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측정값
[2] 토의
[3]참고문헌
[2] 토의
[3]참고문헌
본문내용
정된 값을 바탕으로 대략의 공진주파수를 추정하는 정도였고 실험 2.는 대략적인 값을 바탕으로 주파수를 약간씩 변하게 해서 공진주파수를 거의 유사하게 찾아낼 수 있었다. 하지만 그래프에서 직선으로 변할 때 주파수 값 즉 공진주파수로 생각할 수 있는 완전한 직선을 눈으로 확인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그래프를 잡아내기가 생각만큼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실험 1.에서와 같이 실험 2.에서 역시 정확한 공명주파수라고는 할 수 없다.
실험 3.에서는 측정된 와 의 값을 바탕으로 값을 얻어낼 수 있었다. 하지만, 이값은 이론과는 달리 64.47%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공진주파수에서도 과 에 기생저항 성분이 존재하고 도선에 발생하는 저항성분 등으로 인해 계산된 값이 원래의 저항10과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이는 상대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했기 때문에 저항을 더 큰 값을 사용함으로써 이런 오차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단, 저항 값이 너무 커진다면 임피던스나 주파수에 상관없는 그냥 직렬회로와 큰 차이점이 없을 것이므로 적당한 값으로 바꾸어 준다.)
[3]참고문헌
1. 제목: Physics calculus, 출판사: 청문각, 저자: Eugene Hecht,
2. 제목: 물리학 실험 제 7판, 출판사: 아주대학교 출판부, 저자: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실
3. 제목: 대학 물리학, 출판사: 북힐즈, 저자: Raymond A Serway, John W. Jewet t
4. 제목: 뉴턴-과학용어사전, 출판사: Newton Graphic Science Magazine
실험 3.에서는 측정된 와 의 값을 바탕으로 값을 얻어낼 수 있었다. 하지만, 이값은 이론과는 달리 64.47%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공진주파수에서도 과 에 기생저항 성분이 존재하고 도선에 발생하는 저항성분 등으로 인해 계산된 값이 원래의 저항10과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이는 상대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했기 때문에 저항을 더 큰 값을 사용함으로써 이런 오차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단, 저항 값이 너무 커진다면 임피던스나 주파수에 상관없는 그냥 직렬회로와 큰 차이점이 없을 것이므로 적당한 값으로 바꾸어 준다.)
[3]참고문헌
1. 제목: Physics calculus, 출판사: 청문각, 저자: Eugene Hecht,
2. 제목: 물리학 실험 제 7판, 출판사: 아주대학교 출판부, 저자: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실
3. 제목: 대학 물리학, 출판사: 북힐즈, 저자: Raymond A Serway, John W. Jewet t
4. 제목: 뉴턴-과학용어사전, 출판사: Newton Graphic Science Magazin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