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r은 중심에서 구심력이 작용하는 곳까지의 거리이다.
관성 모멘트 측정 장치에서 회전축에 가해진 힘 는 그림 7과 같이 장력 와 같고, 뉴턴 제 2법칙으로부터 장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m은 추의 질량이고, a는 물체의 가속도이다. 물체의 가속도 a는 각가속도 와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따라서 식 (9)는
이고, 관성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3) 실험 기구
회전 운동 실험 세트
카메라
기준봉
I-CA system
4) 실험 방법
실험 1 회전축과 도르래의 관성 모멘트
① 그림 10과 같이 장치한다.
② 추의 질량 m과 실을 감은 위치의 반지름 r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③ 추를 낙하시키고 I-CA system으로 각가속도 를 측정한다.
④ 식 (13)을 이 용하여 관성 모멘트 을 계산한다.
실험 2 수평으로 회전하는 원판의 관성 모멘트
① 그림 11과 같이 장치한다.
② 추의 질량 m과 실을 감은 위치의 반지름 r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③ 추를 낙하시키고 I-CA system으로 각가속도 를 측정한다.
④ 식 (13)을 이용하여 관성 모멘트 을 계산하자.
⑤ ④에서 계산한 관성 모멘트에서 실험 1에서 구한 을 빼, 수평으로 회전하는 원판의 관성 모멘트를 계산하자.
⑥ 식 (4)로부터 수평으로 회전하는 원판의 관성 모멘트 이론값을 계산하자.
실험 3 수직으로 회전하는 원판의 관성 모멘트
① 그림 12와 같이 장치한다.
② 추의 질량 m과 실을 감은 위치의 반지름 r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③ 추를 낙하시키고 I-CA system으로 각가속도 를 측정한다
④ 식 (13)을 이용하여 관성 모멘트 를 계산하자.
⑤ ④에서 계산한 관성 모멘트에서 실험 1에서 구한 를 빼, 수직으로 회전하는 원판의 관성 모멘트를 계산하자.
실험 4 고리의 관성 모멘트
① 그림 13과 같이 장치한다.
② 추의 질량 m과 실을 감은 위치의 반지름 r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③ 추를 낙하시키고 포토게이트 타이머 시스템으로 각가속도 를 측정한다.
④ 식 (13)을 이용하여 관성 모멘트 을 계산하자.
⑤ ④에서 계산한 관성 모멘트에서 실험 2에서 구한 를 빼, 고리 의 관성 모멘트를 계산하자.
⑥ 식 (6)으로부터 고리의 관성 모멘트 이론값을 계산하자.
5) 결과
① 실험 1
추 질량 m(kg)
0.02kg
반지름 r(m)
0.12m
각가속도 ()
-156.4
관성모멘트
-0.00027
② 실험 2
질량 m(kg)
0.07kg
반지름 r(m)
0.12m
각가속도 ()
-0.968
실험값
-0.0029
이론값
0.0101
오차율
22.3%
③ 실험 3
질량 m(kg)
0.07kg
반지름 r(m)
0.12m
각가속도 ()
-1.64
실험값
-0.0023
이론값
0.00025
오차율
88.5%
④ 실험 4
질량 m(kg)
0.07kg
반지름 r(m)
0.06m
각가속도
-0.62
실험값
-0.0051
이론값
0.00025
오차율
95.3%
6) 분석
2. 고찰
각 실험별로 오차가 적은 실험도 있고 심하게 큰 실험도 있었다. 물체와 물체가 접촉할 때 그 수치의 크고 작음을 떠나서 마찰이 생기므로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생기는 마찰에 의해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실험을 할 때 추를 잡고 있던 손을 뗄 때, 힘이 가해져서 실험값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 추가 낙하할 때 공기저항력이 생겼으며, 눈으로 관찰하여 낙하지점이 일정하지가 않았다. 또 실험값을 계산할 때 각가속도의 단위를 그대로 써도 되는지 아니면 로 고쳐야하는 지 잘 몰라 으로 계산을 하였다. 만약 로 고쳐서 계산하는 거였다면 오차가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실험값과 이론값의 차이를 유발하지 않았는가 싶다.
관성 모멘트 측정 장치에서 회전축에 가해진 힘 는 그림 7과 같이 장력 와 같고, 뉴턴 제 2법칙으로부터 장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m은 추의 질량이고, a는 물체의 가속도이다. 물체의 가속도 a는 각가속도 와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따라서 식 (9)는
이고, 관성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3) 실험 기구
회전 운동 실험 세트
카메라
기준봉
I-CA system
4) 실험 방법
실험 1 회전축과 도르래의 관성 모멘트
① 그림 10과 같이 장치한다.
② 추의 질량 m과 실을 감은 위치의 반지름 r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③ 추를 낙하시키고 I-CA system으로 각가속도 를 측정한다.
④ 식 (13)을 이 용하여 관성 모멘트 을 계산한다.
실험 2 수평으로 회전하는 원판의 관성 모멘트
① 그림 11과 같이 장치한다.
② 추의 질량 m과 실을 감은 위치의 반지름 r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③ 추를 낙하시키고 I-CA system으로 각가속도 를 측정한다.
④ 식 (13)을 이용하여 관성 모멘트 을 계산하자.
⑤ ④에서 계산한 관성 모멘트에서 실험 1에서 구한 을 빼, 수평으로 회전하는 원판의 관성 모멘트를 계산하자.
⑥ 식 (4)로부터 수평으로 회전하는 원판의 관성 모멘트 이론값을 계산하자.
실험 3 수직으로 회전하는 원판의 관성 모멘트
① 그림 12와 같이 장치한다.
② 추의 질량 m과 실을 감은 위치의 반지름 r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③ 추를 낙하시키고 I-CA system으로 각가속도 를 측정한다
④ 식 (13)을 이용하여 관성 모멘트 를 계산하자.
⑤ ④에서 계산한 관성 모멘트에서 실험 1에서 구한 를 빼, 수직으로 회전하는 원판의 관성 모멘트를 계산하자.
실험 4 고리의 관성 모멘트
① 그림 13과 같이 장치한다.
② 추의 질량 m과 실을 감은 위치의 반지름 r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③ 추를 낙하시키고 포토게이트 타이머 시스템으로 각가속도 를 측정한다.
④ 식 (13)을 이용하여 관성 모멘트 을 계산하자.
⑤ ④에서 계산한 관성 모멘트에서 실험 2에서 구한 를 빼, 고리 의 관성 모멘트를 계산하자.
⑥ 식 (6)으로부터 고리의 관성 모멘트 이론값을 계산하자.
5) 결과
① 실험 1
추 질량 m(kg)
0.02kg
반지름 r(m)
0.12m
각가속도 ()
-156.4
관성모멘트
-0.00027
② 실험 2
질량 m(kg)
0.07kg
반지름 r(m)
0.12m
각가속도 ()
-0.968
실험값
-0.0029
이론값
0.0101
오차율
22.3%
③ 실험 3
질량 m(kg)
0.07kg
반지름 r(m)
0.12m
각가속도 ()
-1.64
실험값
-0.0023
이론값
0.00025
오차율
88.5%
④ 실험 4
질량 m(kg)
0.07kg
반지름 r(m)
0.06m
각가속도
-0.62
실험값
-0.0051
이론값
0.00025
오차율
95.3%
6) 분석
2. 고찰
각 실험별로 오차가 적은 실험도 있고 심하게 큰 실험도 있었다. 물체와 물체가 접촉할 때 그 수치의 크고 작음을 떠나서 마찰이 생기므로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생기는 마찰에 의해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실험을 할 때 추를 잡고 있던 손을 뗄 때, 힘이 가해져서 실험값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 추가 낙하할 때 공기저항력이 생겼으며, 눈으로 관찰하여 낙하지점이 일정하지가 않았다. 또 실험값을 계산할 때 각가속도의 단위를 그대로 써도 되는지 아니면 로 고쳐야하는 지 잘 몰라 으로 계산을 하였다. 만약 로 고쳐서 계산하는 거였다면 오차가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실험값과 이론값의 차이를 유발하지 않았는가 싶다.
추천자료
(일반물리학실험2) 보일의 법칙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2) 등전위선과 전기장 결과 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2) 조화파의 합성 결과 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2) 고체의 선팽창 계수 결과 레포트
[물리실험] 제 4장 결과 보고서 힘과 가속도
[일반물리학실험] 열의 일당량 결과 리포트
[일반물리학실험] 보일의 법칙 결과 리포트
[일반물리학실험] 전류와 자기장 결과 리포트
[일반물리학실험11] 열의 일당량 결과보고서
[물리학실험 1] (결과) 14.등전위선
[물리학실험] (결과) 저항의 연결
[일반물리학실험] (결과) 길이 측정
[물리실험] (예비 + 결과) 컴퓨터를 사용한 측정, 온도의 변화
[물리학실험]구심력의 측정 결과
소개글