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렛 버그 화이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가렛 버그 화이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Margaret Bourke-White

1. 작가 연보

2. 작가의 삶과 작품세계

3. 참고자료

본문내용

제들에 좀 더 민감했다. 그래서 혹자는 버크 화이트를 "자신의 여성성을 마초적인 상을 통해 극복, 혹은 지우려고 했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 버크 화이트의 작품들이 일관되게 다루고 있는 문제들은 남성성이나 여성성으로 귀결되는 문제들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스타일의 문제가 아니고 주제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애초에 여성적 주제와 스타일, 방법을 규정하고 그에 맞춰 여성주의, 페미니즘의 기준으로 작품을 보려하는 것도 여성, 여성성에 대한 일종의 편견이고 선입견일 수 있기 때문이다.마가렛 버크 화이트의 주된 관심사는 전체주의에 대한 저항과 역사·사회적인 문제들에 대한 관심의 환기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쨌든 마가렛 버크 화이트는 1951년 전미 최고의 여성으로 선정되었고(이것은 미모를 기준으로 선발되는 미인 대회가 아니다.), 미국 여성 명예의 전당에 당당히 그 이름을 새겨두고 있다. 그녀의 작업과 삶에서 나는 투쟁적이고 역동적인 여성해방운동의 선구자적인 모습보다는 다시 말하자면, ‘페미니즘’적인 시각 보다는 한 명의 ‘사회개혁을 추구하고 나은 정의와 평등이 구현되는 세계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추구했던 한 사람’으로 정의하고 싶다. 어느 인물의 삶과 작업을 한 문장으로 정의한다는 것이 불가능하겠지만, 그녀에게 만큼은 ‘여류작가’, ‘여성 사진가’라는 호칭으로 ‘성’을 구분하여 그녀의 작업과 삶에 대한 위대성의 찬양하고 싶진 않다. 그러한 행위야 말로 그녀의 삶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바로 바라보지 못하는 ‘우매한’ 이의 ‘인간업적 평가’가 될 테니 말이다. 그녀의 삶과 작업은 그러한 시선의 너머에 있는 그 이상의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3. 참고자료
사진 바바라 런던 업턴 저 ; 성낙인 ; 배병우 공역 미진사 1997
20세기 컬렉션)사진 ; 류얼 골든 지음; 김우룡 지음 동녘 2003
사진의 역사 보먼트 뉴홀 [저] ; 정진국 옮김 열화당 2003
한장의 사진미학 진동선 저 사진예술사 2001
영화보다 재미있는 사진이야기 진동선 지음 푸른세상 2003
사진노트 황동남 저 로드북스 2004
사진예술개론;한정식; 열화당미술선서;1998
20세기 사진사; 이토 도시하루; 이병용; 현대미학사;1998
대표작으로 보는 세계 사진가들의 사진사상; 임응식; 해뜸;1999
상식 밖의 예술사;정윤;새길; 1996
이미지 출처 http://www.masters-of-photography.com/
  • 가격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3.03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47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