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류경제학의 전계과정
주류 경제학과 반 주류 경제학
주류 경제학과 반 주류 경제학
본문내용
신고전파종합에 대한 또 다른 도전으로는 갈브레이드와 뮈르달의 이론을 들 수 있다. 미국 제도학파의 영향을 받은 갈브레이드는권력과 정치의 문제를 등한시하고 있는 주류경제학이 현실분석에 도움이 못 된다고 비판하고 미국경제에 있어서의 대기업, 노동조합, 정부 그리고 소비자의 행동양식을 관찰하였다. 갈브레이드는 아마도 오늘날의 경제학, 경제이론 그리고 이들 이론과 관련된 제반 가치관에
대한 가장 유명한 비판가일 것이다. 그는 미국번영을 촉진하기 위한 공공정책을 강력하게 옹호한다. 그러나 그는 경제성장이 경제정책의 주된 목표가 될 수 없다고 보고 시장기구가 효율적 자원배분의 충분한 수단이 못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뮈르달도 제도학파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 주류경제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는 현대의 주류경제학이 시장기구의 작용과 관련하여 한 나라 내에서 지역 간 또는 산업 간에 그리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에 일단 시작된 불평등이 누적적으로 확대되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뮈르달은 순환적 누진적 인과관계의 원리를 기초로 하여 경제적 사회적인 요인들이 상호 연쇄적으로 작용하여 나쁜 상태는 더 나쁘게 좋은 상태는 더욱 좋게 변화시키는 누적적인 효과를 시장기구가 내포하고 있음을 강력히 주장한다. 신고전파종합에 비판을 가하는 또 다른 학파는 고전학파와 마샬 그리고 케인즈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는 영국 켐브리지 대학 중심의 일군의 경제학자들이다. 미국에 정착된 신고전파 케인즈언 경제학과 오래전부터 이론적 논쟁을 거듭하면서 대결해 온 이들은 후기 케인즈학파 중 영국 켐브리지 대학 중심의 신 케인즈 학파라 부르며 이의 대표적 인물은 로빈슨. 칼도아 이다. 신 케인즈 학파는 현대 사기업경제의 불안정성과 경제행위에 내포된 불확실성을 크게 강조한 케인즈의 전통을 계승했다. 특히 미래에 대한 예상 내지 기대의 변화로 인해서 고용수준이 변덕스럽게 변화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신 케인즈 학파에 의하면 신고전파종합의 이론이 케인즈 경제학을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특히 로빈슨에 의하면 신고전파종합이 주장하는 완전고용수준이 달성된다 해도 현실적으로 시장에서 독전에 의한 가격기구의 왜곡현상이 나타나 신고전파의 주장처럼 가격기구의 기능이 부활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에서 케인즈의 본래이론을 왜곡키고 있다고 비판한다. 갈브레이드와 뮈르달의 비판을 낳게 한 현대사회의 제반결함은 신고전파종합에 대한 또 다른 반격을 낳게 하였는데 이는 경제이론과 정책에 대한 공격이라기보다는 경제체제와 그 체제의 제반 결과에 대한 비판으로서 등장한 급진파 경제학이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서는 바란, 수위지를 위시하여 오코너, 바이스코프, 맨델, 브레이브만, 보울즈, 진티스, 라이크. 에드워즈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공통적인 이론체계를 갖추고 있지는 않으며 관심대상 또한 사람에 따라 다르고 마르크스 경제학과의 구분도 분명하지 않다. 급진경제학은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탄생한 이단적인 경제학적 사조를 지칭하는 바 이는 주로 마르크스주의에 크게든 작게든 동조하는 비교적 젊은 세대들에 의해 연구 발전되고 있다. 이들은 1968년 9월에 미시건 대학교에서 급진파 정치경제학연합을 형성하였으며 독자적인 학술지를 내고 있다. 급진파 경제학자들의 사상적 기원은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무정부주의 등으로 다양하지만 이들은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 경제학과 같은 체계적인 이론을 갖고 있지 못하고 미국의 전통적인 실용주의의 영향을 받아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경제문제를 다루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급진파 경제사상은 현실의 사회주의에 대한 지지와 특별한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님은 지적되어야 할 사항이다.
대한 가장 유명한 비판가일 것이다. 그는 미국번영을 촉진하기 위한 공공정책을 강력하게 옹호한다. 그러나 그는 경제성장이 경제정책의 주된 목표가 될 수 없다고 보고 시장기구가 효율적 자원배분의 충분한 수단이 못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뮈르달도 제도학파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 주류경제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는 현대의 주류경제학이 시장기구의 작용과 관련하여 한 나라 내에서 지역 간 또는 산업 간에 그리고 선진국과 후진국간에 일단 시작된 불평등이 누적적으로 확대되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뮈르달은 순환적 누진적 인과관계의 원리를 기초로 하여 경제적 사회적인 요인들이 상호 연쇄적으로 작용하여 나쁜 상태는 더 나쁘게 좋은 상태는 더욱 좋게 변화시키는 누적적인 효과를 시장기구가 내포하고 있음을 강력히 주장한다. 신고전파종합에 비판을 가하는 또 다른 학파는 고전학파와 마샬 그리고 케인즈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는 영국 켐브리지 대학 중심의 일군의 경제학자들이다. 미국에 정착된 신고전파 케인즈언 경제학과 오래전부터 이론적 논쟁을 거듭하면서 대결해 온 이들은 후기 케인즈학파 중 영국 켐브리지 대학 중심의 신 케인즈 학파라 부르며 이의 대표적 인물은 로빈슨. 칼도아 이다. 신 케인즈 학파는 현대 사기업경제의 불안정성과 경제행위에 내포된 불확실성을 크게 강조한 케인즈의 전통을 계승했다. 특히 미래에 대한 예상 내지 기대의 변화로 인해서 고용수준이 변덕스럽게 변화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신 케인즈 학파에 의하면 신고전파종합의 이론이 케인즈 경제학을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특히 로빈슨에 의하면 신고전파종합이 주장하는 완전고용수준이 달성된다 해도 현실적으로 시장에서 독전에 의한 가격기구의 왜곡현상이 나타나 신고전파의 주장처럼 가격기구의 기능이 부활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에서 케인즈의 본래이론을 왜곡키고 있다고 비판한다. 갈브레이드와 뮈르달의 비판을 낳게 한 현대사회의 제반결함은 신고전파종합에 대한 또 다른 반격을 낳게 하였는데 이는 경제이론과 정책에 대한 공격이라기보다는 경제체제와 그 체제의 제반 결과에 대한 비판으로서 등장한 급진파 경제학이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서는 바란, 수위지를 위시하여 오코너, 바이스코프, 맨델, 브레이브만, 보울즈, 진티스, 라이크. 에드워즈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공통적인 이론체계를 갖추고 있지는 않으며 관심대상 또한 사람에 따라 다르고 마르크스 경제학과의 구분도 분명하지 않다. 급진경제학은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탄생한 이단적인 경제학적 사조를 지칭하는 바 이는 주로 마르크스주의에 크게든 작게든 동조하는 비교적 젊은 세대들에 의해 연구 발전되고 있다. 이들은 1968년 9월에 미시건 대학교에서 급진파 정치경제학연합을 형성하였으며 독자적인 학술지를 내고 있다. 급진파 경제학자들의 사상적 기원은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무정부주의 등으로 다양하지만 이들은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 경제학과 같은 체계적인 이론을 갖고 있지 못하고 미국의 전통적인 실용주의의 영향을 받아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경제문제를 다루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급진파 경제사상은 현실의 사회주의에 대한 지지와 특별한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님은 지적되어야 할 사항이다.
추천자료
신고전파 합리성 비판 : 진화론적 제도이론의 관점에서
신오스트리안(neo-Austrian)의 시장과정론 비판
지식기반경제의 가치론적 의미
아시아 금융위기와 케인즈
제도학파
[디지털 경제]디지털경제의 의의와 경기변동 및 기업의 향후 대응 방안(디지털경제의 의의, ...
야성적충동 감상문
경제사회학 총 정리(고전 경제사회학 + 신경제사회학-사회자본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이론의 고찰) 경제학과 신고전학파의 기술혁신이론 및 신성장이론
[사회경제사상사] 신자유주의
사회문제론적 시각에서본 양극화문제
WTO 시대 신발전 전략과 중국모델의 변용 요약
사회적기업,사회사업보고서,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EV평가]EV평가(기업가치평가)의 규정, 시너지, EV평가(기업가치평가)의 현금흐름할인모형(DC...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