 이국에서, 그것도 높은 하늘을 마음대로 날아가는 제비를 보니 더욱 자신이 안타까워지는 심사를 금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을 대상으로 율은 것이다.
이상적이 동경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중국인만이 아니다. 그에게는 중국은 이상의 세계였으나 조선은 현실의 세계였다. 그가 추사 김정희에게 그렇게 극진히 한 것도 어떻게 보면 자신의 현실을 직시한 행동일지 모른다.
玉井蓮花不染塵 옥정의 연꽃은 티끌에 물들지 않음은
天然爲我寫前身 전생의 내 모습 그대로 그린 것이다.
毫端也有凌雲氣 붓끝에는 응당히 능운기운 서렸으니
何似君家賦大人 그대 집안 『大人賦』와는 어떠하던가
‘연화’와 ‘전신’은 동일성을 지니는데 이는 이상적이 자기의 전신을 연꽃에 비유한 것이다. 곧 그의 號인 ‘藕船’의 ‘藕’는 연꽃을 가리키는 말이다. 본래 연꽃은 周廉溪의『愛蓮說』에서도 지적된 것처럼 진흙속에서도 물들지 않는 깨끗한 君子의 상을 지닌다. 이 연꽃은 신선이 산다는 太華山의 玉井에서 나는 꽃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이에 대해서 작자의 말을 잠시 빌려 보기로 한다.
도광 11년(1831)신묘 10월에 내가 처음에 부경에서 儀墨農 孝廉 克을 알았는데, 묵농이 말하기를 “일찍이 태화산 연화봉에 올라 이른바 옥정이란 곳을 찾아 어정거린 지가 오래되었는데, 이제 藕船과 더불어 사귀게 되었으니 어찌 진작에 인연이 있던 것이 아니었겠는가”
2.藝術性의 追求
이상적의 작품에서 또 하나의 경향은 그가 서경적인 작품을 많이 읊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물론 이는 시인들이 생활에서 항상 읊는 대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중인이라고 해서 항상 유달리 보려는 고정관념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이러한 류의 작품세계를 탐구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그의 서경의 세계를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翁釣瓜皮船 노인은 작은 배로 낚시질 하고
兒耕燕子田 조그만 밭에서 김매는 아이.
墻頭采桑女 담 머리에 여인이 뽕을 따는데
衫袖露涓涓 적삼에 이슬이 촉촉이 젖어.
시에선, 표현이 적으면 미처 못다한 말이 생기고 말하면 번거롭게 느껴진다. 이를 보완하는 길은 짧은 작품을 連作으로 꾸미는 방법이 유용할 것이다. 이 시는 연작시의 한 부분이다. 작품에서 보다시피 노인과 아이의 공간 구성의 대조와 회화성이 짙게 깔린 느낌이 든다.
이상에서 살핀 서경시는 이상적이 자연의 사물을 대하여 느끼는 정을 읊은 시다. 『회인시』가 목적성을 지닌 의도적인 작품임에 비하여 여기서 본 작품들은 순수한 唐風의 시로서 이상적 개인의 시적 감흥을 읽을 수 있다. 물론 이런 감흥은 어느 시인이건 가능한 것이고, 또 모든 독자들도 공감할 수 있다. 이 점은 이상적이 시인으로서의 일상성을 떠날 수 없었음을 반증하기도 한다. 요약하면 중인들만이 지닐 수 있거나 표현할 수 있는 시는 아니라는 점이 역력하게 드러난다.
5.結 論
철저한 역관의 집안에서 태어난 이상적의 문학작품은 적어도 여타의 중인들과는 다른 면모가 보인다. 이른바 역관 4가인 홍세태, 이언진, 정지윤이 생각했던 반항적인 기질이 거의 보이질 않는다는 점이다. 오히려 사대부와 친근하려고 끈질기게 노력하였고, 그것을 통하여 자신의 신분적인 갈등을 해소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던 것 같다. 그의 작품에서 보다시피 철저하게 중국 동경적인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그것을 통하여 보상 받으려고 노력 하였으나 결국은 자기자신을 보다 철저하게 중인적인 경향을 반증하게 되었던 것이다. 동경의 세계가 바로 그러한 점을 인증하는 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하나 그러한 이상적에게도 문학적으로 성공하였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다. 바로 예술성을 추구하는 작품의 경향이 그렇다. 이런 류의 작품에서는 모든 사상성이나 의식이 배제되고 철저하게 문학 자체로서만 존재하고 있다는 점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12.18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3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